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495Y1 -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495Y1
KR200241495Y1 KR2019990010870U KR19990010870U KR200241495Y1 KR 200241495 Y1 KR200241495 Y1 KR 200241495Y1 KR 2019990010870 U KR2019990010870 U KR 2019990010870U KR 19990010870 U KR19990010870 U KR 19990010870U KR 200241495 Y1 KR200241495 Y1 KR 200241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mpressor
flange
fastening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8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769U (ko
Inventor
노경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90010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495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7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7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495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는,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압입되는 상기 흡입관의 설치에 따라 발생하는 힘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체결부재로 상, 하부플랜지와 실린더를 각각 체결시 상기 체결부재가 실린더의 중심을 향하여 각각 경사지게 체결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는 흡입관의 타측인 실린더의 외주벽과 케이스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된 큐션 부재를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흡입관의 압입에 따라 실린더와 케이스의 사이의 가공 여유 (CLEARANCE)가 변화되지 않아 압축기의 냉력이 저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AN ASSEMBLING STRUCTURE OF FLANGE AND CYLINDER FOR COMPRESSOR}
본 고안은 냉매등의 유체를 압축하는 로터리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플랜지를 체결부재를 매개로 체결할 때 경사지도록 체결하여 흡입관의 압입시 실린더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케이스(1)의 내측에는고정자(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자(2)의 내측에는 회전축(3)을 갖는 회전자(4)가 고정자(2)의 자장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3)의 하측에 편심 형성된 캠(3a)의 외측에는 롤러(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캠(3a) 및 롤러(5)는 실린더(6)의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6)의 상 하측에는 상기 회전축(3)을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플랜지(7)(8)가 각각 체결부재(98, 99)로 상기 실린더(6)와 수직으로 체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 플랜지(7)는 그 외주면(A)에 상기 케이스(1)의 내주벽과 태크 용접(tack welding)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랜지(7)의 상측에는 실린더(6)내에서 압축되어 토출구(7a)를 통해 토출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냉매가스의 소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9)가 상기 체결부재(98)에 의해 상부플랜지(7)와 함께 실린더(6)에 체결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6)의 일측에는 냉매의 흡입에 따른 부하 변동으로 발생하는 액상의 냉매가 압축기의 실린더(6)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액상의 냉매를 저장하는 어규뮬레이터(10)가 흡입관(11)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의 상측에는 상기 머플러(9)를 통하여 토출된 냉매가스를 케이스(1)의 외측으로 토출시키는 토출관(1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3)의 내측에는 케이스(1)내에 저류된 오일(13)을 상승시켜 상기 실린더(6)의 내측 및 상부플랜지(7)의 내측등으로 공급하는 오일픽업부재(14)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축기는 고정자(2)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형성되는 자장에 의해 회전자(4) 및 회전축(3)이 회전되면, 상기 실린더(6)의 내부에서는 상기 회전축(3)과 일체로 회전되는 캠(3a) 및 롤러(5)의 편심 회전되고, 이 편심 회전에 따라 상기 롤러(5)의 외주면에서 스프링의 탄발력을 받아 미끄럼 접촉하는 베인(도시안됨)이 실린더(6) 내의 공간을 흡입공간과 압축공간을 구획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베인은 상기 흡입관(11)이 연결된 흡입구(6a) 및 토출구(6b)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캠(3a)이 토출구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흡입력에 의해 상기 어큐뮬레이터(10) 및 흡입관(11)을 거쳐 상기 흡입구(6a)를 통해 냉매가 흡입되고, 상기 실린더(6)의 토출구(6b)로 고온 고압의 냉매가 토출된다.
