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750Y1 -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750Y1
KR200405750Y1 KR2020050030670U KR20050030670U KR200405750Y1 KR 200405750 Y1 KR200405750 Y1 KR 200405750Y1 KR 2020050030670 U KR2020050030670 U KR 2020050030670U KR 20050030670 U KR20050030670 U KR 20050030670U KR 200405750 Y1 KR200405750 Y1 KR 200405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fastening
side fastening
fastening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민
Original Assignee
조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민 filed Critical 조성민
Priority to KR2020050030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7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7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결너트가 너트측 체결홀에 고정·부착되게 하거나 원통형으로 가공된 너트측 체결홀의 내면에 나사홈이 형성되게 하여 체결작업을 훨씬 간편하게 하고, 다수의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에 균일한 체결력을 갖도록 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는 파이프의 연결부위를 둘러싸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의 일측선단에 설치되고 커버부재의 타측선단과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마주보는 면에는 다수의 너트측 체결홀과 볼트측 체결홀이 형성된 단면상 "ㄴ" 또는 "ㄷ"자형의 한쌍의 플랜지부재와, 너트측 체결홀과 볼트측 체결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볼트와, 체결너트로 이루어진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에 있어서, 체결너트가 너트측 체결홀에 고정·부착되어 있게 된다. 또한, 체결너트를 채택하지 않고, 너트측 체결홀을 원통형으로 가공하고, 너트측 체결홀의 내면에 나사홈을 형성하여 체결볼트와 체결하게 할 수도 있다.
플랜지부재, 너트측 체결홀, 체결너트, 체결볼트

