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723A -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723A
KR20040052723A KR1020040030218A KR20040030218A KR20040052723A KR 20040052723 A KR20040052723 A KR 20040052723A KR 1020040030218 A KR1020040030218 A KR 1020040030218A KR 20040030218 A KR20040030218 A KR 20040030218A KR 20040052723 A KR20040052723 A KR 20040052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lange
fastening
pip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1807B1 (ko
Inventor
황광진
Original Assignee
황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광진 filed Critical 황광진
Priority to KR1020040030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807B1/ko
Publication of KR20040052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8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a heating or cooling apparatus in the supply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9/00Arrangements of valves and flow lines specially adapted for mixing fluids
    • F16K19/006Specially adapted for fauc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3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heat-exchanging means at the jun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30Diverter valves in faucets or t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 경사부가 형성된 링 형태의 체결링 하단에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볼트 체결부가 형성되어 플랜지의 외주면에 끼움되도록 구성되되, 일측 경사부 내부로는 테이퍼 진 내부 가압링을 결합하여 체결링을 체결함에 따라 플랜지 사이에 내재된 패킹이 밀착되어 관 연결부의 수밀이 달성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체결링(10)과 내부 가압링(20)으로 구성되며, 일측으로는 경사부(1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수직부(12)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볼트(13a)와 너트(13b)에 의해 결합되는 볼트 체결부(13)가 형성되고, 하단으로는 힌지부(14)가 구비된 원형의 체결링(10)과, 상기 체결링(10)의 경사부(11)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일측이 테이퍼 진 내부 가압링(20)으로 구성되어, 플랜지(41)의 사이 내부에 패킹(30)을 삽입하고 일측 플랜지(41)의 걸림턱(42)에 내부 가압링(20)을 끼운 후, 플랜지(41)의 외주면으로 체결링(10)을 체결하여 관(40)의 연결부를 수밀하게 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일측으로는 경사부가 형성된 링형태의 체결링을 제작하되, 하단에는 힌지부를 형성시키고, 상단에는 볼트 체결부를 형성시키며, 일측 걸림턱에 테이퍼 진 내부 가압링을 체결한 다음, 체결링을 플랜지와 인접하는 플랜지가 맞접하는 외주면에 끼워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체결링의 경사부가 내부 가압링의 테이퍼 진 면을 따라 가압되어 플랜지의 외주면에 동일한 힘이 작용하여 플랜지 사이에 보다 확실한 체결을 이루도록 하며, 용이한 시공성으로 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 가압링의 하단에는 힌지부를 형성하고, 상단으로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힌지부를 중심으로 내부 가압링을 벌린 후 플랜지의 일측 걸림턱에 끼운 다음 요철부를 체결함으로써 원터치의 형태로 내부 가압링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전체적인 조립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 the connecting ring for mediocrity pipe has flange }
본 발명은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양측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범용 관의 연결을 위한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경사부가 형성된 체결링의 하단에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볼트 체결부가 형성되어 플랜지의 외주면에 끼움되도록 구성되되, 일측으로는 테이퍼 진 내부 가압링을 결합하여 체결링을 체결함에 따라 플랜지 사이에 내재된 패킹이 가압되어 수밀이 달성되는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범용 관은 주로 기체 ·액체 등의 수송용이나 전선 및 각종 케이블 등을 배선할 때의 보호용으로 쓰이며, 수도관 ·가스관 등 일상적인 것에서부터 각종 공업용 시설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쓰인다.