이 때, 상기 흡입구(6a)를 통해 냉매가 흡입될 때, 상기 상부플랜지(7)의 상면에 있는 토출밸브(6c)는 하강하여 토출구(6b)에 밀착되고, 압축공간에서 냉매가 압축되어 토출구(6b)를 통해 토출시에는 상기 토출밸브(6c)는 상측으로 휘어지면서 토출구(6b)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의 작동에 따라 회전되는 오일픽업부재(14)는 케이스(1)내에 저류된 오일(13)을 상승시키고, 상기 회전축(3)의 외주면을 통하여 실린더(6)의 내측이나 상부플랜지(7)의 내측으로 오일(13)을 공급함으로써 원활하게 상기 회전축(3)이 회전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회전축(3) 및 실린더(6)의 조립 과정을 살펴 보면, 회전축(3)의 편심부인 캠(3a)의 외주에 롤러(5)를 삽입한 후, 상기 실린더(6)에 회전축(3)의 편심부를 삽입하고,상기 실린더(6)의 상 하부에 각각 상부 및 하부 플랜지(7,8)를 위치시키고, 상기 상부플랜지(7)의 상측에 설치된 머플러(9)와 함께 체결부재(98,99)로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플랜지(7)의 외주면(A)를 상기 케이스(1)의 내주벽에 태크용접하여 결착하게 된다.
이 상부플랜지를 태크용접하여 결착된 상태에서 실린더(6)의 일측 흡입구에 상기 흡입관(11)을 압입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 데, 이 흡입관(11)의 압입시 실린더(6)의 외주벽과 케이스(1)와의 사이 공간이 형성되어 실린더(6)가 흡입관(11)의 타측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압축기의 원활한 압축 작용이 일어나지 않게 됨으로써 냉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압축기의 실린더의 일측에 흡입관을 압입시 실린더가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압축기의 작동 불능에 따른 냉력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는,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캠과 캠의 외주면에 설치된 롤러로 된 편심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흡입관이 연결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 및 하부에 체결부재로 각각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플랜지로 구성된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압입되는 상기 흡입관의 설치에 따라 발생하는 힘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체결부재는상, 하부플랜지와 실린더를 각각 체결시 실린더의 중심을 향하여 각각 경사지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일반적인 압축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의 일부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실린더에 쿠션부재가 체결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회전축 6 : 실린더
7 : 상부플랜지 8 : 하부플랜지
98, 99 : 체결부재 100 : 쿠션 부재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하는 도2 및 도3에서 도1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는 회전자(4)내에 압입되어 회전하는 회전축(3)과, 상기 회전축(3)의 하부에 캠(3a)과 상기 캠(3a)의 외주면에 있는 롤러(5)로 된 편심부를 수용하는 실린더(6)와, 상기 실린더(6)의 상부 및 하부에 체결부재(98, 99)로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3)을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플랜지(7, 8)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6)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에는 흡입관(11)이 압입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실린더(6)의 일측에 압입되는 흡입관(11)의 설치에 따라 발생하는 힘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체결부재(98, 99)는 상, 하부플랜지(7, 8)와 실린더(6)를 각각 체결시 실린더(6)의 중심을 향하여 각각 경사지게 체결시키고, 상기 실린더(6)에 설치되는 흡입관(11)의 타측인 실린더(6)의 외주벽과 케이스(1)와의 사이 공간에는 큐션 부재(1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체결부재(98, 99)의 수직선에 대한 경사 각도는 각각 0˚<α≤45˚의 범위이고, 상기 실린더(6)의 상부 및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98, 99)는 수평선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체결된다.
상기 쿠션 부재(100)는 내열성이 강한 고무재질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고정자(2)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형성되는 자장에 의해 회전자(4) 및 회전축(3)이 회전 작동하면, 상기 회전축(3)과 일체로 회전되는 캠(3a) 및 롤러(5)가 편심 회전하게 되고, 이 편심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6)의 내부에 흡입된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압축된 냉매는 상기 실린더(6)의 토출구(6b)를 통해 토출된다.
