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497Y1 -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497Y1
KR200241497Y1 KR2019990011702U KR19990011702U KR200241497Y1 KR 200241497 Y1 KR200241497 Y1 KR 200241497Y1 KR 2019990011702 U KR2019990011702 U KR 2019990011702U KR 19990011702 U KR19990011702 U KR 19990011702U KR 200241497 Y1 KR200241497 Y1 KR 200241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terminal cover
power supply
termina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1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305U (ko
Inventor
신경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11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497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3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3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497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는, 다수의 전원 공급 와이어가 압축기의 케이스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터미널 커버에 형성된 인출구에 접촉 방지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와이어가 고열의 케이스에 접촉함에 따른 내전압 불량이 발생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A terminal cover of compressor}
본 고안은 냉매등의 유체를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용 터미널 커버의 전원 공급 와이어가 압축기의 케이스와 접촉되지 않도록 한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케이스(1)의 내측에는 고정자(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자(2)의 내측에는 회전축(3)을 갖는 회전자(4)가 고정자(2)의 자장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3)의 하측에 편심 형성된 캠(3a)의 외측에는 롤러(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캠(3a) 및 롤러(5)는 실린더(6)의 내에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6)의 상 하측에는 상기 회전축(3)을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플랜지(7)(8)가 각각 체결부재(98, 99)로 상기 실린더(6)와 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랜지(7)의 상측에는 실린더(6)내에서 압축되어 토출구(7a)를 통해 토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냉매가스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9)가 상기 체결부재(98)에 의해 상부플랜지(7)와 함께 실린더(6)에 체결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6)의 일측에는 냉매의 흡입에 따른 부하 변동으로 발생하는 액상의 냉매가 압축기의 실린더(6)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액상의 냉매를 저장하는 어규뮬레이터(10)가 흡입관(11)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의 상측에는 상기 머플러(9)를 통하여 토출된 냉매가스를 케이스(1)의 외측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관(1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3)의 내측에 형성된 오일상승통로(3b)에는 케이스(1)내에 저류된 오일(13)을 상승시켜 상기 실린더(6)의 내측 및 상부플랜지(7)의 내측등으로 공급하는 오일픽업부재(14)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오일상승통로(3b)의 상단부에는 회전축(3)의 외주면으로 오일(13)이 흐르도록 오일공(3c)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축기의 케이스(1)의 상면에는 전원을 인가하는 다수의 전원 공급 와이어(19)가 연결되는 터미널(20) 및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기(21)를 수용하는 터미널 커버(15)가 상부핀(16)에 너트(17)로 체결되어 있고, 상기 터미널 커버(15)의 하면에는 가스켓(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 커버(15)의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전원 공급 와이어(19)가 터미널과 연결되어 터미널 커버(15)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터널형의 인출구(15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축기는 상기 다수의 전원 공급 와이어(19)를 통해 고정자(2)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형성되는 자장에 의해 회전자(4) 및 회전축(3)이 회전되면, 상기 실린더(6)의 내부에서는 상기 회전축(3)과 일체로 회전되는 캠(3a) 및 롤러(5)의 편심 회전되고, 이 편심 회전에 따라 상기 롤러(5)의 외주면에서 스프링의 탄발력을 받아 미끄럼 접촉하는 베인(도시안됨)이 실린더(6) 내의 공간을 흡입공간과 압축공간을 구획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베인은 상기 흡입관(11)이 연결된 흡입구(6a) 및 토출구(6b)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캠(3a)이 토출구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흡입력에 의해 상기 어큐뮬레이터(10) 및 흡입관(11)을 거쳐 상기 흡입구(6a)를 통해 냉매가 흡입되고, 상기 실린더(6)의 토출구(6b)로 고온 고압의 냉매가 토출된다.
이 때, 상기 흡입구(6a)를 통해 냉매가 흡입될 때, 상기 상부플랜지(7)의 상면에 있는 토출밸브(6c)는 하강하여 토출구(6b)에 밀착되고, 압축공간에서 냉매가 압축되어 토출구(6b)를 통해 토출시에는 상기 토출밸브(6c)는 상측으로 휘어지면서 토출구(6b)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오일픽업부재(14)는 케이스(1)내에 저류된 오일(13)을 상기 회전축(3)의 오일상승통로(3b)로 상승시키고, 이 상승된 오일은 상기 오일상승통로(3b)와 회전축의 외주면과 관통되어 있는 오일공(3c)을 통하여 실린더(6)의 내측이나 상부플랜지(7)의 내측으로 오일(13)을 공급함으로써 원활하게 상기 회전축(3)이 회전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커버(15)의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전원 공급 와이어(19)가 터미널과 연결되어 터미널 커버(15)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터널형의 인출구(15a)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인출구(15a)의 하단은 개구되어 상기 다수의 전원 공급 와이어(19)가 압축기의 케이스(1)의 상면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압축기의 작동에 따른 고열로 인하여 접촉된 와이어(19)의 피복이 녹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본 고안의 목적은 터미널과 연결된 전원 공급 와이어가 압축기의 케이스와 접촉되어 발생하는 내전압 불량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는, 압축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와이어와 연결되는 터미널 및 과부하 보호기를 커버하고, 그 일측에 상기 터미널과 상기 전원 공급 와이어가 서로 연결 및 인출되도록 형성된 인출구를 포함하는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원 공급 와이어가 압축기의 케이스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인출구의 하단에 접촉 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압축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2는 종래의 압축기용 터미널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종래의 압축기용 터미널 커버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압축기용 터미널의 와이어 연결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축기용 터미널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제일실시예에 의한 압축기용 터미널 커버의 와이어 인출부의 구조를 도시한 상세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제이실시예에 의한 압축기용 터미널 커버의 와이어 인출부의 구조를 도시한 상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5 : 터미널 커버 15a : 인출구
15b : 접촉 방지부 15c : 돌설대
15d : 와이어 홈 16 : 상부핀
17 : 너트 18 : 가스켓
19 : 전원 공급 와이어 20 : 터미널
21 : 과부하 보호기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도5 및 도6에서 도1 내지 도4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압축기는 압축기의 케이스(1)의 상면에는 압축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와이어(19)가 연결되는 터미널(20) 및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기(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터미널(20) 및 과부하 보호기(21)를 커버하는 터미널 커버(15)가 상부핀(16)과 너트(17)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터미널 커버(15)의 일측에는 상기 터미널(20)과 상기 전원 공급 와이어(19)가 서로 연결 및 인출되도록 인출구(1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출구(15a)의 하단에는 상기 다수의 전원 공급 와이어(19)가 압축기의 케이스(1)와 접촉되지 않도록 접촉 방지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 방지부(15b)는 인출구(15a)의 중앙에 상기 와이어(19)를 한쪽으로 모을 수 있도록 분리형 돌설대(15c)가 형성되어 있고,
본 고안의 이실시예에 의한 상기 접촉 방지부(15b)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 와이어(19)를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인출구(15b)의 전면의 일정 높이에 다수의 와이어 홈(15d)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고정자(2)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형성되는 자장에 의해 회전자(4) 및 회전축(3)이 회전 작동하면, 상기 회전축(3)과 일체로 회전되는 캠(3a) 및 롤러(5)가 편심 회전하게 되고, 이 편심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6)의 내부에 흡입된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된 냉매는 상기 실린더(6)의 토출구(6b)를 통해 토출된다.
