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646B1 - 조립성과 구조 연속성이 개선된 l자형 방음벽 기초 구조물 - Google Patents

조립성과 구조 연속성이 개선된 l자형 방음벽 기초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646B1
KR102092646B1 KR1020190084922A KR20190084922A KR102092646B1 KR 102092646 B1 KR102092646 B1 KR 102092646B1 KR 1020190084922 A KR1020190084922 A KR 1020190084922A KR 20190084922 A KR20190084922 A KR 20190084922A KR 102092646 B1 KR102092646 B1 KR 102092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d
hole
support
support plate
blo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희
Original Assignee
장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희 filed Critical 장명희
Priority to KR1020190084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01Flat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성과 구조 연속성이 개선된 L자형 방음벽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전면부의 하단부로부터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이 콘크리트 바닥체에 대응되어 안착되면 단위식 L자형 블럭체가 강연선에 의해 인장되어 일체형 구조의 방음벽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L자형 블럭체의 측면부에는 결속부재가 구비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재는 박스형 지지함에 대하여 걸쇠 지지구가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바, 이는 측면부의 L자형 몰탈 채움홈 양생 접합구조 외에 보다 긴밀한 장착성과 결속성 및 우수한 조립성과 작업성이 제공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각 블럭체 간 포스트 텐션을 조장하는 강연선의 분할된 단부에는 양방향 정착 커플러가 구비되어 일방향 구조 연속성(일체화)이 확보되도록 형성되어 방음벽 시공시 전체구조의 기계적 강도가 크게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결합성이 우수한 직립형 결합구조를 갖는 방음벽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성과 구조 연속성이 개선된 L자형 방음벽 기초 구조물{SOUNDPROOFING WALL FOUNDA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본 발명은 L자형 블럭체의 전면부의 하단부로부터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이 콘크리트 바닥체에 대응되어 안착되도록 하되, 단위식 모듈러 구조의 L자형 블럭체는 강연선에 의해 인장되어 일체형 구조의 방음벽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L자형 블럭체의 측면부에는 결속부재가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박스형 지지함에 대하여 걸쇠 지지구가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바, 이는 측면부의 L자형 몰탈 채움홈 양생 접합구조 외에 보다 긴밀한 장착성과 결속성 및 우수한 조립성과 작업성이 제공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각 L자형 블럭체 간 포스트 텐션을 조장하는 강연선의 분할된 단부에는 양방향 정착 커플러가 구비되어 일방향 구조 연속성(일체화)이 확보되도록 형성되어 방음벽 시공시 전체구조의 기계적 강도가 크게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결합성이 우수한 직립형 결합구조를 갖는 방음벽 기초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L자형 블럭체의 상면부에 빗물 월류 방지턱이 형성되어 방음판을 타고 내리는 철재부식 자국으로 인한 얼룩 및 운전자 시선분산 등을 방지하며 교통사고의 위험을 방지함은 물론 유지관리 절감효과를 도모하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면부와 대향되는 후면부에 토사 합성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토사 합성공간을 기준으로 분기된 삼각대 형태의 하중 분산용 돌출리브는 지지판의 보강리브를 향해 하단부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시공시 구조 강도가 높게 확보되도록 함은 물론 제조시 콘크리트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조원가와 운반비가 절감되며, 설치시 저중량 구조로 인해 시공 효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주변 건축물과의 방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방음벽을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음벽은 예를 들어 거푸집을 통한 기초 구조물, 프리캐스트 콘트리트이 연속 설치되는 기초 구조물 위에 시공된다.
즉, 방음벽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방음벽이 지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방음벽 기초 구조물이 사용되는데, 주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사전에 제작되어 현장으로 이송된 후 조립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 기초 구조물이 주로 이용된다.
최근에는 도로변에 고층 아파트나 빌딩들이 들어서면서, 방음벽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추세인데, 방음벽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풍하중 등의 영향이 더욱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방음벽 기초 구조물의 전도에 대한 안정성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한편, 도 9는 종래 방음벽 시공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로 측방으로 콘크리트(프리캐스트 또는 현장타설 방식)로 시공되는 방음벽 하부구조물(10, 확대기초라고도 함)이 형성되어 있고, 방음벽(20, 지주와 방음패널)이 방음벽 하부구조물(10) 상면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방음벽 하부구조물(10)에 방음패널(20)로부터 하중이 전달되므로 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방음벽 하부 구조물(10)은 파일(30)의 두부가 내부로 연장되도록 하여 일체화시켜 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0은 종래 확대기초(61,62,63,64)를 이용한 다양한 방음벽 하부구조물의 예시도이다.
