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485Y1 - 가스기구의관접속장치 - Google Patents

가스기구의관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485Y1
KR200241485Y1 KR2019960006775U KR19960006775U KR200241485Y1 KR 200241485 Y1 KR200241485 Y1 KR 200241485Y1 KR 2019960006775 U KR2019960006775 U KR 2019960006775U KR 19960006775 U KR19960006775 U KR 19960006775U KR 200241485 Y1 KR200241485 Y1 KR 2002414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drilled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6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352U (ko
Inventor
김준봉
Original Assignee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성모
Priority to KR2019960006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485Y1/ko
Publication of KR9700553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3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485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기구내로 배관되는 각종 공급관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고안된 가스기구의 관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접속수단(30)은 주관(10)의 이음부에 고정되어 중앙으로는 관조립공(32)이 뚫어지며, 일측으로는 나사공(33)이 뚫어지며, 그 타측에 걸림면(34)이 형성되는 프렌지(31)와, 상기 접속관(20)의 단부를 확장 하여서 된 확관부(21)와, 상기 프렌지(31)에 뚫어진 나사공(33)의 위치로 통공(36)이 뚫어져 볼트(36)로 체결되며, 접속관(20)의 확관부(21)를 걸려지게 하는 단속홈(37)과, 걸림면(34)에 걸려지는 걸림편(38)이 구비된 단속부재(35)로 구성되어, 그 접속체결공정이 간단하고 용이하여 그 제작자로 하여금 편리함과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다.
그리고, 그 접속상태가 견고하고 기밀유지 효과가 우수하여 보다 안전한 관접속상태를 유지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가스기구의 관접속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해 관접속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관접속 상태를 보인 반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관 20 : 접속관
21 : 확관부 22 : 패킹
30 : 접속수단 31 : 프렌지
32 : 관접속공 34 : 걸림면
35 : 단속부재 37 : 단속홈
38 : 걸림편
본 고안은 가스기구 내로 배관되는 각종 공급관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고안된 가스기구의 관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스기구내의 수류관 및 가스관과 같은 관을 접속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양측 관의 단부에 플렌지들을 위치시켜, 볼트나 작은나사를 이용하여 플렌지가 결합토록 하고, 관과 플렌지의 이음부는 용접의 방법으로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플렌지가 접한 그 사이로는 패킹을 위치시켜, 플렌지 사이로 기체나 액체등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플렌지는 그 중앙에 관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외주면 즉, 플렌지와 관의 외측경계면을 용접하여 기밀이 유지토록 하였으며, 양측으로는 나사 체결용 구멍을 각각 뚫어 이에 볼트나 작은나사가 끼워져 접속하고자 하는 플렌지의 나사공으로 체결하는 방법으로 관을 접속하였다.
따라서, 접속코자 하는 관을 조립한 후 이를 일체와와 기밀유지를 위해 용접하는 과정을 거치게 하므로서, 그 제작원가가 상승됨을 물론, 볼트를 조립하기 위한 구멍과 나사공이 일치되지 않는 경우 이를 일치되도록 이동할 수 있는 유동간극이 없게 된다.
그러므로, 그 볼트조립하기 의한 중심이 어긋난 상태에서 억지로 나사를 체결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바, 볼트, 또는 나사구멍이 훼손되어 해체와 재 조립을 수행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나사조립 작업시에 플렌지의 중심위치를 일단 일치시킨 상태에서 나사를 체결토록 하는 데, 그 위치가 쉽게 어긋나 1인의 작업자로는 플렌지를 고정시킴과 동시나사를 조이는 체결작업이 불가능하여, 다른 작업자로 하여금 플렌지를 붙잡거나 작은나사를 조이도록 하는 등의 보조작업을 요청하게 하므로서, 관들을 접속하는 데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결점이 수반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관의 접속작업을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 조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토록 된 관접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그 속이빈 내부로 유체를 공급토록 된 주관(10)과 접속관(20)의 이음부를 접속시키는 관접속수단(30)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관접속수단(30)은 주관(10)의 이음부에 고정되어 중앙으로는 관조립공(32)이 뚫어지며, 일측으로는 나사공(33)이 뚫어지며, 그 타측에 걸림면(34)이 형성되는 프렌지(31)와, 상기 접속관(20)의 단부를 확장 하여서 된 확관부(21)와, 상기 프렌지(31)에 뚫어진 나사공(33)의 위치로 통공(36′)이 뚫어져 볼트(36)로 체결되며, 접속관(20)의 확관부(21)를 걸려지게 하는 단속홈(37)과, 걸림면(34)에 걸려지는 걸림편(38) 및, 프렌지(31)에 밀착 지지하는 지지편(39)이 구비된 단속부재(3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단속부재(35)의 단속홈(37)이 접속관(20)의 확관부(21)를 걸려지게 접속시키고, 걸림편(38)이 프렌지(31)의 걸림면(34)에 걸려져 그 분해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는 것을 억제시켜 보다 견고한 접속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주관(10)은 가스기구내의 공급코자 하는 수류 및 가스등을 필요한 위치로 배관토록 하는 것으로서, 그 재질은 주로 동관이 상용된다.
또, 접속관(20)은 주관(10)에 접속되어 그 단부는 압착가공으로 제2도 및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으로 일정두께의 확관부(21)가 돌출토록 하여 상기 단속부재(35)의 단속홈(37)에 끼워진 상태로 걸려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주관(10)과 접속관(20)의 이음부는 관접속수단(30)에 의해 접속시킨다.
상기 프렌지(31)는 주관(10)의 이음부에 일체로, 또는 별도로 부착고정되고, 그 중앙에 관조립공(32)이 파여져 접속관(20)을 접속시키게 된다.
상기 프렌지(31)의 일단에는 나사공(33)이 뚫어지며, 이에 상응하는 위치로 단속부재(35)에는 통공(36′)이 뚫어져 볼트(36)나 작은나사가 나사결합하는 방법으로 단속부재(35)의 체결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 프렌지(31)의 나사공(33)이 뚫어진 타측에는 대략 직각상태의 걸림면(34)이 형성되어 상기 단속부재(35)의 걸림편(38)이 이에 밀착된 상태로 저면에 걸려져 그 중심방향으로 이완되려는 외력에 대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단속홈(37)의 일측으로는 프렌지(31)에 밀착되어 그 지지력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접속관(20)의 확관부(21) 직경을 1/2 이상 걸려지도록 하는 지지편(39)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그 결착력이 보다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접속관(20)의 단부에는 그 직경이 확관되는 확관부(21)를 1개 또는 2개이상의 복수로 테형상으로 돌출 성형시키는 데, 도면에서와 같이 기밀유지를 위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로 돌출 성형한 상태에서 그 사이로 패킹(22)이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접속관(20)의 확관부(21)를 프렌지(31)의 관조립공(32)으로 끼운 상태에서 제3도의 분해도와 같이 단속부재(35)의 단속홈(37)은 확관부(21)에 걸려지게 하고, 걸림편(38)은 프렌지(31)의 걸림면(34)에 각각 걸려지게 한 후, 볼트(36)로 통공(36′)을 통해 나사공(33)으로 나사 체결되는 것에 의해 그 이음부의 접속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접속된 접속관(20)은 단속부재(35)의 단속홈(37)에 확관부(21)가 걸려 중심방향으로 이완되려는 것을 단속하게 된다.
또, 단속부재(35)의 걸림편(38)이 프렌지(31)의 걸림면(34)에 밀착된 상태로 걸려지게 되어 접속관(20)과 주관(10)이 중심방향으로 이완되려는 것을 더욱 단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 관조립공(32)의 내부로 끼워진 확관부(21)의 사이에는 패킹(22)이 설치되어 기밀유지 효과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그 접속체결공정이 간단하고 용이하여 그 제작자로 하여금 편리함과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다.
그리고, 그 접속상태가 견고하고 기밀유지 효과가 우수하여 보다 안전한 관접속 상태를 유지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그 속이빈 내부로 유체를 공급토록 된 주관(10)과 접속관(20)의 이음부를 접속시키는 관접속수단(30)이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관접속수단(30)은 주관(10)의 이음부에 고정되어 중앙으로는 관조립공(32)이 뚫어지며, 일측으로는 나사공(33)이 뚫어지며, 그 타측에 걸림면(34)이 형성되는 프렌지(31)와, 상기 접속관(20)의 단부를 확장 하여서 된 확관부(21)와, 상기 프렌지(31)에 뚫어진 나사공(33)의 위치로 통공(36)이 뚫어져 볼트(36)로 체결되며, 접속관(20)의 확관부(21)를 걸려지게 하는 단속홈(37)과, 걸림면(34)에 걸려지는 걸림편(38) 및 프렌지(31)에 밀착 지지하는 지지편(39)이 구비된 단속부재(3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기구의 관접속장치.
KR2019960006775U 1996-03-30 1996-03-30 가스기구의관접속장치 KR200241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6775U KR200241485Y1 (ko) 1996-03-30 1996-03-30 가스기구의관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6775U KR200241485Y1 (ko) 1996-03-30 1996-03-30 가스기구의관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352U KR970055352U (ko) 1997-10-13
KR200241485Y1 true KR200241485Y1 (ko) 2001-11-22

