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675Y1 - 원사 열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원사 열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675Y1
KR200241675Y1 KR2020010012449U KR20010012449U KR200241675Y1 KR 200241675 Y1 KR200241675 Y1 KR 200241675Y1 KR 2020010012449 U KR2020010012449 U KR 2020010012449U KR 20010012449 U KR20010012449 U KR 20010012449U KR 200241675 Y1 KR200241675 Y1 KR 200241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heating
heat
roll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태웅
Original Assignee
방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태웅 filed Critical 방태웅
Priority to KR2020010012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6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675Y1/ko

Links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사(실)에 열을 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원사에 부분적으로 열을 가함으로써 그에 의한 염색이나 제직에 따른 색상과 성질상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그 구성을 보면, 가열장치는 원주면에 원사가 감길 수 있도록 원형직경을 가진 롤러형태를 이루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롤러의 원주부분에는 원주를 감으면서 통과하는 원사에 열을 가하는 부분과 가하지 않는 부분을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반복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원사의 가공에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장치를 원사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염착도의 차이로 인한 색상이나, 벌키성, 광택 등의 차이가 교대로 나타나도록 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색다른 감각의 원단을 제공하여 원사업체는 물론 직물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사 열가공장치{Heat-processing device for a yarn}
본 고안은 원사(실)에 열을 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원사에 부분적으로 열을 가함으로써 그에 의한 염색이나 제직에 따른 색상과 성질상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제직(또는 편직)을 위한 일반적인 원사에는 전체를 균일하게 염색을 할 수 밖에 없었고 한가닥의 원사에 색상이나 기타의 변화를 주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었다. 따라서 직물을 제직시에는 특색있는 직물을 제직하려면 각각의 색상을 가진 여러가지의 실을 이용하여 제직을 하거나 제직 후 염색을 하는 수 밖에 없었던 것으로, 이러한 단순한 색상의 변화로는 섬유기술의 발전과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원사 및 직물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제직을 하기 위한 원사에 좀더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고 그에 따른 직물로는 다양한 무늬와 색상의 변화, 광택 및 시각적인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작용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원사의 가열상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가열롤러 2: 히터 3: 가열돌부
4: 압착롤러 5: 모터
10: 가열롤러 11: 지지원판 12: 히터봉
20: 가열롤러 21: 가열돌부 22: 히터봉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해 열을 가하는 대상은 직물을 제직 또는 편직 등의 직조를 하기 위한 원사로서, 그 중에서도 나일론, 폴리에스터 등과 같이 열에 의해 특성이 변하는 전반적인 화학섬유사 종류를 말하는 것으로, 즉 열을 가함에 의해 길이의 변화, 경도의 변화 또는 색이 변색되는 것, 광택의 변화가 생기는 것, 제직 후의 열가공시 축율에 의한 변화가 있는 것, 벌키성(미세한 여러가닥이 합사되어 한가닥이 된 실이 서로간에 견고하게 합사되지 아니하고 부풀어져 있는 상태)이 있는 실로서 열에 의해 벌키성이 변화가 생기는 것 등이다.
본 고안은 원사가 한바퀴정도 권회하면서 통과하도록 롤러형태의 가열장치를 구성하는데, 원사가 이러한 가열장치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열이 가해지는 것이다.
가열장치는 원주면에 원사가 감길 수 있도록 원형직경을 가진 롤러형태를 이루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롤러의 원주부분에는 원주를 감으면서 통과하는 원사에 열을 가하는 부분과 가하지 않는 부분을 규칙또는 불규칙적으로 반복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구성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가열장치에 대한 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작용상태 평면도로서, 회전이 가능한 원통형태의 가열롤러(1)를 구성하되 내부에 열을 발생하는 히터(2)를 구성하고, 외면에는 기어의 이빨과 같이 부분적으로 돌출된 가열돌부(3)를 구성하여 원사가 감기면서 통과할 때 가열돌부(3)에만 원사가 접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을 하는 원사(Y)가 가열롤러(1)를 한바퀴정도 권회하면서 이송을 하도록 한 상태에서 히터(2)에 열을 가하면 가열롤러(1)의 가열돌부(3)에 접촉하는 원사(Y)의 일정부분만 열을 받게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가열롤러(10)를 구성시 상하에 지지원판(11)을 구성한 후 지지원판(11)의 가장자리에 히터봉(12) 또는 열선을 일정간격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원사가 가열롤러(10)를 통과하면서 히터봉(12)에 닿는 부분에만 열이 가해지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가열롤러(20)를 파이프형으로 구성한 후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열돌부(21)를 구성하고 내부에는 길이가 긴 파이프 형의 히터봉(22)을 삽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도 작용은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의 실시예에서의 가열롤러(1)(10)(20)는 자유롭게 공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도 1에서와 같이 모터(5)에 의한 동력을 연결하여 회전시킬 수도 있는데, 공회전을 하도록 구성하면 원사(Y)가 진행하는 힘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동력을 연결하는 경우는 원사(Y)의 진입속도와 배출속도를 감안하여 정확한 회전수를 부여함으로써 균일한 가열을 추구할 수도 있다.
또한 가열돌부(3)(21)의 간격과 폭은 일정하고 규칙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그 반대로 불규칙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원사(Y)에 불규칙한 간격으로 열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가열돌부(3)(21)는 가열롤러(1)의 길이방향 직선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경사지게 구성할 수도 있는데, 도 5와 같이 가열돌부(3')를 경사지게 구성하는 경우는 가열롤러(3')에 밀착하면서 회전하는 압착롤러(4)를 설치할 수 있어서 가열시에 원사에 압력을 가하면서 더욱 강한 변화를 줄 수가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해 가열된 원사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그 변화를 제일 잘 볼 수 있는 벌키성이 있는 DTY 스트레치사의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서 가열부(Y1)와 비가열부(Y2)의 차이를 확연히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원사(Y)가 상기의 가열롤러(3)를 감으면서 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원사의 가열돌부(3)에 닿는 부분에만 열을 가하게 되므로, 원사의 가열부(Y1)에는 특성의 변화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그 변화는 원사의 열을 받은 부분은 열에 의해 특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원사의 재질이 열에의해 경화되는 것이라면 열을 받은 부분은 굳어지게 되므로 원사에는 굳은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교대로 형성이 되는 것이며, 반대로 원사의 재질이 열에 의해 물러지는 것이라면 열을 받은 부분은 더욱 부드러워지므로 원사에는 부드러워진 부분과 그렇지 아니한 부분이 교대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는 원사가 벌크성이 있는 원사라면, 열에 의해 벌크성이 죽게되므로 본 고안에 의한 원사에는 벌크성이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아니한 부분이 교대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원사는 열에 의해 색이 달라지게 되고 광택이 살아나거나 반대로 적어지는 현상을 갖게되므로 이러한 변화를 가진 원사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열에 의한 부분적인 원사의 변화는 특히 염색과정에서 그 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데, 염색을 하게 되면 가열된 부분과 그렇지 아니한 부분에는 염착도의 차이가 있게 되고 그 염색의 차이가 확연히 드러나게 되는 것으로, 원사의 성질에 따라서 열을 받거나 그렇지 아니한 부분 중 어느 한부분은 염색이 진하게 되고 다른 부분은 연하게 염색이 되는 것이다.
또한 열을 받은 부분과 받지않은 부분의 가공축의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러한 원사를 이용하여 직물을 제직을 하게 되면 원사의 염색에 의한 색상, 가공축의 차이, 벌키성, 광택 등이 매우 신비하게 조화되어 종래와는 확연히 다른 새로운 감각의 직물을 얻을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장치는 원사를 가공하는 여러 공정중에서 임의의 적절한 장소에 설치를 하여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원사에 대한 설명은 본원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에서도 동일하게 얻을 수가 있고, 특히 압착롤러(4)를 설치함으로써 더욱 강한 가열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가열되는 부분과 그렇지 아니한 부분의 차이가 더욱 명확해 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원사의 가공에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장치를 원사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염착도의 차이로 인한 색상이나, 벌키성, 광택 등의 차이가 교대로 나타나도록 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색다른 감각의 원단을 제공하여 원사업체는 물론 직물산업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원주면에 원사가 감길 수 있도록 원형직경을 가진 롤러형태를 이루면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롤러의 원주부분에는 원주를 감으면서 통과하는 원사에 열을 가하는 부분과 가하지 않는 부분을 규칙또는 불규칙적으로 반복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열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가열롤러는 내부에 히터(2)를 구성하고, 외면에는 기어의 이빨과 같이 부분적으로 돌출된 가열돌부(3)를 구성하여 원사가 감기면서 통과할 때 가열돌부(3)에만 원사가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열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가열롤러는 상하에 지지원판(11)을 구성한 후 지지원판(11)의 가장자리에 히터봉(12)을 일정간격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열가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가열롤러는 파이프형으로 구성한 후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가열돌부(21)를 구성하고 내부에는 길이가 긴 파이프 형의 히터봉(22)을 삽입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사 열가공장치.
KR2020010012449U 2001-04-30 2001-04-30 원사 열가공장치 KR200241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449U KR200241675Y1 (ko) 2001-04-30 2001-04-30 원사 열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449U KR200241675Y1 (ko) 2001-04-30 2001-04-30 원사 열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675Y1 true KR200241675Y1 (ko) 2001-10-12

