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177Y1 -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 - Google Patents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177Y1
KR200242177Y1 KR2020010013903U KR20010013903U KR200242177Y1 KR 200242177 Y1 KR200242177 Y1 KR 200242177Y1 KR 2020010013903 U KR2020010013903 U KR 2020010013903U KR 20010013903 U KR20010013903 U KR 20010013903U KR 200242177 Y1 KR200242177 Y1 KR 200242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stening
flange member
cover memb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민
Original Assignee
조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민 filed Critical 조성민
Priority to KR2020010013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1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177Y1/ko

Li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비교적 직경이 큰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보조하여 파이프의 연결을 강화하도록 하는 것이며,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0-14521 호의 장치를 개선한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부위를 둘러싸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의 길이방향의 양쪽선단면에 각각 부착·고정되며 그 마주보는 면상에는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부재를 구비하되, 플랜지부재는 단면상 'ㄷ'자형으로 구성하면서 플랜지부재의 마주보는 면상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비드를 형성하며, 체결홀은 수직방향의 폭이 적어도 수평방향의 폭보다는 큰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고, 플랜지부재의 커버부재와의 접촉면을 라운드지게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플랜지부재의 강성이 매우 강해져 파이프 연결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으므로 파이프의 연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대상이 되는 파이프의 관경이 서로 다르더라도 체결볼트의 유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어떠한 각도로 벌어지더라도 강한 체결이 가능해지고, 원형을 이루는 파이프의 면과 밀착되어 외관이 미려해짐은 물론 체결력이 강화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Band to support pipe connector}
본 고안은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직경이 큰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보조하여 파이프의 연결을 강화하도록 하는 것이며,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0-14521 호의 장치를 개선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파이프를 연결하는 체결방법으로는 파이프의 외경과 내경 및 재질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는데, 비교적 직경이 작은 파이프의 경우 단차가 있는 한쪽 파이프의 내부선단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역시 단차가 있는 다른 한쪽 파이프의 외부 선단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고, 단차가 없이 동일한 직경의 파이프 연결시는 파이프의 직경보다 내부직경이 크고 내부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적 직경이 큰 파이프의 경우 상기와 같은 나사식 결합을 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용접이음을 하거나 파이프 외주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하수도관과 같이 한쪽 파이프의 입구를 더 크게 하여 연결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직경이 큰 파이프의 경우 파이프에 가해지는 외부압력에 의해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유동이 발생하여 파이프가 이탈되기도 하고, 일정기간 사용시 부식되거나 연결관의 패킹재 등이 손상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0-14521 호에서 파이프 연결부위를 둘러싸는 커버부재(1)와, 일면이 상기 커버부재(1)의 길이방향의 양쪽선단 외측면에 각각 고정부착되고 다른 일면은 상기 커버부재(1)의 외측면에 대하여 대략 직각방향으로 연장되게 절곡성형되며 복수개의 체결홀(3)들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부재(4)들과, 상기 한쌍의 플랜지부재(4)들에 형성된 서로 대응하는 체결홀(3)들을 관통하여 상기 커버부재를 원통형으로 체결시 상기 플랜지부재를 체결고정하는 복수개의 체결볼트(5)들과 체결너트(6)들 및 와셔(7)들로 이루어진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0-14521 호에 따른 밴드는 그 플랜지부재가 단면상 'ㄴ'자 형태로만 절곡되어 있어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걸리는 압력을 견디기에는 미흡하였으며, 특히 서로 관경이 다른 파이프의 연결시 마주보는 플랜지부재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어느 정도는 벌어져서 체결되어야 하는데 그 체결볼트의 유동공간이 제한되어 있어 원활한 체결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으며, 이로 인해 파이프가 강하게 연결되지 못하여 누수, 탈리 등의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하였던 것이다.
