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450Y1 - 러그 재생용 러그 고정 틸팅 장치 - Google Patents

러그 재생용 러그 고정 틸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450Y1
KR200241450Y1 KR2020010013824U KR20010013824U KR200241450Y1 KR 200241450 Y1 KR200241450 Y1 KR 200241450Y1 KR 2020010013824 U KR2020010013824 U KR 2020010013824U KR 20010013824 U KR20010013824 U KR 20010013824U KR 200241450 Y1 KR200241450 Y1 KR 200241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
vise
support
moving rail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3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450Y1/ko

Links

Landscapes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된 러그를 재사용하기 위해 러그의 리브 브라켓의 절단 작업을 하지 않고 러그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밀링을 이용하여 러그의 단부를 45도 각도로 가공하여 러그의 재활용 횟수를 증가시킨 러그 재생용 틸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밀링 머신의 정반위에 설치되는 베이스(10), 러그를 고정하는 바이스(20), 상기 바이스(20)가 러그의 크기에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바이스 이동 레일(30), 상기 바이스 이동 레일(30)의 양단에 부착되어 바이스 이동 레일(30)을 지지하는 바이스 지지대(40), 상기 바이스 지지대(40)의 양측에 부착되어 바이스 지지대(40)를 필요로 하는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하는 바이스 회전 장치(50),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10)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양단의 바이스 회전 장치(50)을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러그 재생용 러그 고정 틸팅 장치{Lug tilting and clamping equipment for lug recovering}
본 고안은 러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된 러그를 재사용하기 위해 러그의 리브 브라켓의 절단 작업을 하지 않고 러그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밀링 머신은 이용하여 러그의 단부를 45도 각도로 가공하여 러그의 재활용 횟수를 증가시킨 러그 재생용 틸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블록과 같은 철구조물 제작시 철판과 철판이 직각으로 맞닿는 부분을 용접으로 고정시킬 경우 용접 부위를 지지하기 위해 용접 부위에 러그(Lug)를 설치한다. 도 1은 철구조물 제작시 사용하는 러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철구조물의 제작이 완료된 후에는 용접 부위의 러그를 모두 해체하게 되는데, 해체시 러그의 리브 브라켓의 용접 단부가 심한 손상을 입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해체 직후 바로 재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러그의 리브 브라켓을 가스 용접 절단 방식으로 각각 절단한 후, 러그의 용접 단부를 수작업에 의해 45도로 다듬고, 이후 다시 러그에 리브 브라켓을 신규 제작하여 부착하는 방식으로 러그를 재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리브 브라켓의 절단 작업이 많아지게 되고, 러그의 용접 단부를 수작업으로 다듬기 때문에 단부면이 일정하지 않아 재사용시 견고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러그의 절단량이 많아지게 되면 칫수 변화가 커 재사용 횟수가 1 회 내지 2 회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후 해체된 러그의 리브 브라켓을 절단하지 않고 러그를 고정한 상태에서 러그를 포함한 기기 전체를 회전시키고 밀링 머신을 이용하여 러그의 용접 단부를 가공함으로서 러그의 재사용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러그 재생용 틸팅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철구조물 제작시 사용하는 러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러그 재생용 틸팅 장치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러그 재생용 틸팅 장치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틸팅 장치에 러그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러그 재생용 틸팅 장치를 사용한 러그 단부의 가공 작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베이스 20 : 바이스
30 : 바이스 이동 레일 40 : 바이스 지지대
50 : 바이스 회전 장치 60 : 회전축 지지대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러그 재생용 틸팅 장치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정면도로서,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밀링 머신의 정반위에 설치되는 베이스(10), 러그(1)를 고정하는 바이스(20), 상기 바이스(20)가 러그의 크기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바이스 이동 레일(30), 상기 바이스 이동 레일(30)의 양단에 부착되어 바이스 이동 레일(30)을 지지하는 바이스 지지대(40), 상기 바이스 지지대(40)의 양측에 부착되어 바이스 지지대(40)를 필요로 하는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하는 바이스 회전 장치(50),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10)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양단의 바이스 회전 장치(50)을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대(60)로 구성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바이스 회전 장치(50)에는 바이스 회전 장치(50)의 회전량을 작업자가 설정한 범위내로 한정하는 회전 제한 장치(55)가 설치된다. 또한 러그는 금속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하중이 커, 바이스 회전 장치(50)는 수동식이 아닌 전동식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러그 틸팅 장치는 밀링 머신의 정반위에 설치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에 의한 러그 틸팅 장치를 밀링 머신의 정반 위에 설치하도록 한다. 바이스 이동 레일(30)에는 다수개의 바이스(20)가 설치되어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동 레일(30)에 설치되어 있는 바이스(20)를 사용하여 절단 작업을 필요로 하는 러그를 고정한다. 러그의 고정시에는 러그 이동 레일(30)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바이스를 이동시키도록 하고, 러그의 크기에 따라 러그 고정에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틸팅 장치에 러그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바이스(20)에 러그(1)를 맞물린 후 바이스(20)의 클램핑 핸들(25)을 조정하여 러그(1)를 완전히 고정시킨 후에는 바이스(20)가 설치되어 있는 틸팅 장치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러그 단부의 리브 브라켓(2) 단부를 직선 가공하도록 한다.
틸팅 장치는 밀링 머신의 정반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정반의 높이를 조정하여 밀링 커터와 러그의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한다. 도 5에는 러그 단부의 가공 작업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러그(1)의 단부를 45도 각도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러그(1)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바이스 지지대(40)를 바이스 회전 장치(50)를 이용하여 회전시킨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러그 재생용 틸팅 장치를 사용한 러그 단부의 가공 작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틸팅 장치가 회전되어 밀링 머신을 이용하여 러그 단부를 경사지게 가공할 수 있다. 이때 바이스 지지대(40)의 회전 중심은 바이스에 있지 않고 바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러그의 단부에 위치한다.
바이스 지지대(40)의 회전량은 러그(1)가 부착되는 철구조물의 형태에 의해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 45도 각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이스 지지대(40)의 일단에는 바이스 회전 장치(50)의 회전량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장치(55)를 설치부착한다.
바이스 지지대(40)가 바이스 회전 장치(50)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바이스 지지대(40)에 고정되어 있는 바이스(20)와 러그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바이스 지지대(40)를 회전한 상태에서 고정시키고, 밀링(5)을 가동시켜 러그(1) 단부의 가공 작업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밀링에 의한 가공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본 고안의 러그 틸팅 장치가 밀링(5)의 정반위를 이동하면서 연속적인 가공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쪽면의 가공 작업이 완료되면 틸팅 장치를 역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러그의 다른 면의 가공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도 회전 제한 장치(55)에 의해 바이스 회전 장치(50)의 회전량이 결정되도록 한다.
모든 가공 작업이 종료된 후에는 바이스 지지대(4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고, 클램핑 핸들(25)을 조작하여 러그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서 바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러그를 꺼내어 철구조물 제작에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철구조물 제작시 용접 부위를 지지하는 러그를 철구조물의 제작 후 철거했을 때 러그의 접착 부위를 정확히 가공하여 러그를 재사용 횟수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밀링 머신의 정반위에 설치되는 베이스(10), 러그를 고정하는 바이스(20), 상기 바이스(20)가 러그의 크기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도록 하는 바이스 이동 레일(30), 상기 바이스 이동 레일(30)의 양단에 부착되어 바이스 이동 레일(30)을 지지하는 바이스 지지대(40), 상기 바이스 지지대(40)의 양측에 부착되어 바이스 지지대(40)를 필요로 하는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하는 바이스 회전 장치(50),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베이스(10)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양단의 바이스 회전 장치(50)을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그 재생용 틸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스 회전 장치(50)에는 회전 장치의 회전량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장치(55)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그 재생용 틸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스 회전 장치(50)의 회전 중심은 러그(1)의 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그 재생용 틸팅 장치.
KR2020010013824U 2001-05-11 2001-05-11 러그 재생용 러그 고정 틸팅 장치 KR200241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824U KR200241450Y1 (ko) 2001-05-11 2001-05-11 러그 재생용 러그 고정 틸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824U KR200241450Y1 (ko) 2001-05-11 2001-05-11 러그 재생용 러그 고정 틸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450Y1 true KR200241450Y1 (ko) 2001-10-15

