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008Y1 - 관이음용 연결관 - Google Patents

관이음용 연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008Y1
KR0134008Y1 KR2019950038670U KR19950038670U KR0134008Y1 KR 0134008 Y1 KR0134008 Y1 KR 0134008Y1 KR 2019950038670 U KR2019950038670 U KR 2019950038670U KR 19950038670 U KR19950038670 U KR 19950038670U KR 0134008 Y1 KR0134008 Y1 KR 0134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oint
pipe joint
bend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86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539U (ko
Inventor
박기종
Original Assignee
박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종 filed Critical 박기종
Priority to KR20199500386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008Y1/ko
Publication of KR970043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5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0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 이음용 연결관에 대해 개시한다.
종래에는 하수관의 연결을 할 때 두 개의 관을 삽구이음이나 나사이음등으로 연결한 후 그 관 이음부 외면에 고무재질의 융착시트를 감은 다음 가열융착시켜서 기밀유지만을 한 단순한 구성으로 관이음부를 보호했기 때문에 이 상태로 지중에 매설할 경우 지반침하나 외부의 충격으로 관이음부가 꺽이게 되면 쉽게 파열되어 관내에 흐르는 폐수등이 액체가 유출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장기간 매설될 경우에는 융착시트가 쉽게 부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융착시트를 감아 가열융착시킨 관이음부 외면에 스텐레스 재질의 밴딩관을 감고 밴딩관에 일체로 부착된 조임판으로 밴딩관을 꽉 조여 결합시키고 그 결합력이 쉽게 이완되지 않도록 체결부재와 조임판사이에 탄성조임구를 끼웠으며, 밴딩관의 양측단부에는 융착시트와의 기밀성으르 위해 탄지편을 형성시켰을 뿐 아니라 한쪽조임구를 밴딩관의 절단부위로부터 간격을 두고 부착시켜서 밴딩관의 분리된 부위가 겹쳐지게 결합되도록하여 관의 직경이 조금 차이가 있어도 관이음부를 결속력있게 견고하게 조여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관이음용 연결관
제1도는 종래 기술의 일반적인 관이음 방법이 도시된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용 연결관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용 연결관의 설치과정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a)는 결합전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b)는 결합전 상태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제4도의 (a),(b)는 본 고안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 부분 절개 단면도.
제5도의 (a),(b)는 또 다른 종래 기술의 관이음 구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 : 관(pipe) 13 : 관 이음부
14 : 융착시트(sheet) 21 : 벤딩관(bending pipe)
24 : 체결부재 25 : 체결구멍
26 : 조임판 28 : 와셔(washer)
29,30 : 탄성조임구 31 : 탄지편
40 : 연결관
본 고안은 두 개의 관을 연결할 때 관이음부의 기밀을 유지토록 함은 물론 관이음부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관이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관이음부를 보강해주는 관이음용 연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pipe)은 액체, 가스체, 음향 등을 전송하거나 순환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관은 제작상이나 운반문제로 인해 길게 제작하지 못하기 때문에 적정 길이로 제작된 관을 서로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배관을 하게 된다.
따라서, 두 개의 관을 연결했을 때 그 관이음부는 액체나 가스체 등이 유출되지 않도록 충분한 기밀을 갖도록 연결해야 하는 바, 특히 가정의 폐수 등이 흐르는 하수도관 공사의 경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하수관(1)(2)을 서로 연결한 후, 관이음부(3)의 둘레에 고무재질의 융착시크(4)를 여러 번 감고, 토오치램프(5) 등으로 융착시트(4)를 가열하여 관이음부(3)에 완전 밀착시킴으로써 하수관(1,2) 내에 흐르는 폐수의 유출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하수관(1,2)의 관이음부(3)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수관(1,2)을 삽구 이음이나 나사 이음 방식으로 결합시킨 후, 융착시크(4)만을 감아 가열융착시켜 기밀성만을 유지토록 한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고나이음 상태로 지중에 매설한 후 관이음부(3)의 하부지층이 침하되거나 외부에서 심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관이음부(3)가 꺽이게 됨으로써 관이음부가 파손되면서 융착시크(4)가 파열되어 폐수 등이 유출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융착시트(4)는 고무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 지중에 묻혀 있게 되면 재질상 부식작용에 의해 기밀상태가 현저히 불량해져 관이음부의 폐수 유출문제를 야기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제5도(a)는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평 6-43480호'에 개시된 도면이고, 제5도(b)는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95-4193호'에 개시된 도면으로서, 상기 일본과 국내에 개시된 고안이 모두 두 개의 접합 부재(50,50'), (60,60')를 관이음부에 맞대고, 볼트와 너트 등의 접합 수단(51,52,53), (61,62)을 이용하여 관이음부에 고정됨으로써 관이음부를 보강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본과 국내에 개시된 고안은 두 개의 접합 부재(50,50'), (60,60')를 맞대어 사용함에 따라 보다 많은 접합 수단(51,52,53), (61.62)이 사용됨은 물론 조립 부품수가 증가되고, 조립 및 분해 작업도 그만큼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개시 고안은 상호 연결된 관의 직경이 두 개의 접합 부재(50,50'), (60,60') 보다 