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743Y1 -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 Google Patents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743Y1
KR200402743Y1 KR20-2005-0027060U KR20050027060U KR200402743Y1 KR 200402743 Y1 KR200402743 Y1 KR 200402743Y1 KR 20050027060 U KR20050027060 U KR 20050027060U KR 200402743 Y1 KR200402743 Y1 KR 2004027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olt
polyethylene film
edge por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0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수영
Original Assignee
주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영 filed Critical 주수영
Priority to KR20-2005-00270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7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7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7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에 관한 것이다. 고정밴드(10)가 원통형으로 만곡되는 밴드본체(12)로 구성되고 밴드본체(12)의 양단부(14)를 외측으로 루프형태가 되게 만곡시켜 밴드본체(12)에 리벳트(16)로 고정함으로서 체결봉(28)이 삽입되는 포켓(18)이 형성되고 이들 포켓(18)이 형성되는 고정밴드(10)의 양단부에 인접하여 절결부(20), 볼트관통부(22) 및 볼트관통공(24)이 형성되며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 또는 오수관을 구성하는 두 파이프(34)(34')의 대향하는 연결단부상에 연결관(36)의 삽입하에 체결된다. 본 고안에 따라서, 밴드본체(12)가 아연도금철판으로 된 일정한 길이의 밴드소재(40)로 구성되고 밴드소재(40)의 상하면에 폴리에틸렌필름(42)이 접착되어 밴드 블랭크(52)를 구성하며 폴리에틸렌 필름(42)은 밴드소재(40)의 변부로부터 일정한 폭을 갖는 변부부분(48)을 가지고 밴드소재(40)에 형성된 절결부(20), 볼트관통부(22) 및 볼트관통공(24)의 부분에서 접착되어 합체된 폴리에틸렌 필름(42)의 부분은 이들 절결부(20), 볼트관통부(22) 및 볼트관통공(24)의 변부를 따라서 일정한 폭을 갖는 변부부분(50)을 남기고 절취되며, 밴드 블랭크(52)가 고정밴드(10)의 밴드본체(12)로 사용된다.

Description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FIXING BAND FOR CONNECTING UNDERGROUND PIPES}
본 고안은 하수관 또는 오수관을 구성하는 두 파이프의 단부를 맞대어 연결하고 이 연결부분을 누수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내구성이 큰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제의 하수관 또는 오수관은 단위길이의 파이프를 연속연결하여 지중에 매설된다. 이러한 파이프는 최초 배관시 또는 부분파손에 의한 보수시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누수없이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종래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연결하는 한가지 방법은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부분적으로 직접가열하여 용융시킨 상태에서 맞대어 연결하는 방법이 있고 다른 한가지 방법으로서는 연결될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의 둘레에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고무관을 외부에서 삽입하고 다시 그 외부에 고정밴드를 체결하여 조임으로서 파이프의 연결단부가 누수없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후자의 방법에 사용되는 고정밴드는 원통형의 형태로 만곡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대향되는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포켓이 형성되고 이 포켓에 삽입된 체결봉을 통하여 볼트를 체결하고 너트로 조여 고정밴드내에 삽입되고 고무관으로 둘러싸인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고정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이러한 고정밴드는 양측단부의 포켓이 일체로 형성되는 합성수지제가 알려진 바 있고 또한 금속, 특히 스텐레스 스틸제의 고정밴드가 알려진 바 있다. 