Family

ID=60933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6775U KR200241485Y1 (ko) 1996-03-30 1996-03-30 가스기구의관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4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352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66452A1 (ja) 管継手ロック装置
KR101045662B1 (ko) 배관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KR101063415B1 (ko) 배관 파이프 지지장치
US6340059B1 (en) Threadless sprinkler head assembly
KR930004673A (ko) 파이프와 배관 및 그 파이프 고정 방법
WO2007145383A1 (en) Pipe fixing system and pipe fastening device
US5404914A (en) Centering support for double containment pipe assembly
JP2007297860A (ja) 外囲体用取付具
US20080315580A1 (en) Coupling with crossable means for couplings to connect endportions of pipes and valves
JP5361240B2 (ja) フランジ結合ボルト
US7731247B2 (en) Device for connecting and blocking hollow elements for the formation of fluid distribution plants
KR200241485Y1 (ko) 가스기구의관접속장치
WO2006073242A1 (en) Flange
US6652181B1 (en) Universal connecting system
EP0939871A1 (en) Device on a conduit end and arrangement for joining conduits
KR100938778B1 (ko) 배관설치용 행거
KR960001359Y1 (ko) 관 연결용 클램프
JP2020139533A (ja) 配管支持具
US5590690A (en) Centering support for double-containment pipe assembly
JPH07151277A (ja) 管材の接続構造
KR102214718B1 (ko) 클램프 결합 방식의 대형 파이프 이음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0257541Y1 (ko)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
KR0134008Y1 (ko) 관이음용 연결관
KR200257366Y1 (ko) 플랜지와 슬리브형 연결이 가능한 파이프의 연결구조
KR200315555Y1 (ko) 배관 연결용 밴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