또한, 플랜지부재의 하단면, 즉 커버부재와의 접촉면이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형을 갖는 파이프에 감을 때 커버부재가 파이프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게 되므로 밴드를 두른 후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함은 물론 체결력이 저하되며, 그 틈새로 이물질이 끼일 수 있어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플랜지부재를 단면상 'ㄷ'자형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플랜지부재의 마주보는 면상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비드를 형성하여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파이프의 연결부위에 걸리는 압력에 원활히 견디게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른 견지로는, 플랜지부재의 면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홀을 수직방향의 폭이 적어도 수평방향의 폭보다는 큰 형상을 갖게 하여 체결볼트의 유동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대상이 되는 파이프의 관경에 상관없이 강하게 체결될 수 있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견지로는, 플랜지부재의 커버부재와의 접촉면을 일정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구성하여 대상이되는 파이프면과 밀착되게 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체결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의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의 체결부 상세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커버부재 20 : 플랜지부재
21 : 비드 22 : 플랜지부재의 상단부위
23,24 : 플랜지부재의 절곡부위 25 : 보강리브
30 : 체결홀 40 : 체결볼트
50 : 체결너트 60 : 와셔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에 따라 구체화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0-14521 호와 마찬가지로 연결부위를 둘러싸는 커버부재(10)와, 커버부재(10)의 길이방향의 양쪽선단면에 각각 부착·고정되며 그 마주보는 면상에는 다수의 체결홀(30)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부재(20)와, 각 플랜지부재(20)의 체결홀(3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볼트(40), 체결너트(50) 및 와셔(60)로 이루어진 것인데, 아래와 같이 구체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즉, 커버부재(10)에 부착·고정되는 각 플랜지부재(20)는 단면상 'ㄷ'자형으로 구성되고, 플랜지부재(20)의 마주보는 면상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비드(21)가 형성되며, 플랜지부재(20)의 마주보는 면상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홀(30)은 수직방향의 폭이 적어도 수평방향의 폭보다는 큰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재(20)의 커버부재와의 접촉면이 일정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구성된 것이다.
이때, 각 플랜지부재(20)의 절곡된 상단부위(22)는 강성 보강에 필요한 최소한의 길이만을 제공하면 되므로 10㎜ 이하로 연속되게 절곡시키게 되며, 보다 큰 강성을 가지도록 플랜지부재(20)의 2개의 절곡부위(23)(24)를 라운딩되게 구성하고 중간중간에 보강리브(25)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재(10)가 파이프(P)에 설치되었을 때 2개의 플랜지부재(20) 사이의 공간을 커버부재(10)가 완전 덮을 수 있도록 2개의 플랜지부재(20)중 하나는 커버부재(10)의 일측선단에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커버부재(10)의 타측선단으로부터 일정거리 후퇴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는 기본적으로 파이프커넥터의 역할을 보조하여 파이프(P)의 체결상태를 유지강화시켜 파이프(P)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파이프(P)의 종류에 따라 파이프커넥터의 역할을 할 수도 있고, 파이프(P)의 누수가 발생하는 부분에 설치하여 누수시의 응급처치에 활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파이프(P)의 수평을 유지하여 연결부위를 먼저 폴리에틸렌 패드(미도시)로 감아 1차 처리한 상태에서 그 위에 커버부재(10)를 두르게 되면 커버부재(10)가 파이프(P)의 외경을 돌아 각 플랜지부재(20)가 마주보게 위치하게 된다. 이후, 각 플랜지부재(10)의 체결홀(30)을 관통하도록 체결볼트(40)를 끼우고, 와셔(60)와 너트(50)를 순차 끼워 강하게 체결하면 대상이 되는 각 파이프(P)가 연결됨은 물론 그 연결상태를 유동없이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는 실질적인 체결부위를 이루는플랜지부재(20)가 단면상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음은 물론 마주보는 플랜지부재(20)의 면상에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비드(21)가 형성되므로 종래기술에 따른 단면상 'ㄴ'자형상의 플랜지부재(4)와는 강성에 있어 비교되지 않으며, 따라서 파이프(P) 연결부위에 걸리는 강한 압에 대해서도 충분히 견딜 수 있어 상기와 같이 각 파이프(P)의 연결상태를 유동없이 오래토록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플랜지부재(20)의 하단면, 즉 커버부재와의 접촉면이 일정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를 파이프(P)에 감게 되면 원형을 이루는 파이프(P)의 면, 커버부재(10), 플랜지부재(20)의 하단면이 유사한 곡률을 이루어 밀착되므로 밴드를 감은 후의 외관이 깨끗해짐은 물론 체결력이 강화되며,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이물질이 끼일 염려가 없는 것이다.