합성수지제의 고정밴드는 이러한 고정밴드를 사용하는 경우 강한 체결력으로 체결할 때 이러한 체결력을 감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으며, 연결되는 두 파이프의 연결단부에 외부에서 삽입되는 고무관 대신에 열융착관을 사용하여 이러한 열융착관을 가열융착하는 방식을 이용할 때 열융착을 위한 열에 견딜 수 없어 취약하게 되는 결점을 가질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고정밴드를 스텐레스 스틸제로 구성하는 경우 그 내구연한이 짧은 결점을 갖는다. 더욱이 고정밴드를 구성하는 스텐레스 스틸은 그 재료비용이 높은 결점을 갖는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체결할 때 가하여지는 체결력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큰 내구성을 보임으로서 내구연한이 긴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는 고정밴드가 원통형으로 만곡되는 밴드본체로 구성되고 밴드본체의 양단부를 외측으로 루프형태가 되게 만곡시켜 밴드본체에 리벳트로 고정함으로서 체결봉이 삽입되는 포켓이 형성되고 이들 포켓이 형성되는 고정밴드의 양단부에 인접하여 절결부, 볼트관통부 및 볼트관통공이 형성되며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 또는 오수관을 구성하는 두 파이프의 대향하는 연결단부상에 연결관의 삽입하에 체결되는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라서, 밴드본체가 아연도금철판으로 된 일정한 길이의 밴드소재로 구성되고 밴드소재의 상하면에 폴리에틸렌필름이 접착되어 밴드 블랭크를 구성하며 폴리에틸렌 필름은 밴드소재의 변부로부터 일정한 폭을 갖는 변부부분을 가지고 밴드소재에 형성된 절결부, 볼트관통부 및 볼트관통공의 부분에서 접착되어 합체된 폴리에틸렌 필름의 부분은 이들 절결부, 볼트관통부 및 볼트관통공의 변부를 따라서 일정한 폭을 갖는 변부부분을 남기고 절취되며, 밴드 블랭크가 고정밴드의 밴드본체로 사용된다.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밴드(10)를 보인 것으로, 이 고정밴드(10)는 원통형으로 만곡되는 밴드본체(12)로 구성되고 이 밴드본체(12)의 양단부(14)를 외측으로 루프형태가 되게 만곡시켜 밴드본체(12)에 리벳트(16)로 고정함으로서 포켓(18)이 형성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포켓(18)은 원통형을 이루는 고정밴드(10)의 축방향으로 형성되며 중간에 형성된 절결부(20)가 포켓(18)을 양분한다. 이들 포켓(18)에는 원통형 고정밴드(10)의 축선방향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외측에 기다란 볼트관통부(22)와 내측에 원형의 볼트관통공(24)이 한쌍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포켓(18)에는 이들 볼트관통부(22)와 원형의 볼트관통공(24)에 정렬되는 볼트공(26)을 갖는 경질의 합성수지제 체결봉(28)이 삽입되고, 정렬된 볼트관통부(22), 체결봉(28)의 볼트공(26)과, 볼트관통공(24)을 통하여 볼트(30)가 삽입되고 이에 사각너트(32)가 체결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밴드(1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용된다. 즉,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 또는 오수관을 구성하는 두 파이프(34)(34')의 대향하는 연결단부를 누수없이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먼저, 이들 파이프(34)(34')가 매설될 위치의 구거(溝渠)(도시하지 않았음)에 이들 파이프의 연결단부가 서로 정렬된 상태로 배치되게 한 다음, 이들 파이프(34)(34')의 연결단수상에 고무관, 발포시이트로 이루어지는 열융착관, 열수축필름관, 또는 수밀시이트관 등으로부터 선택되어 사용되는 연결관(36)을 외부로부터 삽입하고 연결관(36)상에 고정밴드(10)를 환착하고 고정밴드(10)의 양단부에 형성된 포켓(18)에 삽입된 체결봉(28)을 통하여 볼트(30)를 사각너트(32)로 체결한다. 이때에, 고정밴드(10)에서 양단의 포켓(18)사이의 간극을 보상하기 위하여 원호형의 보강판(38)이 배치된다. 고정밴드(10)의 볼트(30)를 조임으로서 원통형 고정밴드(10)의 직경이 작아지면서 연결관(36)을 파이프(34)(34')의 연결단부에 대하여 압착시켜 이들 파이프(34)(34')의 연결단부가 누수없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서, 밴드본체(12)는 다음과 같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밴드본체(12)는 종래기술과 같이 스텐레스 스틸 또는 합성수지의 단일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고 복합구조로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밴드본체(12)는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아연도금철판으로 된 일정한 길이의 밴드소재(40)로 구성된다. 이러한 밴드소재(40)에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양단부(14)에 인접하여 절결부(20), 볼트관통부(22) 및 볼트관통공(24)이 형성된다. 이러한 아연도금철판의 밴드소재(40)는 고정밴드(10)가 300 mm 의 직경을 갖는 파이프(34)(34')에 사용되는 경우 그 두께가 0.5~1.0 mm 의 범위이나 0.6 mm 의 두께가 좋다.
