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329Y1 -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 - Google Patents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329Y1
KR200241329Y1 KR2020010010217U KR20010010217U KR200241329Y1 KR 200241329 Y1 KR200241329 Y1 KR 200241329Y1 KR 2020010010217 U KR2020010010217 U KR 2020010010217U KR 20010010217 U KR20010010217 U KR 20010010217U KR 200241329 Y1 KR200241329 Y1 KR 200241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turning
rail
fram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filed Critical 김영철
Priority to KR2020010010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3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329Y1/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층 이상의 건물에서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아래층의 베란다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 횡간(11)과 양측 수직간(12)(12')을 포함하여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난간틀(10); 일측에 고정핀(21)이 형성되고 타측에 록크핀(22)이 구비되며 상기 록크핀(22) 부위의 상단에 핀구멍(23) 및 하단에 장방향의 힌지공(23')이 형성되어 난간틀(10)의 양측 수직간(12)(12')에 지지되는 선회난간(20); 선회난간(20)을 난간틀의 횡간(11) 및 바닥의 고정구(1)를 통해 보조적으로 지지시키도록 턴버클(24a)로 연결된 지지간(24); 선회난간의 하단 힌지공(23')을 통해 축설되도록 힌지축(2a)이 설치된 고정판(2); 및 선회난간의 상단 핀구멍(23)을 고정시키도록 핀구멍(3a)이 형성되어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구(3)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Apparatus for escaping through the parapet of veranda}
본 고안은 2층 이상의 건물에서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아래층의 베란다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건물에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베란다가 설치되고, 각각의 베란다에는 안전망인 난간이 설치된다.
이러한 건물에서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외부와의 직접통로인 베란다 난간을 통해 탈출이 시도되지만 그것도 구조대의 장비에 의해서만 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2층 이상의 건물에서 무작정 뛰어 내리거나 복도나 계단을 통해 탈출이 시도될 수 밖에 없어 인명피해가 속출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다양한 비상탈출장비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나 사고발생의 예측이 어려워 상시 구비시키는 것이 쉽지 않고, 상시 구비시킬 경우 베란다 공간활용의 침해 및 미관을 해치게 되며, 구입비 및 유지관리에 부담을 주며, 설치 및 조작이 간단하지 않아 남녀노소의 차이에 의해 그 이용이 제한받게 되는 등의 또 다른 문제점을 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2층 이상의 건물에서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베란다 난간을 통해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하여 남녀노소의 이용에 제한받지 않게 되며, 그 자체가 베란다 난간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상시 설치상태가 되며, 구입 및 유지관리에 부담을 주지않는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는, 상부 횡간과 양측 수직간을 포함하여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난간틀, 일측에 고정핀이 형성되고 타측에 록크핀이 구비되어 난간틀에 설치되는 선회난간, 선회난간을 난간틀의 상하단으로 지지시키고 비상시 난간틀로 부터 해제되도록 턴버클을 구비한 지지간, 선회난간이 선회되도록 선회난간의 일측을 고정판에 축설시키는 힌지, 및 선회된 선회난간의 타측을 고정시키도록 고정핀을 구비한 고정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탈출을 시도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측의 록크핀 및 지지간을 해제시켜 난간틀로 부터 선회난간을 분리시키고, 상기 선회난간을 힌지를 중심으로 선회시켜 타측을 고정시키게 되면, 선회난간은 아래층으로 연결되는 사다리 형태가 되어지고, 빈 선회난간 자리를 통해 빠져나와 상기 사다리 형태로 변형된 선회난간을 통해 아래층으로 탈출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선A-A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선B-B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평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선회난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고정구 2: 고정판
2a: 힌지축 2b: 스프링
3a: 핀구멍 10: 난간틀
11: 횡간 12,12': 수직간
20: 선회난간 21: 고정핀
22: 록크핀 23: 핀구멍
23': 힌지공 24: 지지간
24a: 턴버클 30,40,50: 선회난간
31,33,41,42: 난간대 51: 결속밴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평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는 상부 횡간(11)과 양측 수직간(12)(12')을 포함하여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난간틀(10); 일측에 고정핀(21)이 형성되고 타측에 록크핀(22)이 구비되며 상기 록크핀(22) 부위의 상단에 핀구멍(23) 및 하단에 힌지공(23')이 형성되어 난간틀(10)의 양측 수직간(12)(12')에 지지되는 선회난간(20); 선회난간(20)을 난간틀의 횡간(11) 및 바닥의 고정구(1)를 통해 보조적으로 지지시키도록 턴버클(24a)로 연결된 지지간(24); 선회난간의 하단 힌지공(23')을 통해 축설되도록 힌지축(2a)과 힌지축을 탄지시키는 스프링(2b)을 구비한 고정판(2); 및 선회난간의 상단 핀구멍(23)을 고정시키도록 핀구멍(3a)이 형성되어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구(3)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선회난간의 하단 힌지공(23')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고정판(2)의 힌지축(2a)은 난간을 벗어나는 길이를 지닌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선회난간(20)이 난간틀(10)에 조립되어져 난간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되어 그 베란다 난간을 통해 탈출을 시도하고자 할 경우에는 난간틀(10)로 부터 선회난간(20)의 조립을 해제시켜 힌지축(2a)을 중심으로 선회시키게 되면 상기 선회난간(20)은 아래층의 베란단 난간을 연결하는 사다리 형태가 되어 신속하고 안전한 탈출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일측의 록크핀(22)을 빼냄과 동시에 턴버클(24a)을 사용하여 지지간(24)을 횡간(11)과 고정구(1)로 부터 해제되도록 하면, 선회난간(20)은 힌지축(2a)과 고정핀(21)에 의해서만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선회난간(20)을 힌지축(2a)방향으로 밀게 되면 나머지 고정핀(21) 역시 수직간(12')으로 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오직 힌지축(2a)에 의해서만 지지된 상태가 되고, 이제 선회난간(20)을 전방으로 밀게 되면 스프링(2a)을 극복하면서 힌지축(2a)을 따라 난간턱을 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선회난간(20)을 놓게 되면 선회난간은 힌지축(2a)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아래층으로 향하는 수직의 사다리 형태가 된다.
