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748Y1 - 파이프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748Y1
KR200339748Y1 KR20-2003-0032512U KR20030032512U KR200339748Y1 KR 200339748 Y1 KR200339748 Y1 KR 200339748Y1 KR 20030032512 U KR20030032512 U KR 20030032512U KR 200339748 Y1 KR200339748 Y1 KR 200339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tight
present
connecting member
auxiliar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2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무
Original Assignee
안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무 filed Critical 안병무
Priority to KR20-2003-0032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748Y1/ko
Priority to US10/595,366 priority patent/US7497485B2/en
Priority to CNA2004800301821A priority patent/CN1867741A/zh
Priority to EP04793524A priority patent/EP1680558A4/en
Priority to PCT/KR2004/002666 priority patent/WO2005038152A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등의 하부 분기관과 배수 파이프의 연결 또는 파이프와 파이프의 접속시 오수가 전혀 새지않도록 수밀되게 연결하며, 특히 다양한 직경에도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소정의 폭을 가지며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접합되는 수밀부재와; 상기 몸체의 양측 끝단에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와 동일 폭으로 되어 덮개의 내측에 수밀부재가 접합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보조부재;로 이루어지지며, 맨홀의 분기관 또는 파이프와 파이프를 접속함에 있어서,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에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파이프의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전혀 되지 않으므로 재공사로 인한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부재{Pipe connection accompaniment materials}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 등의 하부 분기관과 배수 파이프의 연결 또는 파이프와 파이프의 접속시 오수가 전혀 새지않도록 수밀되게 연결하며, 특히 다양한 직경에도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물과 오수 등이 집수되는 맨홀은 하부에 구비된 분기관과 연결된 배수 파이프(1)로 배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와 같이 분기관과 파이프(1)가 접속되는 부위에서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파이프 연결부재(10)를 사용한다.
상기 파이프 연결부재(10)는 통상적으로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1)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파이프 연결부재(10)는 내측에 고무재 등으로 되는 완충재(11)가 구비된 몸체(12)와, 상기 몸체(12)의 양측 끝단에 구비되는 결합부(13) 및 상기 몸체(12)의 일측 끝단이 연장되어 연설되는 연장편(14)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파이프(1)와 파이프(1)가 접속되는 부위의 외측에 설치하여 상기 결합부(13)에 볼트 등을 체결하여 결속함으로써, 몸체(12)의 연장편(14)이 몸체(12)의 타측 완충재(11)와 몸체(12)의 사이로 점차 인입되면서 중첩되어 밀착이 된다. 따라서, 다양한 직경의 분기관(2)일지라도 상기 연장편(14)과 몸체(12)의중첩 정도에 따라 각각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몸체(12)의 일측 연장편(14)이 상기 몸체(12)의 타측 완충재(11)와의 사이로 인입되면서 압착됨에 따라, 일정 부위에서 인입이 되지 않고 겹치게 되어 그 부분으로 누수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연결부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고안이며,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의 연결시에도 간편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전혀 되지 않아 수밀성이 유지되는 파이프의 연결부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연결부재의 사용상태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용상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연결부재 110 : 몸체
111 : 개방부 120,142 : 수밀부재
121 : 공간부 130 : 결합부
131 : 결합공 140 : 보조부재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정의 폭을 가지며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접합되는 수밀부재와; 상기 몸체의 양측 끝단에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결합부와; 상기 몸체와 동일 폭으로 되어 덮개의 내측에 수밀부재가 접합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보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외측으로 일정 두께로 절곡되어 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보조부재는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 지고 하단에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사용상태 횡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부재(100)는 소정 폭으로 되어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내부에 접착되는 수밀부재(120),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양측 끝단에 구비되는 결합부(130) 및 보조부재(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는 탄성이 있는 소정 폭의 금속재 등으로 되어 소정 곡률로 만곡되며, 상기 몸체(110)의 양 끝단 사이에는 개방부(111)가 형성되어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는 폴리에틸렌(PE)재 등으로 되는 소정 두께의 수밀부재(120)를 접착하되, 상기 몸체(110)와 접착되는 내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공간부(121)를 형성하여 완충효과 및 밀착효과를 극대화 시킨다. 또한, 상기 수밀부재(120)는 파이프의 연결시 직경차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해 상기 몸체(110)의 중도부에서 두께를 달리하여 부착하거나, 상기 몸체(110)를 절곡하여 일정 두께만큼 단턱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의 수밀부재(120) 또한 상기 절곡된 몸체(110)와 동일하게 부착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10)의 양측 끝단에는 각각 결합부(130)를 일체로 구비하여 파이프 등의 관체를 접속시 견고히 조여 주도록 하며,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몸체(110)로부터 대략 직각이 되도록 외측방향으로 절곡하고, 상기 결합부(130)에는 다수개의 결합공(131)을 천공함으로써, 볼트(132) 너트(133)로 결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결합공(131)은 4각형의 형태로 천공하고, 상기 너트(133)도 상기 결합공(131)에 삽입되어 취부되는 4각형태로 구비함으로써, 장형의 볼트(132)를 결합시 렌치 등의 도구로 상기 볼트(132)를 회전시켜 간편하게 장형의 볼트(132)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개방부(111)를 차단하기 위해 소정 폭으로 되는 보조부재(140)를 별도로 구비하며, 상기 보조부재(140)도 상기 몸체(110)와 동일하게 금속재 등으로 되는 덮개(141)의 내측에 폴리에틸렌(PE)재 등으로 되는 수밀부재(142)를 접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조부재(140)의 좌,우 측면은 점차 두께가 얇아지도록 구비함으로써, 상기 몸체(110)와 밀착시 밀착성이 좋도록 한다.
상기 보조부재(140)의 하단에는 소정 높이로 걸림턱(143)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110)의 개방부(111)를 차단시 상기 몸체(110)의 하단부가 상기 걸림턱(143)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보조부재(140)의 상,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하며, 아울러, 상기 보조부재(140)의 중도부에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길게 기준선(144)을 표시하여 상기 보조부재(140)의 횡방향 위치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부재(100)는 큰 직경의 파이프(1) 내에 작은 직경의 파이프(1)가 삽입되어 접속부위에 직경차가 생기거나, 상기 접속되는 파이프(1)의 직경이 다양할 경우 이에 적용하기가 편리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접속된 파이프(1)의 접속부위에서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파이프(1)의 외측에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부재(10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몸체(110)의 결합부(130)에 형성된 결합공(131)에는 장형의 볼트(132)와 너트(133)를 체결하여 조임으로써, 개방부(111)의 간격이 점차 좁아지며 상기 파이프(1)와 밀착 결합된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개방부(111)에는 보조부재(140)를 덧대어 수밀성이 좋도록 하는 바, 상기 보조부재(140)에 형성된 기준선(144)을 몸체(110)의 개방부(111) 중앙에 위치시키고, 걸림턱(143)을 몸체(110)의 하단에 밀착시킨 후 견고히 조인다.
따라서, 상기 보조부재(140)의 일정 부분이 상기 몸체(110)와 중첩되어 조여짐에 따라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1)에도 적용해도 상기 보조부재(140)와 몸체(110) 사이에서 누수가 전혀 되지 않고 완전 밀착되어 수밀성이 좋으며, 상기 수밀부재(12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121)에 의해 밀착성이 극대화되며 상기 보조부재(140)와의 간섭이 줄어든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파이프 연결부재에 대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실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변경,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맨홀의 분기관 또는 파이프와 파이프를 접속함에 있어서, 다양한 직경의 파이프에도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파이프의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전혀 되지 않으므로 재공사로 인한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Claims (3)

