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1126Y1 -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낙석방지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낙석방지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1126Y1
KR200241126Y1 KR2020010011944U KR20010011944U KR200241126Y1 KR 200241126 Y1 KR200241126 Y1 KR 200241126Y1 KR 2020010011944 U KR2020010011944 U KR 2020010011944U KR 20010011944 U KR20010011944 U KR 20010011944U KR 200241126 Y1 KR200241126 Y1 KR 2002411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lab
formwork
composite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택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Priority to KR2020010011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11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11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1126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 낙석방지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철로를 운행하는 차량이 낙석에 의해 레일을 탈선하여 전복됨으로써 발생하는 대형참사를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은 철도구간의 낙석방지용 시설물에 있어, 옹벽에 콘크리트용 셋트앙카(34)가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용 셋트앙카(34)의 고리와 합성구조틀(31)을 결합시키는 조립볼트너트(33)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고리홈(38)에 앙카고리(35)가 연결되어 합성구조틀 거푸집(31)이 장착되고, 상기 합성구조틀 거푸집(31)의 내부에는 철근(36)이 조립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슬래브에도 합성구조틀 거푸집(3 1)이 장착되고 철근(36)을 조립하여 슬래브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슬래브는 상기 합성구조틀 거푸집(31)을 지탱해 주기위한 가시설로 H-pile(37)이 설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상기 옹벽과 슬래브에는 영구앙카(30)가 설치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한 고안은 영구앙카를 사용하므로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벽체와 암절개면의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어 전도에 대해 매우 안정적이고 콘크리트와 일체형으로 사용하므로 기차의 통행시에도 작업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 낙석방지용 구조물{Frame of protection a falling rock by FRP composition structure frame}
본 고안은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 낙석방지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구앙카를 장착하여 구조물에 인장력을 가하고, 거푸집의 해체가 필요없는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산사면을 따라서 운행되는 철길에는 산사면에서 굴러오는 낙석에 대비하여 철조망이나 휀스를 사용하여 왔으나 상기와 같은 장치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산사태가 발생되는 지역과 같은 곳에서는 낙석으로 인한 철도의 탈선으로 대형참사로 까지 이어져 많은 인명피해와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 낙석방지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철로를 운행하는 차량이 낙석에 의해 레일을 탈선하여 전복됨으로써 발생하는 대형참사를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철도구간의 낙석방지용 시설물에 있어, 옹벽에 콘크리트용 셋트앙카가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용 셋트앙카의 고리와 합성구조틀을 결합시키는 조립볼트너트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고리홈에 앙카고리가 연결되어 합성구조틀 거푸집이 장착되고, 상기 합성구조틀 거푸집의 내부에는 철근이 조립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슬래브에도 합성구조틀 거푸집이 장착되고 철근을 조립하여 슬래브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슬래브는 상기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지탱해 주기위한 가시설로 H-pile이 설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상기 옹벽과 슬래브에는 영구앙카가 설치된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산간지역을 통과하는 철로에 설치된 낙석방지 시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인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치도.
도 3은 본 고안인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의 제작구성도.
도 5는 제조가 완료된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분해 상세도.
도 7은 본 고안의 설치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20 : 슬래브 콘크리트 30 : 영구앙카
31 :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32 : 후렌지 고무가스켓
33 : 조립볼트너트 34 : 콘크리트용 셋트앙카
35 : 앙카고리 36 : 철근
50 : 벽체 콘크리트 60 : 기초 콘크리트
본 고안은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 낙석방지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구앙카를 장착하여 구조물에 인장력을 가하고, 거푸집의 해체가 필요없는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인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치도인 도2에서 알 수 있듯이, 옹벽기초 콘크리트(60)가 설치되고, 상기 옹벽기초 콘크리트(60)의 상단에 벽체콘크리트(50)가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40)과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벽체콘크리트(50)의 상단에는 슬래브콘크리트(20)가 형성되며, 상기 벽체콘크리트(50)와 슬래브콘크리트(20)에는 영구앙카(30)가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인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의 사시도는 도 3에서 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의 제작구성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몰드금형을 한 왁스틀(22)의 전방에 켈코트층(23)이 형성되고 이어 유리섬유층(24)이 형성되며, 상기 유리섬유층(24)에는 콘크리트 접착바(29)를 부착하고 이어서 수지탱크(21)로 수지를 분사하여 제1수지분사층(25)을 형성시킨후 로빙크로스층(26)을 형성시키고 이어서 제2수지분사층(27)이 형성되고 다진후 끝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최외곽에는 골재적층(28)을 형성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조가 완료된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최외곽이 골재적층(28)으로 된 합성구조틀인 내벽(2)과 최외곽이 왁스틀인(22)인 외벽(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벽(2)에는 콘크리트 접착바(29)가 부착되고 외벽(3)의 측면과 상,하단부에는 앵커볼트구멍(4)이 형성되어 있으며, 옹벽의 폭이 클 경우는 합성구조틀(40)의 측면 외벽(3) 사이에 이음조인트 고무가스켓(32)이 삽입되고 외벽의 측면에 형성된 볼트구멍(4)에 조립볼트너트(33)를 체결하여 연결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분해 상세도를 도시한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합성구조틀(40)과 후렌지 고무가스켓(32), 앙카고리(35)가 연결될 홈이 형성된 조립 볼트너트(33)로 구성되며, 옹벽의 벽체에 장착되는 콘크리트용 셋트앙카(34)와 상기 조립 볼트너트(33)와 콘크리트용 셋트앙카(34)를 연결하는 앙카고리(35)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장치들을 이용하여 보수보강이 필요한 옹벽에 콘크리트용 셋트앙카(34)를 설치하고 상기 합성구조틀(40)을 보수보강할 부위에 거치한후 조립 볼트너트(33)에 형성된 홈(38)과 콘크리트용 셋트앙카(34)를 앙카고리(35)로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작업방법이 시행된다.