이에 상기 확대기초(61)를 현장 타설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시공할 경우에는 말뚝(70)을 시공한 후, 작업공간 확보를 위하여 터파기를 하고, 거푸집을 설치한 후, 확대기초(61)를 시공하게 된다.
또한, 말뚝(70)과 프리캐스트 확대기초(63)는 충진재(C)와 말뚝 삽입홀(H)을 형성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게 되고, 방음벽 지주(80)는 프리캐스트 확대기초(63) 상면에 앵커볼트를 매립시키고, 노출된 앵커볼트에 방음벽 지주의 하단을 고정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말뚝(70)과 프리캐스트 확대기초(64)는 충진재(C)와 말뚝 삽입홀(H)을 형성시키되 앵커볼트(81)가 말뚝(70)과 연결되도록 시공되는 경우도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상기 종래 방음벽 하부구조물의 확대기초(62,63,64)는 직벽형 기초로 프리캐스트 방식을 이용함에 있어서, 단면을 최소화 시킨다고 할지라도 충진재(C)와 말뚝 삽입홀(H)만으로 말뚝과 일체화를 이루다 보니 방음벽 지주로부터 발생하는 풍하중 등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단면이 자연스럽게 커지게 되고, 이에 제작, 운반 및 시공에 있어 시공성 문제가 발생하여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13352호(2018.10.24. 등록)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단위식 모듈러 구조의 L자형 블럭체가 다수 구비되어 강연선에 의해 일체형 구조의 방음벽을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각 L자형 블럭체 간 포스트 텐션을 조장하는 강연선의 분할된 단부에 양방향 정착 커플러가 구비되어 일방향 구조 연속성(일체화)이 확보되도록 형성되어 방음벽 시공시 전체구조의 기계적 강도가 크게 강화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L자형 블럭체의 측면부에는 결속부재가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박스형 지지함에 대하여 걸쇠 지지구가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바, 이는 측면부의 L자형 몰탈 채움홈 양생 접합구조 외에 보다 긴밀한 장착성과 결속성 및 우수한 조립성과 작업성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자형 블럭체의 상면부에 빗물 월류 방지턱이 형성되어 방음판을 타고 내리는 철재부식 자국으로 인한 얼룩 및 운전자 시선분산 등을 방지하며 교통사고의 위험을 방지함은 물론 유지관리 절감효과를 도모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면부와 대향되는 후면부에 토사 합성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토사 합성공간을 기준으로 분기된 삼각대 형태의 하중 분산용 돌출리브는 지지판의 보강리브를 향해 하단부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시공시 구조 강도가 높게 확보되도록 함은 물론 제조시 콘크리트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조원가와 운반비가 절감되며, 설치시 저중량 구조로 인해 시공 효율이 높은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 위로 버림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기초층을 이루도록 하는 바닥체(100)와; 안전단면 기울기(211)와 표층부 침하 방지턱(212) 및 보조기층부 침하방지턱(213)을 갖는 전면부(210)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전면부(210)의 하부에는 직교된 방향으로 분기된 지지판(220)이 형성되어 바닥체(100) 상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220)은 상부 중앙과 폭방향 좌우측 단부에 각각 보강리브(221)가 구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210)를 기준으로 폭방향 측면부(230)에는 L자형 몰탈 채움홈(231)이 형성되어 이웃한 블럭체와 합성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L자형 몰탈 채움홈(231) 중 어느의 일측에는 정위치 세팅용 결속부재(233)가 형성되고, 상면부(240)에는 다수개의 앙카볼트(241)가 형성되어 방음패널 조립용 H-기둥이 체결되도록 하는 L자형 블럭체(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결속부재(233)는 걸쇠 고정측(233-1)과 걸쇠 수납측(233-2)이 각각 구분되어 맞닿는 측면부 간 서로 연속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걸쇠 고정측(233-1)은 나사홈(233-11)을 갖는 인서트 너트(233-12)가 측면부 일측에 매립되도록 하되, 상기 인서트 너트의 나사홈(233-11)에는 사다리꼴 형태의 지지구(233-13)로부터 연장된 나사볼트(233-14)가 대응되면서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쇠 수납측(233-2)은 박스형 지지함(233-21)이 고정앙카(233-22)로 하여금 내입홈(233-23)에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함(233-21)은 상부가 개구된 것으로, 걸쇠 고정측(233-1)을 향한 면에 절개홈(233-24)이 형성되어 지지구(233-13)가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면서 결속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233-24)은 개구된 상단부에 경사면(233-25)이 형성되어 지지구의 삽입 공차 발생시 원활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 