커질 경우 두 개의 접합 부재(50,50'), (60,6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관의 직경이 접합 부재(50,50'), (60,60') 보다 작을 경우에는 접합 부재와 관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관 이음부의 기밀을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없음은 물론 직경이 달라지는 관에 대하여 신축성 있게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본 고안의 목적은 관이음부에 외력이나 충격이 가해지거나 지층 침하로 인해 관이음부가 꺾이게 되더라도 관이음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관이음부의 기밀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관이음부를 보강해주는 관이음용 연결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직경이 어느 정도 다른 관에도 신축성 있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구성 부품수를 감소시켜 설치 및 분해 작업도 용이해지도록 하는 관이음용 연결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관이음용 연결관은, 두 개의 관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관이음부의 둘레에 융착시트를 감아 가열융착시켜서 상기 관이음부의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관이음용 연결관에 있어서, 상기 관이음부에 감겨지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중간 부위가 분리되게 절단되어 단수 개로 이루어진 벤딩관과, 상기 벤딩관의 절단 부위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벤딩관이 상기 관이음부에 조여지도록 결합시키는 한 쌍의 조임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임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벤딩관의 절단부위의 끝단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융착시트가 감겨 있는 상기 관이음부를 보강해주고,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임판과 체결부재 사이에는 ㄷ형 탄성조임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벤딩관의 개구부측의 양단부위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탄지편을 형성하여 관이음부에 결합된 후 벤딩관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 본 고안의 관이음용 연결관(4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서 관(11,12)의 연결시 관이음부(13)에 감을 수 있도록 중간 부위가 분리되게 절단된 벤딩관(band pipe; 21)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벤딩관(21)은 하나의 긴 판형의 금속재를 원통형으로 절곡시켜 제작되고, 지중에 매설될 경우 외부충격이나, 지반침하에 따른 관이음부(13)의 꺾임에 의한 지지강도가 강하고, 습기나, 온도변화에 강한 내구성을 지닌 스테인레스(stainless)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벤딩관(21)은 관이음부(13)에 감겨져서 관이음부(13)를 꽉 조여서 결합시켜야 하는 바, 이에 따라 벤딩관(21)의 절단부위의 양단부에는 볼트(22)와 너트(23) 등의 체결부재(24)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체결구멍(25)을 가지는 한 쌍의 조임판(26)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각각의 조임판(26)은 ㄴ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그 하단부가 벤딩관(21)의 절단부위의 단부에 스팟 용접(spot welding; 27)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또한, 조임판(26)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로 제작하여 벤딩관(21)에 설치할 수 있도 있고, 벤딩관(21)의 단부를 조임판(26)의 형상으로 절곡 형성시킨 후 체결구멍(25)을 형성시켜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한 쌍의 조임판(26) 중 어느 하나의 조임판이 벤딩관(21)의 절단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벤딩관(21)에 설치되므로써 벤딩관(21)의 단부가 조임판(26)에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관의 직경차이가 대동소이한 다른 크기의 관에도 본 고안의 연결관(40)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연결관(40)을 관이음부(13)에 결합시켰을 경우에 돌출된 벤딩관(21)의 단부가 다른 쪽 단부 밑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조여주게 되면 서로 겹쳐진 단부에 의해서 관이음부(13)를 더욱 확실하게 조여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조임판(26)과 체결부재(24) 사이에는 풀림 방지를 위해 공지의 와셔(washer; 28)가 끼워지는데, 이 와셔(28)로는 조임판(26)의 체결상태가 불안정하고, 조임판(26)은 관이음부(13)에 꽉 조여지게 됨에 따라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강해 이를 적절히 지지해줘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체결부재(24)와 조임판(26) 외측면 사이에는 ㄷ 자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조임판(26)의 체결구멍(25)에 대응되는 체결구멍(25)이 형성된 탄성조임구(29,30)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조임구(29,30)는 체결구멍(25) 부위에만 끼워지도록 짧게 형성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판(26)의 가로 방향의 길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길게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벤딩관(21)의 양측 단부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모따기형태로 절곡되어 탄지편(31)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관이음부(13)에 결합될 때 탄지편(31)이 융착시트(14) 면에 밀착되어 탄성력 있게 접촉되므로써 이 틈사이로 기타 이물질이나 물기가 유입되지 않게 하며, 벤딩관(21)이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관이음용 연결관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두 개의 관을 삽구이음이나 나사이음 방식으로 연결한 후 종래 기술과 같이 융착시크(14)를 관이음부(13)에 감아 토오치램프(touch lamp; 도시 안됨)로 가열하여 융착시킨다.