이와 같은 밴드소재(40)에는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하면에 폴리에틸렌필름(42)이 접착되어 합체된다. 이와 같은 폴리에틸렌 필름(42)은 연속으로 공급되는 밴드소재(40)의 상하측에서 이들의 공급롤(44)로부터 공급되고 상하의 가열가압롤러(46)에 의하여 밴드소재(42)의 상하면에 접착되어 합체된다. 폴리에틸렌 필름(42)은 밴드소재(40)를 향하는 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어 가열가입시에 확고하게 접착되어 합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폴리에틸렌 필름(42)의 두께는 고정밴드(10)가 300 mm 의 직경을 갖는 파이프(34)(34')에 사용되는 경우 0.3~1.0 mm 범위의 두께, 좋기로는 0.6 mm 의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폴리에틸렌 필름(42)은 밴드소재(40)의 상하면에서 밴드소재(40)의 전체를 포함하여 접착됨으로서 밴드소재(40)의 변부로부터 일정한 폭, 예를 들어 5~10 mm 의 폭을 갖는 변부부분(48)을 갖는다(도 9 참조).
한편, 밴드소재(40)에 형성된 절결부(20), 볼트관통부(22) 및 볼트관통공(24)의 부분에서 접착되어 합체된 폴리에틸렌 필름(42)의 부분은 이들 절결부(20), 볼트관통부(22) 및 볼트관통공(24)의 변부를 따라서 3~5 mm의 폭을 갖는 변부부분(50)을 남기고 절취된다(도 9 및 도 10 참조).
이와 같이 함으로서 가장자리에 형성된 폴리에틸렌 필름(42)의 변부부분(48)과, 각 절결부(20), 볼트관통부(22) 및 볼트관통공(24)에서 형성된 변부부분(50)에 의하여 밴드소재(40)는 상하면의 폴리에틸렌 필름(42)에 의하여 완전히 감싸여지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이를 밴드 블랭크(52)라 하였다.
이와 같은 밴드 블랭크(52)는 도 6, 도 7 및 도 8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아연도금철판으로 된 밴드소재(40)가 상하면의 폴리에틸렌 필름(42)에 의하여 완전히 감싸여져 있어 밴드소재(40)가 부식되는 것이 철저하게 방지될 수 있다.
밴드 블랭크(52)는 본 고안 고정밴드(10)의 밴드본체(12)를 구성하게 되며,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양단부(14)를 외측으로 루프형태가 되게 만곡시켜 밴드본체(12)에 리벳트(16)로 고정함으로서 체결봉(28)이 삽입되는 포켓(18)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고정밴드(10)의 밴드본체(12)를 구성하는 밴드 블랭크(52)가 양단부(14)에 인접하여 절결부(20), 볼트관통부(22) 및 볼트관통공(24)이 사전에 형성된 아연도금철판의 밴드소재(40)와 이러한 밴드소재(40)가 전체적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상하면에서 접착되어 합체되는 폴리에틸렌 필름(42)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밴드 블랭크(52)를 이용하여 고정밴드(10)의 밴드본체(12)를 구성하고 고정밴드(10)가 지중에 매설되는 두 파이프(34)(34')의 연결단부상에 체결되어 사용될 때 큰 내구성을 가짐으로서 내구연한이 긴 잇점을 갖는다.
특히, 고정밴드(10)와 두 파이프(34)(34')의 연결단부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관(36)이 발포시이트로 이루어지는 열융착관인 경우에 열융착관의 열융착시에 고정밴드(10)를 구성하는 밴드 블랭크(52)의 내면측 폴리에틸렌 필름(42)이 열융착관과의 열융착이 이루어져 누수방지에 큰 효과를 보일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파이프의 연결단부를 체결할 때 가하여지는 체결력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큰 내구성을 보임으로서 내구연한이 긴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고정밴드를 사용하여 두 지중매설관을 연결고정한 것을 보인 전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고정밴드를 구성하는 밴드소재를 전개하여 보인 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 보인 밴드소재의 양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접합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밴드소재의 양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이 접합되어 밴드 블랭크로 가공된 것을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6에서 보인 밴드 블랭크의 부분확대도.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밴드소재의 양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이 접합되어 밴드 블랭크로 가공되는 과정의 한 단계를 보인 부분확대단면도.