그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관으로는 금속을 재료로 하여 이를 압연 또는 용접 등에 의하여 관 모양으로 가공한 금속관과,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압출하거나 원통의 형태로 감으면서 융착시키는 합성수지관이 대표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공정에 의해 일정한 길이로 생산하되, 양측단에는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생산되어, 실제 배관공사의 현장에서는 개별적으로 생산된 관을 매설해가면서, 관을 하나씩 플랜지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배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플랜지가 형성된 관의 연결방법은,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를 서로 맞댄 다음 그 둘레에 형성된 볼트공에 볼트를 끼우고 너트를 체결하여 관을 연결하되, 그 사이에 링형태의 패킹을 삽입하여 관과 인접하는 관 사이가 수밀하도록 하는 바, 이는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단순히 패킹을 삽입하여 수밀성을 갖도록 한 구조이어서 그 수밀성은 패킹 하나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연결부 사이가 벌어져서 누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장기간 사용 시 연결 볼트가 풀어지거나 패킹이 노후되어 수밀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일측으로는 경사부가 형성된 링형태의 체결링을 제작하되, 하단에는 힌지부를 형성시키고, 상단에는 볼트 체결부를 형성시키며, 일측 걸림턱에 테이퍼 진 내부 가압링을 체결한 다음, 체결링을 플랜지와 인접하는 플랜지가 맞접하는 외주면에 끼워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체결링의 경사부가 내부 가압링의 테이퍼 진 면을 따라 가압되어 플랜지의 외주면에 동일한 힘이 작용하여 플랜지 사이에 보다 확실한 체결을 이루도록 하며, 용이한 시공성으로 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내부 가압링의 하단에는 힌지부를 형성하고, 상단으로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힌지부를 중심으로 내부 가압링을 벌린 후 플랜지의 일측 걸림턱에 끼운 다음 요철부를 체결함으로써 원터치의 형태로 내부 가압링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전체적인 조립이 신속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체결링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체결링 11 : 경사부
12 : 수직부 13 : 볼트 체결부
13a : 볼트 13b : 너트
13c : 와셔 14 : 힌지부
20 : 내부 가압링 21 : 경사면
22 : 요철부 23 : 힌지
30 : 패킹 40 : 관
41 : 플랜지 42 : 걸림턱
43 : 홈
본 발명은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 경사부가 형성된 링형태의 체결링 하단에는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볼트 체결부가 형성되어 플랜지의 외주면에 끼움되도록 구성되되, 일측 경사부 내부로는 테이퍼 진 내부 가압링을 결합하여 체결링을 체결함에 따라 플랜지 사이에 내재된 패킹이 밀착되어 관의 수밀이 달성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크게 체결링(10)과 내부 가압링(20)으로 구성되며, 일측으로는 경사부(1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수직부(12)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볼트(13a)와 너트(13b)에 의해 결합되는 볼트 체결부(13)가 형성되고, 하단으로는 힌지부(14)가 구비된 원형의 체결링(10)과, 상기 체결링(10)의 경사부(11)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일측이 테이퍼 진 내부 가압링(20)으로 구성되어, 플랜지(41)의 사이 내부에 패킹(30)을 삽입하고 일측 플랜지(41)의 걸림턱(42)에 내부 가압링(20)을 끼운 후, 플랜지(41)의 외주면으로 체결링(10)을 체결하여 관(40)의 연결부를 수밀하게 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플랜지(41)가 형성된 관(40) 사이 내부로는 패킹(30)이 삽입되고, 일측 플랜지(41)의 후측으로는 내부 가압링(20)이 끼움되며, 플랜지(41)의 외주면에는 체결링(10)이 결합되는 바, 우선 체결링(10)의 구성을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원형의 링을 형성하되, 일측으로는 소정의 폭만큼 경사부(1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소정의 폭만큼 수직부(12)가 형성되어, 경사부(11)는 후술하는 내부 가압링(20)의 경사면(21)과 접하도록 하고, 수직부(12)는 플랜지(41)와 접하도록 하여 볼트 체결부(13)에 의해 체결 시 경사부(11)가 내부 가압링(20)을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체결링(10)의 하단으로는 힌지부(14)가 형성되어, 체결링(10)을 힌지부(14)를 중심으로 벌려서 플랜지(41)의 외주면에 끼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체결링(10)의 상단으로는 볼트 체결부(13)가 형성되어 볼트(13a)와 너트(13b) 및 와셔(13c)에 의해 체결링(10)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내부 가압링(20)은 원형의 링형태로, 일측면의 가장자리는 얇고 중앙부로 향할수록 두께가 점층적으로 두꺼워지는 경사면(21)이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며, 테이퍼 진 정도는 상기 체결링(10)의 경사부(11) 각도와 일치하도록 구성되고, 내부 가압링(20)의 내경은 플랜지(41)의 걸림턱(42)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며, 내부 가압링(20)의 외경은 상기 체결링(10)의 내경과 같도록 제작되어 체결링(10)의 체결 시 경사부(11)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 가압링(20)의 하단으로는 힌지(23)가 형성되고, 상단으로는 요철부(22)가 형성되어 내부 가압링(20)을 힌지(23)를 중심으로 벌려서 걸림턱(42)에 끼운 다음 요철부(22)를 통해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패킹(30)은 관(40)의 내경 입구에 형성된 홈(43)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링형태로 형성된 고무 재질로 된 통상의 패킹(30)으로서, 홈(43)에 삽입되어 체결링(10)에 의해 가압되면 패킹(30)이 밀착되어, 관(40)의 내부로 유체가 이동될 때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관(40)의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되지 않도록 하여 수밀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관(40)은 양단에 플랜지(41)가 형성된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 등으로 모든 범용 관에 공히 