Family

ID=73065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449U KR200241675Y1 (ko) 2001-04-30 2001-04-30 원사 열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6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81504A (en) Process for crimping textile threads
PL184384B1 (pl) Tkanina syntetyczna, drukowana, wielobarwna z meszkiem i sposób wytwarzania tkaniny syntetycznej, drukowanej, wielobarwnej z meszkiem
CN115710784A (zh) 用于线材的在线处理的系统
US4047271A (en) Method for space dyeing yarn
US4103481A (en) Variable diameter yarn
KR200241675Y1 (ko) 원사 열가공장치
US3454998A (en) Yarn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JP5033812B2 (ja) 弾性シリコーンゴムベルト
US4164116A (en) Method of producing a polyester filament yarn having a high level of twist
GB2048976A (en) False twist textured yarns and fabrics produced therefrom
US3848404A (en) Intermittent texturized yarn and false-twist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3479710A (en) Textured textile material
JP3455462B2 (ja) 仮撚り加工糸、その製造装置、製造方法及び編織地
JPH10226936A (ja) フイラメント糸内に太い糸の部分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4553933B2 (ja) 加工糸の製造方法
JP4077178B2 (ja) 加工糸及びその織編物
US4472220A (en) Textile detexturizing system
JP2004293006A (ja) 仮撚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仮撚加工糸の合撚糸及び織編物
JP3331502B2 (ja) 仮撚加工機
US3842576A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king crimped yarn
KR200368797Y1 (ko) 화학사와 천연사로 이루어진 원사
JP2001200440A (ja) 仮撚りエアスラブ糸、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並びに織物及び編物
KR101924998B1 (ko) 반발특성과 표면촉감이 우수한 합성수지 융착가연사의 제조장치
KR20060018946A (ko) 화학사와 천연사를 이용한 원사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한 원사
KR100201958B1 (ko) 특수실의 연신가연가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