도 10은 도 9에 이어서 양면에 폴리에틸렌 필름이 접합가공되어 밴드 블랭크로 완성된 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고정밴드 12... 밴드본체
14... 양단부 16... 리벳트
18... 포켓 20... 절결부
22... 볼트관통부 24... 볼트관통공
28... 체결봉 34, 34'... 파이프
36... 연결관 40... 밴드소재
42... 폴리에틸렌 필름 48, 50... 변부부분
52... 뱅드 블랭크

Claims (4)

  1. 고정밴드(10)가 원통형으로 만곡되는 밴드본체(12)로 구성되고 밴드본체(12)의 양단부(14)를 외측으로 루프형태가 되게 만곡시켜 밴드본체(12)에 리벳트(16)로 고정함으로서 체결봉(28)이 삽입되는 포켓(18)이 형성되고 이들 포켓(18)이 형성되는 고정밴드(10)의 양단부에 인접하여 절결부(20), 볼트관통부(22) 및 볼트관통공(24)이 형성되며 지중에 매설되는 하수관 또는 오수관을 구성하는 두 파이프(34)(34')의 대향하는 연결단부상에 연결관(36)의 삽입하에 체결되는 것에 있어서, 밴드본체(12)가 아연도금철판으로 된 일정한 길이의 밴드소재(40)로 구성되고 밴드소재(40)의 상하면에 폴리에틸렌필름(42)이 접착되어 합체되어 밴드 블랭크(52)를 구성하며 폴리에틸렌 필름(42)은 밴드소재(40)의 변부로부터 일정한 폭을 갖는 변부부분(48)을 가지고 밴드소재(40)에 형성된 절결부(20), 볼트관통부(22) 및 볼트관통공(24)의 부분에서 접착되어 합체된 폴리에틸렌 필름(42)의 부분은 이들 절결부(20), 볼트관통부(22) 및 볼트관통공(24)의 변부를 따라서 일정한 폭을 갖는 변부부분(50)을 남기고 절취되며, 밴드 블랭크(52)가 고정밴드(10)의 밴드본체(12)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아연도금철판으로 된 밴드소재(40)의 두께가 0.5~1.0 mm 이고 밴드소재(40)의 상하면에 접착되는 폴리에틸렌 필름의 두께가 0.3~1.0 mm 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밴드소재(40)의 변부에 형성되는 폴리에틸렌 필름(42)의 변부부분(48)의 폭이 5~10 mm 이고, 밴드소재(40)에 형성된 절결부(20), 볼트관통부(22) 및 볼트관통공(24)의 부분에서 폴리에틸렌 필름(42)의 변부부분(50)의 폭이 3~5 mm 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4. 제1항에 있어서, 연결관(36)이 발포시이트로 이루어지는 열융착관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KR20-2005-0027060U 2005-09-20 2005-09-20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KR2004027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060U KR200402743Y1 (ko) 2005-09-20 2005-09-20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060U KR200402743Y1 (ko) 2005-09-20 2005-09-20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435A Division KR20070032874A (ko) 2005-09-20 2005-09-20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743Y1 true KR200402743Y1 (ko) 2005-12-05

Family

ID=4370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060U KR200402743Y1 (ko) 2005-09-20 2005-09-20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7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294Y1 (ko) 2006-12-21 2011-06-27 주수영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294Y1 (ko) 2006-12-21 2011-06-27 주수영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39581B (zh) 具有带衬垫的中央凸筋的单一螺栓带箍以及使用该带箍的管搭接
US6701967B2 (en) Device having a radial partition in a double walled pipe intended for great depths
KR200402743Y1 (ko)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KR20130122710A (ko) 조글을 갖는 클램프
AU2011334206B2 (en) Pipe arrangement and process
KR20070032874A (ko) 지중매설관연결용 고정밴드
KR20090026353A (ko) 튜브 커플링용 하우징
US6774066B1 (en) Composite structural reinforcement device
EA014086B1 (ru)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пары концов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KR100339648B1 (ko) 배수관 연결용 체결판의 제조방법
US20100154977A1 (en) Method for tightly joining two end sections of corrugated pipes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JP2002276284A (ja) さや管推進工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管継手構造
JP5101937B2 (ja) 管路の内張り構造
JPH06300173A (ja) 管の継手
KR200456613Y1 (ko) 지중매설관 연결용 고정밴드
KR200420349Y1 (ko) 관 연결용 밴드
JPH05322080A (ja) 補強された合成樹脂製フランジ付管
US9970585B2 (en) C flange bracket
US7497485B2 (en) Band device of joining pipe for preventing from leakage
KR0134008Y1 (ko) 관이음용 연결관
JP6255291B2 (ja) 分岐管継手、この分岐管継手の製造方法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120127862A (ko) 가스이송용 신축이음관 및 그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
KR100669496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3084657B2 (ja) 耐震配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