중 결속부재(233)의 외주면에는 지수재(233-3)가 도포되어 연결부 간 방수성이 강화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L자형 블럭체(200)는 측면부에 강연선 장착공이 형성되어 분할된 각 강연선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양방향 정착 커플러(30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양방향 정착 커플러(300)는 암수 나사체결 구조를 갖는 복수의 원통 하우징(310)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원통 하우징(310)은 일측에 각각 암나사 또는 숫나사가 구비된 체결구(311)가 각각 형성되며, 복수의 원통 하우징(310)의 타측에는 관통공(312)이 형성되고, 복수의 원통 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체결구(311)로부터 인접한 중공관(313)과 관통공(312)으로부터 인접한 꼬깔 형태의 삽입공(314)이 형성되며, 상기 꼬깔 형태의 삽입공(314)에는 콘 형태의 장착구(320)가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장착구(320)는 내주면에 나사체결공(321)이 형성되면서 중심축을 기준으로 3등분 된 쐐기형 바이트로서, 나사체결공(321)으로 인입된 강연선이 좁은 직경측으로 당겨지면 장착구(320)가 꼬깔 형태의 삽입공(314)의 외주면에 밀착 가압되면서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강연선은 내입된 길이방향 종단부가 중공관(313)의 바깥측 단부에 나사 체결된 지지판(330)의 통공(331)을 관통하면 중공관(313)의 외주면에 형성된 몰탈 투입공(315)을 통해 유입된 몰탈이 지지판(330)과 장착구(320)의 넓은 직경 단부 사이 합성구간에서 채워져 강연선의 삽입측 선상과 함께 양생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L자형 블럭체(200)가;의 상면부(240) 중 전면부(210) 측 모서리 단부에는 빗물 월류 방지턱(2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전면부(210)와 대향되는 후면부(220)에는 원가절감 및 토사 합성공간(221)을 기준으로 삼각대 형태의 하중 분산용 돌출리브(222)가 형성되어 지지판의 보강리브(221)를 향해 돌출리브(222)의 하단부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L자형 블럭체의 전면부의 하단부로부터 직교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판이 콘크리트 바닥체에 대응되어 안착되도록 하되, 단위식 모듈러 구조의 L자형 블럭체는 강연선에 의해 인장되어 일체형 구조의 방음벽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L자형 블럭체의 측면부에는 결속부재가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박스형 지지함에 대하여 걸쇠 지지구가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하는 바, 이는 측면부의 L자형 몰탈 채움홈 양생 접합구조 외에 보다 긴밀한 장착성과 결속성 및 우수한 조립성과 작업성이 제공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각 L자형 블럭체 간 포스트 텐션을 조장하는 강연선의 분할된 단부에는 양방향 정착 커플러가 구비되어 일방향 구조 연속성(일체화)이 확보되도록 형성되어 방음벽 시공시 전체구조의 기계적 강도가 크게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L자형 블럭체의 상면부에 빗물 월류 방지턱이 형성되어 방음판을 타고 내리는 철재부식 자국으로 인한 얼룩 및 운전자 시선분산 등을 방지하며 교통사고의 위험을 방지함은 물론 유지관리 절감효과를 도모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면부와 대향되는 후면부에 토사 합성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토사 합성공간을 기준으로 분기된 삼각대 형태의 하중 분산용 돌출리브는 지지판의 보강리브를 향해 하단부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시공시 구조 강도가 높게 확보되도록 함은 물론 제조시 콘크리트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조원가와 운반비가 절감되며, 설치시 저중량 구조로 인해 시공 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 기초 구조물의 L자형 블럭체가 바닥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측면도,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정면도로서 시공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도 1의 배변도로서 시공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정착 커플러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내지 도 10은 종래의 방음벽 기초 구조물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체(100)와 L자형 블럭체(200)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바닥체(100)는 지면 위로 버림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기초층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상면(표면)은 평편하게 다져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L자형 블럭체(200)는 안전단면 기울기(211)와 표층부 침하 방지턱(212) 및 보조기층부 침하방지턱(213)을 갖는 전면부(210)가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전면부(210)의 