즉, 상기 실린더(6)내로 흡입관(11)을 통해 흡입공간으로 흡입된 냉매가 회전축(3)의 편심 회전에 의해 압축 공간에서 압축되어 토출되는 행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된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회전축(3) 및 실린더(6)의 조립 과정을 살펴 보면, 회전축(3)의 편심부인 캠(3a)의 외주에 롤러(5)를 삽입한 후, 상기 실린더(6)에 회전축(3)의 편심부를 삽입하고, 상기 실린더(6)의 상 하부에 각각 상부 및 하부 플랜지(7,8)를 위치시키고, 상기 상부플랜지(7)의 상측에 설치된 머플러(9)와 함께 체결부재(98,99)로 체결하게 되는 바, 이 체결부재(98, 99)는 각각 실린더(6)의 중심선을 향하여 소정의 경사(α)가 형성된 채로 체결되어 상기 흡입관(11)의 압입력에 대향하는 힘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플랜지(7)의 외주면(A)를 상기 케이스(1)의 내주벽에 태크용접하여 결착하게 되고, 이 상부플랜지(7)를 태크 용접하여 결착된 상태에서 실린더(6)의 일측 흡입구에 상기 흡입관(11)을 압입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 데, 이 흡입관(11)의 압입시 실린더(6)의 외주벽과 케이스(1)와의 사이 공간에는 쿠션부재(100)가 설치되어 상기 흡입관(11)의 압입력을 다소 흡수하게 되고, 이 형성되어 실린더(6)가 흡입관(11)의 타측으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에 의하면,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압입되는 상기 흡입관의 설치에 따라 발생하는 힘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체결부재로 상, 하부플랜지와 실린더를 각각 체결시 상기 체결부재가 실린더의 중심을 향하여 각각 경사지게 체결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는 흡입관의 타측인 실린더의 외주벽과 케이스와의 사이 공간에 설치된 큐션 부재를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상기 흡입관의 압입에 따라 실린더와 케이스의 사이의 가공 여유(CLEARANCE)가 변화되지 않아 압축기의 냉력이 저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회전자와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 캠과 캠의 외주면에 설치된 롤러로 된 편심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흡입관이 연결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상부 및 하부에 체결부재로 각각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플랜지로 구성된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일측에 압입되는 상기 흡입관의 설치에 따라 발생하는 힘을 분산시키도록 상기 체결부재는 상, 하부플랜지와 실린더를 각각 체결시 실린더의 중심을 향하여 각각 경사지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설치되는 흡입관의 타측인 실린더의 외주벽과 케이스와의 사이 공간에는 큐션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부재는 내열성이 강한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체결부재의 수직선에 대한 경사 각도는 각각 0˚<α≤45˚의 범위이고, 상기 실린더의 상부 및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는수평선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
KR2019990010870U 1999-06-18 1999-06-18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 KR2002414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870U KR200241495Y1 (ko) 1999-06-18 1999-06-18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870U KR200241495Y1 (ko) 1999-06-18 1999-06-18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769U KR20010000769U (ko) 2001-01-15
KR200241495Y1 true KR200241495Y1 (ko) 2001-09-29

Family

ID=5476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870U KR200241495Y1 (ko) 1999-06-18 1999-06-18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4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769U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99653A (ja) ローリングピストン及びそれを備えた回転式圧縮機のガス漏れ防止装置
KR200241495Y1 (ko) 압축기용 플랜지 및 실린더의 체결구조
KR20100081463A (ko) 로터리 압축기
KR200265571Y1 (ko)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
JP7418190B2 (ja) ロータリ圧縮機
JP3788380B2 (ja) 回転式圧縮機
KR200252921Y1 (ko) 압축기용 회전축의 마모 방지 구조
KR100332788B1 (ko) 압축기의 윤활 급유 구조
KR100311384B1 (ko) 밀폐형회전식압축기의압축기구부지지장치
KR100365000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고정구조
KR200252922Y1 (ko) 압축기용 상부플랜지의 마모 방지 구조
KR19990069771A (ko) 압축기용 실린더의 고정구조
KR100252664B1 (ko) 압축기용 회전자의 플레이트 지지 구조
KR0136610Y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소음기장치
KR20010011427A (ko) 압축기용 실린더의 압축가스 토출 구조
KR200273750Y1 (ko)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
KR100330625B1 (ko) 압축기의 회전축
KR10020681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롤링피스톤구조
KR100223433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1134228B1 (ko) 로타리압축기의 소음기 장착구조
KR200241496Y1 (ko) 압축기용 터미널 캡의 공기 배출 구조
KR100311374B1 (ko) 밀폐형회전식압축기의열변형방지장치
KR20010002860A (ko) 압축기용 하부플랜지의 축지지구조
KR100319693B1 (ko) 압축기용 회전축의 원심력 저감장치
KR20000019544A (ko) 압축기용 상부플랜지의 소음 감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