사용이 가능하며, 관(40)의 양측 입구에는 원형의 홈(43)이 형성되어 상기 패킹(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플랜지(41)와 관(40)의 연결부위에는 걸림턱(42)이 형성되어 상기 내부 가압링(20)이 결착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 및 설치상태가 도 3과 도 4에 잘 도시된 바, 이를 살펴보면, 우선 양단에 플랜지(41)가 형성된 관(40)의 일측 걸림턱(42)에 내부 가압링(20)을 결착한 후, 패킹(30)을 관(40)과 인접하는 관(40)의 입구에 형성된 홈(43)에 삽입하여 플랜지(41)와 인접하는 플랜지(41)가 맞접하도록 한 다음, 체결링(10)을 벌려서 경사부(11)가 형성된 부분이 내부 가압링(20)이 삽착된 쪽으로 향하도록 끼운 후, 체결링(10)을 오므려서 체결링(10) 상단에 형성된 볼트 체결부(13)의 볼트(13a)를 죄게되면 체결링(10)이 점진적으로 오므려지면서 경사부(11)가 내부 가압링(20)을 따라 이동되면서 경사면(21)에 힘이 가해지게 되어 플랜지(41)와 인접하는 플랜지(41)가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조립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필요한 길이만큼의 관(40)을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연결된 관(40)의 플랜지(41) 연결부는 완전히 수밀이 달성되어 유체의 유출이나 수분의 침투가 발생되지 않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일측으로는 경사부가 형성된 링형태의 체결링을 제작하되, 하단에는 힌지부를 형성시키고, 상단에는 볼트 체결부를 형성시키며, 일측 걸림턱에 테이퍼 진 내부 가압링을 체결한 다음, 체결링을 플랜지와 인접하는 플랜지가 맞접하는 외주면에 끼워 볼트로 체결함으로써 체결링의 경사부가 내부 가압링의 테이퍼 진 면을 따라 가압되어 플랜지의 외주면에 동일한 힘이 작용하여 플랜지 사이에 보다 확실한 체결을 이루도록 하며, 용이한 시공성으로 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 가압링의 하단에는 힌지부를 형성하고, 상단으로는 요철부를 형성하여 힌지부를 중심으로 내부 가압링을 벌린 후 플랜지의 일측 걸림턱에 끼운 다음 요철부를 체결함으로써 원터치의 형태로 내부 가압링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전체적인 조립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관의 접속장치에 있어서,
    일측으로는 경사부(11)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수직부(12)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볼트(13a)와 너트(13b)에 의해 결합되는 볼트 체결부(13)가 형성되고, 하단으로는 힌지부(14)가 구비된 원형의 체결링(10)과,
    상기 체결링(10)의 경사부(11) 각도와 일치하도록 일측이 테이퍼 진 링형태로 제작된 내부 가압링(20)으로 구성되어,
    플랜지(41)의 사이에 패킹(30)을 삽입하고, 일측 걸림턱(42)에 내부 가압링(20)을 끼운 후, 플랜지(41)의 외측으로 체결링(10)을 체결하여 관(40)의 연결부를 수밀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내부 가압링(20)은, 상단에는 요철부(22)가 형성되고 하단으로는 힌지(23)가 형성되어, 힌지(23)를 중심으로 내부 가압링(20)을 벌린 후 플랜지(41)의 일측 걸림턱(42)에 끼우고 요철부(22)를 체결함으로써 조립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20040030218A 2004-04-29 2004-04-29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0751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218A KR100751807B1 (ko) 2004-04-29 2004-04-29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218A KR100751807B1 (ko) 2004-04-29 2004-04-29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723A true KR20040052723A (ko) 2004-06-23
KR100751807B1 KR100751807B1 (ko) 2007-08-27

Family

ID=3734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218A KR100751807B1 (ko) 2004-04-29 2004-04-29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18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150A (ko) * 2022-06-13 2023-12-20 한국토지주택공사 상수도관 연결 조인트 및 이를 활용한 누수 측정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390B1 (ko) 2008-01-14 2010-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035553B1 (ko) 2008-11-27 2011-05-23 김정숙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상수도관 이음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150A (ko) * 2022-06-13 2023-12-20 한국토지주택공사 상수도관 연결 조인트 및 이를 활용한 누수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1807B1 (ko) 2007-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1576A (en) Connector and coupling means
US8172277B2 (en) Pipe coupling device
US3341232A (en) Pipe joint
JP4094609B2 (ja) 管継手
JP2009057714A (ja) マンホールと下水道本管との接続構造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US5957505A (en) Branch pipe connection
KR100488219B1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10039878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100718684B1 (ko) 주철관 연결용 플랜지 소켓 어셈블리
KR101785632B1 (ko)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KR200296078Y1 (ko) 배수관용 파이프 연결구
KR100751804B1 (ko) 경사진 플랜지를 가진 합성수지관의 접속장치
KR200368081Y1 (ko) 분기관 연결구조
GB2305481A (en) Pipe coupling with gasket and housing
KR200280038Y1 (ko) 편수관의 관이음구
KR100639929B1 (ko) 기능성 클램프 및 방법
KR200256669Y1 (ko) 이중관 파이프 연결 소켓트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371982Y1 (ko) 기능성 클램프
KR102581533B1 (ko)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연결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200302170Y1 (ko) 이음관용 조임구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