본 고안의 설치장착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에 장착된 콘크리트용 셋트앙카(34)의 고리와 합성구조틀(31)을 연결한 조립볼트너트(33)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고리홈(38)을 앙카고리(35)로 연결하여 거푸집을 형성하고, 상기 거푸집의 역할을 하는 합성구조틀(31)의 내부에는 철근(36)을 조립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하고, 마찬가지로 슬래브에도 합성구조틀(31)을 장착하고 철근(36)을 조립하여 슬래브 콘크리트(20)를 타설하며, 상기 슬래브는 상기 합성구조틀을 지탱해 주기위한 가시설로 H-pile(37)을 설치하여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상기 옹벽콘크리트와 슬래브콘크리트에는 영구앙카(30)를 장착하기 위한 암천공및 P.C강선과 쉬이스관을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어서 콘크리트를 타설후 P.C강선을 인장하고 그라우팅 작업후 슬래브에 토사를 채움으로써 작업이 완료되는 순서로 진행된다.
상기 기술한 고안은 영구앙카를 사용하므로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벽체와 암절개면의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어 전도에 대해 매우 안정적이고 콘크리트와 일체형으로 사용하므로 기차의 통행시에도 작업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철도구간의 낙석방지용 시설물에 있어, 옹벽에 콘크리트용 셋트앙카(34)가 설치되고, 상기 콘크리트용 셋트앙카(34)의 고리와 합성구조틀(31)을 결합시키는 조립볼트, 너트(33)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고리홈(38)에 앙카고리(35)가 연결되어 합성구조틀 거푸집(31)이 형성되고, 상기 합성구조틀 거푸집(31)의 내부에는 철근(36)이 조립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마찬가지로 슬래브에도 합성구조틀 거푸집(31)이 장착되고 철근(36)을 조립하여 슬래브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슬래브는 상기 합성구조틀 거푸집(31)을 지탱해 주기위한 가시설로 H-pile(37)이 설치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상기 옹벽과 슬래브에는 영구앙카(30)가 설치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 낙석방지용 구조물.
KR2020010011944U 2001-04-25 2001-04-25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낙석방지용 구조물 KR2002411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944U KR200241126Y1 (ko) 2001-04-25 2001-04-25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낙석방지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944U KR200241126Y1 (ko) 2001-04-25 2001-04-25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낙석방지용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1126Y1 true KR200241126Y1 (ko) 2001-10-12

Family

ID=73100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944U KR200241126Y1 (ko) 2001-04-25 2001-04-25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낙석방지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11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458B1 (ko) * 2009-06-09 2011-09-19 (주)서현컨스텍 절취사면 보호구조물 겸용의 피암터널, 피암터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458B1 (ko) * 2009-06-09 2011-09-19 (주)서현컨스텍 절취사면 보호구조물 겸용의 피암터널, 피암터널 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3346B (zh) 钢复合板梁桥施工方法
KR100704874B1 (ko) 강관으로 전단을 보강한 조립식 콘크리트 교각 구조
CN108867310A (zh) 先张法预应力混凝土矮肋t梁桥及其施工方法
KR101633431B1 (ko) 기존 교량 콘크리트와 구조적 일체화를 확보한 교량 확장형 인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002280A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교량 바닥판
KR100603901B1 (ko) 기존 거더의 일부를 활용한 판형교 유도상 구조 및 시공방법
KR100938395B1 (ko) 강합성 벽체파일을 이용한 지하차도의 시공방법
KR101256130B1 (ko) 프리캐스트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
KR102092646B1 (ko) 조립성과 구조 연속성이 개선된 l자형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20090008070A (ko) 조립식 교량의 상부 구조체
KR200241126Y1 (ko) 콘크리트 일체형 frp 합성구조틀 거푸집을 이용한낙석방지용 구조물
KR101157607B1 (ko) 하부플랜지케이싱콘크리트의 양단부에 프리스트레스미도입부를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강합성거더와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구조체와 이의 시공방법
JPH10152998A (ja) 既存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JP4162291B2 (ja) 鉄道工事桁用受台、及び鉄道工事桁用受台の施工方法
KR200257289Y1 (ko) 전철주의 기초콘크리트 시공용 거푸집
JP2021042610A (ja) カルバート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200266040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 기초 구조물
JP4020918B2 (ja) 桁橋の架橋構造
KR100717390B1 (ko) 굴착 터널용 조립식 프리케스트 패널
CN211897834U (zh) 一种双块式预制拼装防撞护栏
CN218436623U (zh) 一种道桥预制护板结构
JPH0320459Y2 (ko)
JPH0384117A (ja) 盛土法面の急勾配化工法
JP5526081B2 (ja) 建築基礎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とそれを用いるプレハブ基礎工法
KR200257291Y1 (ko) 전철주의 기초콘크리트 시공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