Family

ID=73101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824U KR200241450Y1 (ko) 2001-05-11 2001-05-11 러그 재생용 러그 고정 틸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4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574B1 (ko) 2008-06-23 2010-1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외판의 러그 절단용 클램핑 장치
CN113681062A (zh) * 2021-07-29 2021-11-23 广德博朗科技有限公司 一种油缸吊耳铣槽加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574B1 (ko) 2008-06-23 2010-1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외판의 러그 절단용 클램핑 장치
CN113681062A (zh) * 2021-07-29 2021-11-23 广德博朗科技有限公司 一种油缸吊耳铣槽加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87719B1 (en) A composite machine tool
KR101550966B1 (ko) 자동차용 도어프레임 코너용접장치
JP3444622B2 (ja) 角コラム用切断,開先加工機
KR200241450Y1 (ko) 러그 재생용 러그 고정 틸팅 장치
KR200364425Y1 (ko) 수평형 이동식 절단기
WO1999051389A1 (en) Working machine
JPH0577078A (ja) 型鋼加工機
CN211966492U (zh) 一种耐磨堆焊用工件固定装置
KR20120075017A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장치
CN111660017A (zh) 一种多功能切焊一体机
JP2001252812A (ja) 構造物等内の溶接部における余盛り等の切削除去装置
JP2504207Y2 (ja) 石材切断・研磨装置
CN208231429U (zh) 板材加工装置
JPH08309586A (ja) 熱切断加工装置
JP3476044B2 (ja) 作業機械
JP4249209B2 (ja) 鋼材のリブ板切断痕切削装置
CN214721068U (zh) 一种具有回转台的数控开槽机
JPS62158579A (ja) 多軸スポツト溶接装置
CN220006224U (zh) 一种端部去毛刺装置及去毛刺装置
CN217096725U (zh) 一种数控铣边机转台夹持机构
JP3919448B2 (ja) 自走型作業機械の組立て用治具装置
CN213945489U (zh) 一种船舶维修用焊接件固定装置
CN210908555U (zh) 一种用于五金铸件的镭雕激光打标治具
KR200218377Y1 (ko) 체크무늬 롤 가공 용더블커터장치
JPH0966417A (ja) 帯鋸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