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541Y1 -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 - Google Patents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541Y1
KR200257541Y1 KR2020010029943U KR20010029943U KR200257541Y1 KR 200257541 Y1 KR200257541 Y1 KR 200257541Y1 KR 2020010029943 U KR2020010029943 U KR 2020010029943U KR 20010029943 U KR20010029943 U KR 20010029943U KR 200257541 Y1 KR200257541 Y1 KR 200257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s
fixing
fixed
pipe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9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기업
Priority to KR20200100299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5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541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수도관, 배수관 등과 같이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도록 서로 다른 파이프의 단부를 연결하는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양측이 절곡되어 단면형태의 원형으로 이루되 몸체가 2개로 등분되어 분리된 원형 케이스와, 상기 몸체의 어느 한쪽이 내주 면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부재가 구비되어 일측이 스풋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쌍의 고정막대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막대에는 고정볼트를 관통하는 관통공과 어느 한쪽에는 고정볼트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원형 케이스의 양측이 절곡된 내주 면으로 직경이 작은 서로 다른 파이프를 압착시켜 고정되는 고무슬리브로 이루어진 파이프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원형 케이스(100)의 양측이 절곡된 내주 면으로 삽입되는 서로 다른 파이프(200,300)의 그루브(210,310)를 고정시키기 위한 반원형으로 등분된 한 쌍의 돌기부재(1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Pipe groove coupling}
본 고안은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수도관, 배수관 등과 같이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도록 서로 다른 파이프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플렉스 커플링(Flex coupling)공법으로 이용한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커플링은 비교적 직경이 큰 상·하수도관이나, 직경이 작은 관으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도록 서로 다른 파이프(관)의 이음 부를 밀봉시켜 상기 서로 다른 관을 하나로 연결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파이프 커플링의 구조는 이미 공지되어 누구나 사용이 가능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이, 공지된 형성의 파이프 커플링은 소정의 두께로 양측이 절곡되어 단면형태의 원형으로 이루되 몸체가 2개로 등분되어 분리된 원형 케이스와, 상기 몸체의 어느 한쪽이 내주 면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부재가 구비되어 일측이 스풋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쌍의 고정막대가 장착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막대에는 고정볼트를 관통하는 관통공과 어느 한쪽에는 고정볼트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원형 케이스의 양측이 절곡된 내주 면으로 직경이 작은 서로 다른 파이프를 압착시켜 고정되는 고무슬리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형 케이스에 고정된 고정막대를 체결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와 너트에 의해서 서로 다른 파이프를 슬라이드부재가 슬라이드되어 고무슬리브를 압착시켜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이프 커플링은 그 재질이 주물로 이루어져 그 무게가 무거우며, 상기 재질의 특성에 따라 물이나 이물질에 의한 녹이나 부식 등으로 인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출원 제 1999-13004(관 연결용 클램프)호는 공지 형상의 파이프 커플링을 스테인리스, 동관, PVC, PE 등의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본체와 상기 본체 내면에 안착되는 원형의 고무 슬리브 및 와샤안착부(또는 고정막대)에 안착된 와샤를 상호 조여주는 보올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관 연결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와샤는 보울트 및 너트에 접하는 체결면과 상기 체결면의 양쪽 선단으로 돌출되어 체결시 와샤안착부에 소정 압으로 압착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져 중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몸체가 2개의 몸체로 분리되고, 어느 하나의 몸체 하단에 슬라이드부가 구비되면서 양쪽 몸체 하단에 각각 와샤 안착부가 구비되며, 이들 와샤 안착부에 중공홀이 형성된 와샤가 구비되어 2개의 보울트 및 너트를 매개로 분리된 상태로 서로 맞대어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파이프 커플링은 보울트 및 너트를 매개로 서로 다른 파이프를 연결하는 관 연결용 클램프보다는 조립작업이 단순화시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이프 커플링은 비교적 직경이 큰 상·하수도관의 한쪽 파이프가 조금이라도 편심되는 경우 자체 하중의 증가로 인해 작업이 어려우며, 상기 서로 다른 파이프를 보울트 및 너트의 체결에 따른 고무슬리브의 압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등분된 반원형 돌기부재가 파이프의 그루브에 안착되어 고정하게 되므로, 파이프의 이음부가 고무슬리브에 의해 압착되면서 돌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조임강도를 충분히 유지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돌기부재를 발췌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이 결합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의 작동상태를 보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원형 케이스 110 : 몸체
120 : 슬라이드부재 130,140 : 고정막대
150 : 고정볼트 160 : 고무슬리브
170 : 돌기부재 180 : 보강부재
200,300 : 파이프
본 고안의 구성으로는 양측이 절곡되어 단면형태의 원형으로 이루되 몸체가 2개로 등분되어 분리된 원형 케이스와, 상기 몸체의 어느 한쪽이 내주 면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부재가 구비되어 일측이 스풋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쌍의 고정막대가 장착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막대에는 고정볼트를 관통하는 관통공과 어느 한쪽에는 고정볼트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원형 케이스의 양측이 절곡된 내주 면으로 직경이 작은 서로 다른 파이프를 압착시켜 고정되는 고무슬리브로 이루어진 파이프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원형 케이스의 양측이 절곡된 내주 면으로 삽입되는 서로 다른 파이프의 그루브를 고정시키기 위한 반원형으로 등분된 한 쌍의 돌기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의 돌기부재를 발췌한 상태의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이 결합된 상태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의 작동상태를 보인 참고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은 소정의 두께로 양측이 절곡되어 단면형태로 원형을 이루되, 몸체(110)가 2개로 등분되어 분리된 원형 케이스(100)와, 