KR200242219Y1 - 에어콘의자동온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콘의자동온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219Y1
KR200242219Y1 KR2019980020052U KR19980020052U KR200242219Y1 KR 200242219 Y1 KR200242219 Y1 KR 200242219Y1 KR 2019980020052 U KR2019980020052 U KR 2019980020052U KR 19980020052 U KR19980020052 U KR 19980020052U KR 200242219 Y1 KR200242219 Y1 KR 2002422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pressure
air conditioner
thermosta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375U (ko
Inventor
이대섭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2019980020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21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3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3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2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219Y1/ko

Links

Landscapes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콘의 자동온도 조절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자동온도조절장치의 온도측정값에 의해서만 에어콘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에어콘 시스템의 흡입측 냉매 압력을 감지하여 기존의 시스템보다 높은 제어효과를 얻고,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분배기와, 증발기와, 어큐물레이터와, 상기 압축기를 순회하도록 차례대로 연결한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압축기의 다음 위치로부터 팽창밸브의 다음위치 사이에 별도의 냉매 파이프를 형성한 후, 압력조절기구를 연결하여 흡입측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에어콘의 자동온도 조절장치
본 고안은 에어콘의 자동온도 조절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에어콘의 가동 상태를 조절하되, 실내의 온도 감지 뿐만 아니라 냉매의 압력까지 병행 감지하여, 이를 토대로 에어콘을 가동하므로써 에어콘 시스템의 안정성과 제어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 이다.
일반적인 에어콘의 냉방시스템을 보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축기(1)로부터 응축기(2), 팽창밸브(3), 분배기(4), 증발기(5), 어큐물레이터(6)의 순서로 연결되어 다시 응축기로 이어지는 구성이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냉방시스템은 실내에 설치한 자동온도조절장치(FAYC 또는 SATC : 도시하지 않았음)의 온도감지센서들이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값을 로직(LOGIC)에서 읽어 들이며, 로직은 온도감지 상태에 따라 상기한 각 부분을 작동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냉방시스템은 오직 실내에 설치된 자동온도조절장치의 온도감지센서에 의해서만 제어되기 때문에 가끔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고정발생시 시스템의 안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자동온도조절장치의 온도측정값에 의해서만 에어콘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에어콘 시스템의 흡입측 냉매 압력을 감지하여 기존의 시스템보다 높은 제어효과를 얻고,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밸브와, 분배기와, 증발기와, 어큐물레이터와, 상기 압축기를 순회하도록 차례대로 연결한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압축기의 다음 위치로부터 팽창밸브의 다음위치 사이에 별도의 냉매 파이프를 형성한 후, 압력조절기구를 연결하여 흡입측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콘 냉매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에어콘 냉매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축기 2 : 응축기
3 : 팽창밸브 4 : 분배기
5 : 증발기 6 : 어큐물레이터
7 : 냉매파이프 8 : 압력조절기구
81 : 압력조절밸브 82 : 모듈레이팅 밸브 어셈브리
83 : 솔레노이드 밸브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에어콘 시스템의 냉매 회로로서, 압축기(1)로부터 응축기(2)와, 팽창밸브(3), 그리고 분배기(4)와, 증발기(5)와, 어큐물레이터(6), 그리고 또 어큐물레이터와 압축기(1)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구성하고 있음은 종래와 대동소이하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압축기(1)의 다음 위치로부터 팽창밸브(3)의 다음 위치까지를 별도의 냉매 파이프(7)로 연결하고, 이 냉매 파이프(7)에 압력조절기구(8)를 설치한 것이 큰 특징이다.
이때, 상기한 압력조절기구(8)는 압력조절밸브(81)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면서 솔레노이드 밸브(83)를 직렬로, 모듈레이팅 밸브 어셈브리(82)를 병렬로 연결하여 함께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냉매 파이프 속의 냉매가 압축기(1)로부터 시작하여 응축기(2), 팽창밸브(3), 분배기(4), 증발기(5), 어큐물레이터(6)를 모두 돌아 다시 복귀하여 압축기(1)로 순환하되, 일부는 상기한 냉매 파이프(7)의 속을 통해 압력조절기구(8)를 통과하게 되므로 미리 설정된 임의의 압력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일정하게 유지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실내의 자동온도조절장치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여 로직으로 제공하고, 본 고안의 병렬연결된 압력조절기구(8)에서는 임의의 압력대로 냉매압을 조절하기 때문에 에어콘 시스템의 제어 효과가 월등히 향상되는 것이고,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시 시스템의 안정성이 높아지는 등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압축기(1)에서 압축 토출되는 냉매가 응축기(2), 팽창밸브(3), 분배기(4), 증발기(5) 및 어큐물레이터(6)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냉기를 발생한 후 다시 압축기(1)로 유입되어 압축 토출되는 냉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1) 및 분배기(4)의 사이의 사이를 연결하는 냉매 파이프(7)가 구비되고, 냉매 파이프(7)에 흡입측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81)가 설치되어 그 압력 조절밸브(81)에 모듈레이팅 밸브 어셈브리(82)를 병렬로 연결되고, 그 압력조절밸브(81) 및 모듈레이팅 밸브 어셈브리(82)에 솔레노이드 밸브(83)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의 자동온도 조절장치.
KR2019980020052U 1998-10-20 1998-10-20 에어콘의자동온도조절장치 KR2002422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52U KR200242219Y1 (ko) 1998-10-20 1998-10-20 에어콘의자동온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52U KR200242219Y1 (ko) 1998-10-20 1998-10-20 에어콘의자동온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75U KR20000008375U (ko) 2000-05-15
KR200242219Y1 true KR200242219Y1 (ko) 2001-12-01

Family

ID=69516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052U KR200242219Y1 (ko) 1998-10-20 1998-10-20 에어콘의자동온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2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75U (ko) 2000-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78451B1 (en) Motor cooling in a refrigeration system
EP1856458B1 (en) Control of a refrigeration circuit with an internal heat exchanger
JPS6186536A (ja) 冷凍装置および環境制御装置
US69595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head pressure control
KR920008442A (ko) 공기조화기
EP0355180B1 (en) Coo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890013436A (ko) 냉동장치
JPH0237253A (ja) 密閉冷凍回路
US10502470B2 (en) System and method to maintain evaporator superheat during pumped refrigerant economizer operation
US6990826B1 (en) Single expansion device for use in a heat pump
KR200242219Y1 (ko) 에어콘의자동온도조절장치
US3149475A (en) Head pressure control for refrigeration system
EP3628942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 vapour compression system at a reduced suction pressure
KR970047377A (ko) 공기 조화기
US9086232B1 (en) Refrigeration system having supplemental refrigerant path
JP2508842B2 (ja) 空気調和機
JPH0213908Y2 (ko)
KR20010063373A (ko) 공기조화기의 팽창밸브 개도 제어방법
JPS6027321Y2 (ja) 冷暖房装置
CN107869865B (zh) 在泵运行模式期间对过热水平进行控制的方法及制冷系统
KR0121453Y1 (ko) 팽창밸브의 압력 조절장치
JPS5851580Y2 (ja) 自動車用冷房装置
JPS5829791Y2 (ja) 空気調和装置
KR100186326B1 (ko) 냉각장치의 팽창밸브
JPH06307722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