다음으로 선회난간의 상단 핀구멍(23)과 고정구(3)의 핀구멍(3a)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먼저 빼낸 록크핀(22)으로 끼우게 되면 선회난간(20)의 양측이 지지되어 안정되고 곧바른 설치상태가 된다.
탈출자는 상기 선회난간(20)의 자리였던 빈공간을 통해 빠져나와 선회되어 지지된 선회난간(20)을 통해 아래층으로 탈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선회난간(20)은 선회된 상태에서 아래층까지 충분히 연결되는 길이를 지녀하는 문제점이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 6 및 도 7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즉 도 6에서와 같은 선회난간(30)은 접철식 구조로 난간틀에 조립되는 기본 구성의 난간대(31)와 상기 난간대(31)에 힌지(32) 연결되는 난간대(33)로 이루지는 것에 의해 평상시에는 상기 난간대(33)를 난간대(31)에 접철시킨 상태로 사용되다가 비상시에는 상기 난간대(33)를 난간대(31)로 부터 전개시키므로써 아래층으로 충분히 연결되는 길이가 된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은 선회난간(40)은 슬라이드방식의 접철구조로서, 레일이 형성되어 일측이 난간틀에 지지되는 난간대(41)와 레일홈이 형성되어 일측이 난간틀에 지지되는 난간대(42)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의해, 역시 상기한 선회난간(30)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도 8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설명하면 분리구성되어 난간틀에 조립되는 선회난간(50)을 결속밴드(51)를 사용하여 난간틀에 연결시키는 구성에 의해 비상시 상기 선회난간(50)은 양측의 결속밴드(5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아래층으로 향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은 힌지구성이 배제되는 까닭에 구조가 간단하며 신속히 조작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는 난간틀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하는 선회난간을 구성시키는 것에 의해, 2층 이상의 건물에서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그 베란다 난간을 통해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하여 남녀노소의 이용에 제한받지 않게 되며, 그 자체가 베란다 난간으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상시 설치상태가 되며, 구입 및 유지관리에 부담을 주지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부 횡간(11)과 양측 수직간(12)(12')을 포함하여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는 난간틀(10);
    일측에 고정핀(21)이 형성되고 타측에 록크핀(22)이 구비되며 상기 록크핀(22) 부위의 상단에 핀구멍(23) 및 하단에 장방향의 힌지공(23')이 형성되어 난간틀(10)의 양측 수직간(12)(12')에 지지되는 선회난간(20);
    선회난간(20)을 난간틀의 횡간(11) 및 바닥의 고정구(1)를 통해 보조적으로 지지시키도록 턴버클(24a)로 연결된 지지간(24);
    선회난간의 하단 힌지공(23')을 통해 축설되도록 힌지축(2a)이 설치된 고정판(2); 및
    선회난간의 상단 핀구멍(23)을 고정시키도록 핀구멍(3a)이 형성되어 바닥에 설치되는 고정구(3)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난간의 하단 힌지공(23')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고정판(2)의 힌지축(2a)은 난간턱을 벗어나는 길이를 지니며, 상기 힌지축(2a)에는 선회난간을 탄지시키는 스프링(2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난간은 전개시 길이가 연장되도록 보조난간을 구비한는 접철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난간은 힌지를 배제시키는 것을 대신하여 일측 상단 양측이 결속밴드로 난간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
KR2020010010217U 2001-04-04 2001-04-04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 KR200241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217U KR200241329Y1 (ko) 2001-04-04 2001-04-04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217U KR200241329Y1 (ko) 2001-04-04 2001-04-04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329Y1 true KR200241329Y1 (ko) 2001-10-11

Family

ID=7306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217U KR200241329Y1 (ko) 2001-04-04 2001-04-04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32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021B1 (ko) 대피용 구조물
KR101099764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226947B1 (ko) 인명구조용 피난 사다리
KR101209140B1 (ko) 절첩식 사다리
KR102014084B1 (ko)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난간구조
KR101043592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099765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129439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KR200241329Y1 (ko)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탈출장치
KR100725381B1 (ko) 공동주택용 안전난간
KR100828576B1 (ko) 이동식 틀비계용 난간대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20160143606A (ko) 응급탈출용 비상사다리
KR101080809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905490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장치
KR100596209B1 (ko) 비상대피가 용이한 건축용 난간 구조
KR200358087Y1 (ko) 난간용 사다리
KR200378175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080810B1 (ko) 화재 피난용 반원형 안전 난간대
KR101102788B1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0496742B1 (ko) 베란다 난간을 이용한 구난 사다리
CN207970350U (zh) 高楼逃生装置
KR20050025405A (ko) 비상용 피난사다리
EP0146540A1 (en) High rise life escape lad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