  1. 소정의 폭을 가지며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어 개방부(111)가 형성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접합되는 수밀부재(120)와;
    상기 몸체(110)의 양측 끝단에 다수개의 결합공(131)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결합부(130)와;
    소정 폭으로 되는 덮개(141)의 내측에 수밀부재(142)가 접착되어 별도로 구비되는 보조부재(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양측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얇아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의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부재.
KR20-2003-0032512U 2003-10-17 2003-10-17 파이프 연결부재 KR200339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512U KR200339748Y1 (ko) 2003-10-17 2003-10-17 파이프 연결부재
US10/595,366 US7497485B2 (en) 2003-10-17 2004-10-18 Band device of joining pipe for preventing from leakage
CNA2004800301821A CN1867741A (zh) 2003-10-17 2004-10-18 用于连接管子防止渗漏的连接装置
EP04793524A EP1680558A4 (en) 2003-10-17 2004-10-18 BANDING DEVICE FOR CONNECTING A TUBE FOR PREVENTING LEAKAGE
PCT/KR2004/002666 WO2005038152A1 (en) 2003-10-17 2004-10-18 A band device of joining pipe for preventing from lea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512U KR200339748Y1 (ko) 2003-10-17 2003-10-17 파이프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748Y1 true KR200339748Y1 (ko) 2004-01-24

Family

ID=3742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512U KR200339748Y1 (ko) 2003-10-17 2003-10-17 파이프 연결부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39748Y1 (ko)
CN (1) CN18677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630B1 (ko) 2008-03-18 2008-06-16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연결소켓 일체형 콘크리트 맨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630B1 (ko) 2008-03-18 2008-06-16 주식회사 태원코퍼레이션 연결소켓 일체형 콘크리트 맨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67741A (zh) 200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1414B1 (ko) 파이프 연결 밀착수밀밴드
KR102137111B1 (ko) 하수관 연결장치
JP4428886B2 (ja) ハンドホール継手
KR200339748Y1 (ko) 파이프 연결부재
KR20070013178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AU9521898A (en) improved seal device
KR200484415Y1 (ko) 소켓부를 갖는 콘크리트 하수관 조인트부의 누수방지 연결구
KR200342312Y1 (ko) 파이프 연결부재
KR100629479B1 (ko) 방향 및 각도조절구가 구비된 맨홀
US20040094951A1 (en) Conduit sealing system
KR101110674B1 (ko) 내부 평활관용 파이프 연결시스템
KR20090121854A (ko) 편수관
JP4229298B2 (ja) 管の接続構造
KR200226282Y1 (ko) 조립식 욕실용 보조 배수트랩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JP3649435B2 (ja) 管接続部材および管継手構造
KR200344491Y1 (ko) 지관용 새들
KR100603195B1 (ko) 압입형 하수관 분기구
JP4558605B2 (ja) 内副管用管継手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200307198Y1 (ko) 관 연결구
KR20090024499A (ko) 파이프용 커넥터
KR20040052723A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200300524Y1 (ko) 우오수받이의 관 연결장치
KR200242177Y1 (ko) 파이프커넥터 보조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