다음 제3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관(21)을 융착시트(14) 외주에 감은 다음 조임판(26)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조임판(26)의 외측면에 탄성조임구(29,30)를 각각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조임판(26)과 탄성조임구(29,30)의 체결구멍(25)을 정위치에 일치시켜 와셔(28)와 볼트(22)를 끼운 다음, 반대쪽에서 너트(23)를 끼워 조임판(26)을 체결하면 제3도(b)와 같이 된다. 이때, 상기 탄성조임구(29,30)는 개방부의 양단이 볼트(22)와 너트(23)의 조임력에 의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탄발되어 조임판(26)이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제4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관(21)의 양단부의 절곡된 탄지편(31)이 결합력에 의해 융착시트(14)에 완전 밀착된 상태로 조여주게 됨으로써 벤딩관(21)과 융착시트(14) 사이에 기밀이 유지되어 지중에 매설이 이사이로 이물질이나 물기가 침투되지 않아 융착시트(14)가 쉽게 부식되어 손상되지 않게 된다.(제4도(b)).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관이음용 연결관에 의하면 두 개의 관을 연결했을때 관이음부를 융착시트로 감아 가열 융착시켜서 기밀을 유지한 다음, 벤딩관을 견고하게 결합시켜 줌으로써 지중에 매설한 후 외부의 충격이나 관이음부 하측의 지반 침하 현상으로 인해 관이음부가 꺾이게 되더라도 이를 연결관이 견고하게 지지해주게 됨으로써 관이음부가 파손되거나 파열되지 않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단수개의 벤딩관 끝단에 한쪽 조임판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기 때문에 직경이 다른 관에도 신축성 있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구성 부품수를 감소시켜 설치 및 분해 작업도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두 개의 관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관이음부의 둘레에 융착시트를 감아 가열융착시켜서 상기 관이음부의 기밀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 관이음용 연결관에 있어서, 상기 관이음부(13)에 감겨지도록 원통형으로 절곡되는 동시에 중간 부위가 분리되게 절단되어 단수 개로 이루어진 벤딩관(21)과, 상기 벤딩관(21)의 절단 부위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체결부재(24)에 의해 상기 벤딩관(21)이 상기 관이음부(13)에 조여지도록 결합시키는 한 쌍의 조임판(26)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임판(26)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벤딩관(21)의 절단부위의 끝단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융착시트(14)가 감겨있는 상기 관이음부(13)를 보강해주고, 기밀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연결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판(26)과 상기 체결부재(24) 사이에는 ㄷ형 탄성조임구(29,3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관(21)의 개구부측의 양단부위가 경사지게 절곡된 탄지편(31)을 형성하여 상기 관이음부(13)에 결합시 상기 벤딩관(21)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용 연결구.
KR2019950038670U 1995-12-06 1995-12-06 관이음용 연결관 KR01340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670U KR0134008Y1 (ko) 1995-12-06 1995-12-06 관이음용 연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670U KR0134008Y1 (ko) 1995-12-06 1995-12-06 관이음용 연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539U KR970043539U (ko) 1997-07-31
KR0134008Y1 true KR0134008Y1 (ko) 1999-02-18

Family

ID=1943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8670U KR0134008Y1 (ko) 1995-12-06 1995-12-06 관이음용 연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0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539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3782A (en) Pipe repair clamp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399453Y1 (ko) 신축편수관 연결장치
KR100574745B1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KR0134008Y1 (ko) 관이음용 연결관
JP4025393B2 (ja) 補強部材および分岐管継手装置
KR200198028Y1 (ko) 이중 피이시이트 피복 파형강관 연결용 플랜지 접합구조
JP2004100774A (ja) 再利用可能な仮設水道管路
US9970585B2 (en) C flange bracket
US7497485B2 (en) Band device of joining pipe for preventing from leakage
KR100669496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402743Y1 (ko)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KR101057166B1 (ko) 다용도 배관 연결 장치
JP3584303B2 (ja) 管継手
KR101422935B1 (ko) 배관연결용 클램프
KR200352829Y1 (ko) 합성수지관용 연결구
KR200165409Y1 (ko) 상ㆍ하수도관누수차단장치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0416911Y1 (ko) 배관재 연결구
KR100445528B1 (ko) 배관재의 연결장치
KR200245603Y1 (ko) 배관재의 연결장치
JP3541107B2 (ja) 流体輸送管の接続構造
KR20070032874A (ko)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KR100398789B1 (ko) 관이음 플랜지
KR200187887Y1 (ko) 호스 연결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305

Effective date: 200411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