즉, 상기 실린더(6)내로 흡입관(11)을 통해 흡입공간으로 흡입된 냉매가 회전축(3)의 편심 회전에 의해 압축 공간에서 압축되어 토출되는 행정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자(4)와 함께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축(3)에는 그 내부의 오일상승통로(3b)로 오일픽업부재(14)에 의해 오일이 상승하고, 이 상승된 오일은회전축(3)의 외주면과 연통된 오일공(3c)으로 오일이 유출되어 상기 상부플랜지(7) 및 실린더(6)의 내부에 공급하여 상기 회전축(3)이 마모됨이 없이 원활하게 회전된다.
상기 터미널 커버(15)의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전원 공급 와이어(19)가 터미널(20)과 연결되어 터미널 커버(15)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터널형의 인출구(15a)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인출구(15a)에는 접촉 방지부(15b)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19)가 압축기의 케이스(1)와 접촉되지 않아 와이어(19)의 내전압의 불량 형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제이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와이어(19)의 소정 높이에 다수의 와이어 홈(15d)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도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에 의하면, 다수의 전원 공급 와이어가 압축기의 케이스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터미널 커버에 형성된 인출구에 접촉 방지부를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와이어가 고열의 케이스에 접촉함에 따른 내전압 불량이 발생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압축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와이어와 연결되는 터미널 및 과부하 보호기를 커버하고, 그 일측에 상기 터미널과 상기 전원 공급 와이어가 서로 연결 및 인출되도록 형성된 인출구를 포함하는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전원 공급 와이어가 압축기의 케이스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인출구의 하단에 접촉 방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지부는 인출구의 중앙에 상기 와이어를 한쪽으로 모을 수 있도록 분리형 돌설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지부는 상기 전원 공급 와이어를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인출구의 전면의 일정 높이에 와이어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
KR2019990011702U 1999-06-28 1999-06-28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 KR200241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702U KR200241497Y1 (ko) 1999-06-28 1999-06-28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702U KR200241497Y1 (ko) 1999-06-28 1999-06-28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305U KR20010001305U (ko) 2001-01-15
KR200241497Y1 true KR200241497Y1 (ko) 2001-09-29

Family

ID=5476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702U KR200241497Y1 (ko) 1999-06-28 1999-06-28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49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582B1 (ko) * 2002-11-12 2005-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305U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1497Y1 (ko)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
US20040115063A1 (en) Scroll compressor
KR200241496Y1 (ko) 압축기용 터미널 캡의 공기 배출 구조
KR200252921Y1 (ko) 압축기용 회전축의 마모 방지 구조
KR200252922Y1 (ko) 압축기용 상부플랜지의 마모 방지 구조
KR20010001309U (ko) 압축기용 받침대의 진동 저감 구조
KR100455420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체결구조
KR100330625B1 (ko) 압축기의 회전축
KR100311384B1 (ko) 밀폐형회전식압축기의압축기구부지지장치
KR200241495Y1 (ko)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
KR100319693B1 (ko) 압축기용 회전축의 원심력 저감장치
KR100311374B1 (ko) 밀폐형회전식압축기의열변형방지장치
KR20010001301U (ko) 압축기의 오일 토출량 저감 구조
KR100272231B1 (ko) 압축기의토출장치
KR0118067Y1 (ko) 밀폐형 회전 압축기
KR100308268B1 (ko) 밀폐형회전식압축기의압축잔류가스역류방지장치
KR20000046856A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터미널커버 결합구조
KR20000001844U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터미널 커버
KR20010056079A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머플러 장착구조
KR20010011427A (ko) 압축기용 실린더의 압축가스 토출 구조
KR100311386B1 (ko) 밀폐형회전식압축기의액냉매유입방지구조
KR101130472B1 (ko) 로터리 압축기의 토출밸브 리테이터 장치
KR20010001310U (ko) 압축기용 코일 스프링의 이탈 방지 구조
KR19990085251A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과압축 방지구조
KR20010011428A (ko) 압축기용 더블롤러의 오일 급유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