그런데, 각 파이프(P)를 연결할 때에는 대상이 되는 파이프(P)가 항상 동일한 관경을 가질 수는 없으므로 대상이 되는 파이프(P)의 관경이 다를 경우에도 이들 사이를 원활히 연결할 수 있는 밴드를 제공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에서는 체결볼트(40)가 관통하는 체결홀의(30) 형상을 수직방향의 폭이 적어도 수평방향의 폭보다는 크게 구성한 것으로, 관경이 큰 부위에서는 각 플랜지부재(20)의 사이가 벌어질 것이고, 관경이 작은 부위에서는 각 플랜지부재(20)의 사이가 좁혀질 것이므로 체결홀(3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40) 역시 각 플랜지부재(20)의 위치에 따라 유동할 수 있는 어느 정도의 공간이 필요하며, 도 4와 같이 이러한 유동공간을 수평방향보다는 수직방향의 폭이 큰 체결홀(30)의 형상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체결홀(30)이 체결볼트(40)의 나사경보다 크게 되면 체결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나 체결볼트(40)와 플랜지부재(20) 사이 또는 체결너트(50)와 플랜지부재(20)의 사이에 와셔(60)를 삽입하면 체결력 저하의 문제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이프를 연결하는 밴드에 있어 꼭 필요한 커버부재, 플랜지부재, 체결볼트, 체결너트 등의 구성요소를 모두 가지지만 플랜지부재를 단면상 'ㄷ'자형으로 형성하면서 플랜지부재의 마주보는 면상에 다수의 비드를 형성한 것이므로 파이프 연결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제공할 수 있어 파이프의 연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체결볼트가 관통하는 체결홀을 수평 폭보다는 수직 폭을 더 크게 구성한 것이므로 대상이 되는 파이프의 관경이 서로 다르더라도 체결볼트의 유동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어떠한 각도로 벌어지더라도 강한 체결이 가능해지고, 플랜지부재의 하단면이 라운드지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대상이 되는 파이프의 면과 밀착되어 외관이 미려해짐은 물론 체결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파이프(P) 연결부위를 둘러싸는 커버부재(10)와, 상기 커버부재(10)의 길이방향의 양쪽선단면에 각각 부착·고정되며 그 마주보는 면상에는 다수의 체결홀(30)이 형성된 한쌍의 플랜지부재(20)와, 상기 각 플랜지부재(20)의 체결홀(30)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볼트(40), 체결너트(50) 및 와셔(60)로 이루어진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재(20)는 단면상 'ㄷ'자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재(20)의 마주보는 면상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비드(21)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홀(30)은 수직방향의 폭이 적어도 수평방향의 폭보다는 큰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재(20)의 커버부재와의 접촉면이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
KR2020010013903U 2001-05-12 2001-05-12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 KR200242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903U KR200242177Y1 (ko) 2001-05-12 2001-05-12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903U KR200242177Y1 (ko) 2001-05-12 2001-05-12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177Y1 true KR200242177Y1 (ko) 2001-10-15

Family

ID=7306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903U KR200242177Y1 (ko) 2001-05-12 2001-05-12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1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4265A (en) Exhaust system connector seal
KR101063415B1 (ko)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KR930004673A (ko) 파이프와 배관 및 그 파이프 고정 방법
US4630647A (en) Pipe repair clamp
KR100511414B1 (ko) 파이프 연결 밀착수밀밴드
KR200242177Y1 (ko)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
KR100488219B1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101012275B1 (ko)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KR200157905Y1 (ko) 나선관 및 그 연결구조
KR101589031B1 (ko) 복합형 파형 강관 연결재
RU2381408C2 (ru) Хомут-стяжка для крепления резиновой манжеты на трубопроводе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342312Y1 (ko) 파이프 연결부재
KR101438398B1 (ko) 플랜지형 파이프 연결구조
KR200339748Y1 (ko) 파이프 연결부재
KR19980038718U (ko)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KR200405750Y1 (ko)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
KR101147515B1 (ko)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장치
KR200331307Y1 (ko) 플렌지 타입 익스펜션 커플링
KR200220056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KR200414884Y1 (ko) 결합 클램프
KR20120133501A (ko) 클립훅 체결 구조를 가진 관 이음용 플랜지 조립체
KR20230055147A (ko) 환봉 지지 연결구
KR200352829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20040052723A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