상기 몸체(110)의 어느 한쪽이 내주 면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부재(120)가 구비되어 일측이 스풋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몸체(11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볼트(15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쌍의 고정막대(130,140)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막대(130,140)에는 고정볼트(150)를 관통하는 관통공(131,141)과 어느 한쪽에는 고정볼트(150)와 체결되도록 나사산(133,143)이 형성되어 고정볼트(150)의 나산결합되어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형 케이스(100)의 양측이 절곡된 내주 면으로 직경이 작은 서로 다른 파이프(200,300)를 압착시켜 고정되는 고무슬리브(160) 및 상기 파이프(200,300)의 그루브(210,310)에 고정되는 돌기부재(170)가 안착 고정되므로, 신설하거나 낡은 건물의 실내외 배관/수리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좁은 공간에서의 효율적으로 시공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 원형 케이스(100)에 형성된 고정막대(120,130) 및 상기 고정막대(120,130)의 관통공(121,212)(131,132)으로 삽입되어 원형 케이스(100)를체결 고정볼트(140)는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관통공 및 볼트의 개수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재(170)의 실시 예로서, 상기 돌기부재(170)는 원형 케이스(100)와 같이 등분된 한 쌍의 돌기부재(170)로 형성하거나, 반원형으로 등분된 한 쌍의 돌기부재를 힌지로 접은 상태와 펼친 상태로 힌지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서로 다른 파이프(200,300)의 체결시 분해/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원형 케이스(100)는 'T'형상, 'Y'형상 및 '+'형상 등의 파이프 연결부재와 같이 비교적 접속 면이 작은 연결부재의 단부에 그루브(210,310)를 형성하여 상기 그루브(210,310)에 돌기부재(170)가 결합되어 고정시키게 되므로, 파이프 커플링의 분해/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은 서로 다른 파이프(200,300)를 연장하기 위해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파이프 연결부재 또는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내측에 그루브(210,310)를 형성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도록 상기 서로 다른 파이프를 소정의 간격을 유지시킨 후 원형 케이스(100)에 장착된 고정막대(130,140)에 체결된 고정볼트(150)를 풀어 몸체(110)를 분리하고, 상기 파이프의 맞다는 단부에 몸체(110)를 결합한 후 고정볼트(150)를 고정막대(130,130)의 관통공(131,141)으로 삽입하여 체결하게 되므로, 상기 원형 케이스(100)의 슬라이드부재(120)가 내부로 슬라이드되면서 서로 다른 파이프를 고무슬리브(160) 및 돌기부재(170)로 파이프에 압착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파이프를 연결한 후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파이프가 소정의 각도로 편심되더라도 원형 케이스(100)의 내부 고무슬리브(160) 및 돌기부재(170)가 원형 케이스(100)에 의해 압착 고정되므로, 파이프의 조임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부가 절개된 원통형 돌기부재에 형성된 다수의 절곡홈이 파이프의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 고정되어 파이프를 고정하게 되므로,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상기 파이프가 편심되더라도 파이프의 조임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양측이 절곡되어 단면형태의 원형으로 이루되 몸체가 2개로 등분되어 분리된 원형 케이스와, 상기 몸체의 어느 한쪽이 내주 면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부재가 구비되어 일측이 스풋 용접되어 고정되고,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 쌍의 고정막대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막대에는 고정볼트를 관통하는 관통공과 어느 한쪽에는 고정볼트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원형 케이스의 양측이 절곡된 내주 면으로 직경이 작은 서로 다른 파이프를 압착시켜 고정되는 고무슬리브로 이루어진 파이프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원형 케이스(100)의 양측이 절곡된 내주 면으로 삽입되는 서로 다른 파이프(200,300)의 그루브(210,310)를 고정시키기 위한 반원형으로 등분된 한 쌍의 돌기부재(1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
KR2020010029943U 2001-09-28 2001-09-28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 KR200257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943U KR200257541Y1 (ko) 2001-09-28 2001-09-28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943U KR200257541Y1 (ko) 2001-09-28 2001-09-28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541Y1 true KR200257541Y1 (ko) 2001-12-29

Family

ID=73109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943U KR200257541Y1 (ko) 2001-09-28 2001-09-28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5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672Y1 (ko) 2009-12-14 2010-07-29 송원재 선박 엔진의 머플러에 사용되는 연결구
KR102162181B1 (ko) 2020-04-21 2020-10-06 (주)신흥이앤지 연결각도 조절형 조립식 파이프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672Y1 (ko) 2009-12-14 2010-07-29 송원재 선박 엔진의 머플러에 사용되는 연결구
KR102162181B1 (ko) 2020-04-21 2020-10-06 (주)신흥이앤지 연결각도 조절형 조립식 파이프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9246B2 (ja) パイプ固定装置
JP2009138382A (ja) 鋼管杭接続構造
CN100434731C (zh) 管接头
KR200257541Y1 (ko)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
KR200257540Y1 (ko)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
KR200257538Y1 (ko)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
WO2016174687A1 (en) A pipe and coupler system
KR200257539Y1 (ko) 파이프 그루브 커플링
JP2008127824A (ja) 建築構造物の連結方法及びその連結部材
KR100370505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관연결구조
KR200443458Y1 (ko) 배관용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연결구조
KR100550278B1 (ko) 파이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구조물의 연결구조
JP6935888B2 (ja) 補強治具の装着方法
KR20030060561A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100519174B1 (ko) 강구조물의 결합구조
KR100899461B1 (ko) 다용도 플랜지 배관 연결 장치
RU2158872C1 (ru)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JP5132994B2 (ja) 可撓性管継手
JP6592757B2 (ja) 高圧用継手
JP4202868B2 (ja) 手摺笠木接続装置
JPH0212382Y2 (ko)
KR100650705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60003727A (ko) 신축이음
RU195176U1 (ru) Разъемный зажим
KR200385727Y1 (ko) 파이프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