Description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Apparatus for assisting pipe connecto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체결너트가 너트측 체결홀에 고정되기 전의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의 체결너트가 너트측 체결홀에 고정된 후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너트측 체결홀이 원통형으로 가공된 경우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커버부재 20: 플랜지부재
21: 너트측 체결홀 22: 볼트측 체결홀
23: 상단부위 25a, 25b: 절곡부위
26: 비드 30: 체결볼트
31: 와셔 40: 체결너트
41: 고정부재
본 고안은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직경이 큰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보조하여 파이프의 연결을 강화하도록 하는 것이며, 특히 체결너트를 플랜지부재의 너트측 체결홀에 고정·부착시켜 체결시에 더욱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비교적 직경이 큰 파이프의 경우 나사식 결합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용접이음을 하거나 파이프 외주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하수도관과 같이 한쪽 파이프의 입구를 더 크게 하여 연결하기도 한다.
그런데, 직경이 큰 파이프의 경우 파이프에 가해지는 외부압력에 의해 파이프가 이탈되기도 하고, 일정기간 사용시 부식되거나 연결관의 패킹재 등이 손상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 0203030 호와 제 0242177 호에서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용신안등록은 플랜지부재의 체결홀을 관통하여 체결볼트와 체결너트를 체결할 때에 체결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스패너로 고정시켜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고, 설치공간이 좁은 경우에는 더욱 문제가 되었다. 또한, 체결너트의 고정에 일정한 힘을 주어야 하므로 다수의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에 균일한 체결력을 갖도록 체결하기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비교적 직경이 큰 파이프의 연결을 강화시켜 파이프의 이탈과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의 체결 편의성을 위해 체결너트 가 너트측 체결홀에 고정·부착되거나 원통형으로 가공된 너트측 체결홀의 내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의 연결부위를 둘러싸는 커버부재(10)와, 커버부재(10)의 일측선단에 설치되고 커버부재(10)의 타측선단과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마주보는 면에는 다수의 너트측 체결홀(21)과 볼트측 체결홀(22)이 형성된 단면상 "ㄴ" 또는 "ㄷ"자형의 한쌍의 플랜지부재(20)와, 너트측 체결홀(21)과 볼트측 체결홀(22)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볼트(30)와, 체결너트(40)로 이루어진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에 있어서, 체결너트(40)가 너트측 체결홀(21)에 고정·부착되어 있게 된다. 또한, 체결너트(40)가 너트측 체결홀(21)에 용접되어 고정·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단면상 "ㄴ"자형의 플랜지부재(20)의 강성 보강을 위해 절곡된 상단부위(23)를 형성할 수 있고, 플랜지부재(20)의 절곡부위(25a)(25b)를 라운딩지게 구성하며 절곡부위(25b)에 다수의 보강리브(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고, 플랜지부재(20)의 너트측 체결홀(21) 사이와 볼트측 체결홀(22) 사이에 각각 비드(26)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부재(10)가 파이프에 설치되었을 때 한쌍의 플랜지부재(20) 사이의 공간을 커버부재(10)가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플랜지부재(20)중 하나는 커버부재(10)의 일측선단에 설치하고, 다른 하나는 커버부재(10)의 타측 선단으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체결너트(40)에는 원형으로 중공된 고정부재(41)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고, 고정부재(41)가 너트측 체결홀(21)에 끼워진 후에 프레스(미도시)로 압착되므로 체결너트(40)가 너트측 체결홀(21)에 고정·부착되어 있게 된다. 이때, 고정·부착된 체결너트(40)가 회전하지 않도록 너트측 체결홀(21)의 형상은 다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부재(41)의 외형은 너트측 체결홀(21)의 형상과 같은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할 수 있다. 고정부재(41)의 외형이 원형일 경우에는 프레스 압착시 너트측 체결홀(21)의 다각형 모서리쪽으로 고정부재(41)가 밀려들어가므로 체결너트(40)가 너트측 체결홀(21)에서 겉돌지 않게 된다.
또한, 프레스 압착시 고정부재(41)가 안쪽으로 밀려들어와 체결볼트(30)가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스에는 체결볼트(30)보다 큰 외경을 가진 원통이 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너트(40)를 채택하지 않고, 플랜지부재(20)를 가압·펀칭하여 너트측 체결홀(21)을 원통형으로 가공하고, 상기 너트측 체결홀(21)의 내면에 나사홈을 형성하여 체결볼트(30)와 체결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는 기본적으로 파이프커넥터를 보조하여 파이프의 체결상태를 유지강화시켜 파이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파이프의 종류에 따라 파이프커넥터의 역할을 할 수도 있으며, 파이프의 누수가 발생하는 부분에 설치하여 누수시의 응급처치에 활용할 수도 있다. 이때, 2개의 파이프의 연결부위를 먼저 폴리에틸렌 패드(미도시)로 감아 1차 처리한 상태에서 그 위에 커버부재(10)를 두르게 되면, 커버부재(10)가 파이프를 감싸게 되고 한쌍의 플랜지부재(20)가 마주보게 된다. 이후, 와셔(31)와 볼트측 체결홀(22)을 관통하도록 체결볼트(30)를 끼우고, 너트측 체결홀(21)에 고정·부착된 너트(40)에 끼워 강하게 체결하면 2개의 파이프가 연결됨은 물론 그 연결상태를 유동없이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체결너트가 너트측 체결홀에 고정·부착되게 하거나 원통형으로 가공된 너트측 체결홀의 내면에 나사홈이 형성되게 함으로서, 특히 좁은 공간에서 두 파이프를 연결해야 할 경우에 체결볼트만을 돌려서 체결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훨씬 간편해지고, 체결너트가 회전하지 않도록 스패너로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 다수의 체결볼트와 체결너트에 균일한 체결력을 갖도록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파이프의 연결부위를 둘러싸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선단과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마주보는 면에는 다수의 너트측 체결홀과 볼트측 체결홀이 형성된 단면상 "ㄴ" 또는 "ㄷ"자형의 한쌍의 플랜지부재와, 상기 너트측 체결홀과 상기 볼트측 체결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볼트와, 체결너트로 이루어진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체결너트가 상기 너트측 체결홀에 고정·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너트에는 원형으로 중공된 고정부재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너트측 체결홀에 끼워진 후에 프레스로 압착되어 상기 체결너트가 상기 너트측 체결홀에 고정·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측 체결홀의 형상은 다각형이고, 상기 고정부재의 외형은 다각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너트가 상기 너트측 체결홀에 용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
  5. 파이프의 연결부위를 둘러싸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선단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선단과 일정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마주보는 면에는 다수의 너트측 체결홀과 볼트측 체결홀이 형성된 단면상 "ㄴ" 또는 "ㄷ"자형의 한쌍의 플랜지부재와, 상기 너트측 체결홀과 상기 볼트측 체결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볼트로 이루어진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너트측 체결홀이 원통형으로 가공되고, 상기 너트측 체결홀의 내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볼트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
KR2020050030670U 2005-10-28 2005-10-28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 KR200405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670U KR200405750Y1 (ko) 2005-10-28 2005-10-28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670U KR200405750Y1 (ko) 2005-10-28 2005-10-28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750Y1 true KR200405750Y1 (ko) 2006-01-10

Family

ID=4175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670U KR200405750Y1 (ko) 2005-10-28 2005-10-28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7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1530B2 (en) Mechanical fastener for clamp
JPS6124593B2 (ko)
JP5529411B2 (ja) フランジ離間防止装置
EP1834123B1 (en) Flange
KR101171334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6242626B2 (ja) 管継手
JP2017145885A (ja) 接合部の補強治具および接合部の補強構造
KR200405750Y1 (ko) 파이프커넥터 보조장치
KR100689605B1 (ko) 체결력이 유지되는 에지리스 타입 파이프 커플링
JP4404254B2 (ja) フランジ接合装置
KR101102334B1 (ko) 오ㆍ폐수 및 우수용 파이프 커플링장치
KR20090042771A (ko) 패킹을 이용한 관 이음장치
JP6935888B2 (ja) 補強治具の装着方法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200382029Y1 (ko)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KR200142369Y1 (ko) 건축용 배관덕트의 배관지지장치
KR20030060561A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JP4376084B2 (ja) フランジ接合部のための接合補強ナット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JP7288779B2 (ja) 分岐管補修装置
JP6592487B2 (ja) 管継手
JP6914302B2 (ja) 管継手
KR200315555Y1 (ko)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JP6068122B2 (ja) 分岐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