하부에는 직교된 방향으로 분기된 지지판(220)이 형성되어 바닥체(100) 상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220)은 상부 중앙과 폭방향 좌우측 단부에 각각 보강리브(221)가 구비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면부(210)를 기준으로 폭방향 측면부(230)에는 L자형 몰탈 채움홈(231)이 형성되어 이웃한 블럭체와 합성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L자형 몰탈 채움홈(231) 중 어느의 일측에는 정위치 세팅용 결속부재(233)가 형성되고, 상면부(240)에는 다수개의 앙카볼트(241)가 형성되어 방음패널 조립용 H-기둥이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결속부재(233)는 걸쇠 고정측(233-1)과 걸쇠 수납측(233-2)이 각각 구분되어 맞닿는 측면부 간 서로 연속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쇠 고정측(233-1)은 나사홈(233-11)을 갖는 인서트 너트(233-12)가 측면부 일측에 매립되도록 하되, 상기 인서트 너트의 나사홈(233-11)에는 사다리꼴 형태의 지지구(233-13)로부터 연장된 나사볼트(233-14)가 대응되면서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쇠 수납측(233-2)은 박스형 지지함(233-21)이 고정앙카(233-22)로 하여금 내입홈(233-23)에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함(233-21)은 상부가 개구된 것으로, 걸쇠 고정측(233-1)을 향한 면에 절개홈(233-24)이 형성되어 지지구(233-13)가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면서 결속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개홈(233-24)은 개구된 상단부에 경사면(233-25)이 형성되어 지지구의 삽입 공차 발생시 원활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 중 결속부재(233)의 외주면에는 지수재(233-3)가 도포되어 연결부 간 방수성이 강화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L자형 블럭체(200)는 측면부에 강연선 장착공이 형성되어 분할된 각 강연선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양방향 정착 커플러(30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양방향 정착 커플러(300)는 암수 나사체결 구조를 갖는 복수의 원통 하우징(310)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원통 하우징(310)은 일측에 각각 암나사 또는 숫나사가 구비된 체결구(311)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복수의 원통 하우징(310)의 타측에는 관통공(312)이 형성되고, 복수의 원통 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체결구(311)로부터 인접한 중공관(313)과 관통공(312)으로부터 인접한 꼬깔 형태의 삽입공(314)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꼬깔 형태의 삽입공(314)에는 콘 형태의 장착구(320)가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장착구(320)는 내주면에 나사체결공(321)이 형성되면서 중심축을 기준으로 3등분 된 쐐기형 바이트로서, 나사체결공(321)으로 인입된 강연선이 좁은 직경측으로 당겨지면 장착구(320)가 꼬깔 형태의 삽입공(314)의 외주면에 밀착 가압되면서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강연선은 내입된 길이방향 종단부가 중공관(313)의 바깥측 단부에 나사 체결된 지지판(330)의 통공(331)을 관통하면 중공관(313)의 외주면에 형성된 몰탈 투입공(315)을 통해 유입된 몰탈이 지지판(330)과 장착구(320)의 넓은 직경 단부 사이 합성구간에서 채워져 강연선의 삽입측 선상과 함께 양생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원통 하우징(310), 장착구(320), 지지판(330)을 포함한 양방향 정착 커플러(300)은 양생홈(250)에 내입되어 서로 마주보는 강연선의 종단부가 간섭없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되, 상기 양생홈(250)의 단면은 입구가 좁고 내측 공간부가 넓은 역쐐기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330)과 장착구(320)의 넓은 직경 단부 사이인 합성구간에는 강연선의 외주면으로 탄성스프링(340)이 내장되어 몰탈 양생 구간의 유격을 상시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장착구(320)는 외주면에 요홈(322)이 형성되어 밀착 보강용 고무링(323)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무링(323)은 장착구(320)가 꼬깔 형태의 삽입공(314)에 대하여 장착시 밀착 성능이 배가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양방향 정착 커플러는 장착시 원통 하우징 중 암나사 또는 숫나사가 구비된 원통 하우징(이하, '기준 원통 하우징' 이라 한다)이 양생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강연선의 종단부가 관통공으로 내입된 후 중공관을 지나 지지판의 통공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삽입된 강연선은 당겨지면서 장착구와 원통 하우징의 삽입공 간 밀착이 이루어지고, 이후 몰탈 투입공을 통해 몰탈이 유입되면서 지지판(330)과 장착구(320)의 넓은 직경 단부 사이 합성구간에서 채워져 강연선의 삽입측 선상과 함께 양생되도록 형성된다.
이후 연속 조립을 위해 대기 중인 또 L자형 블럭체는 최초 준비된 양방향 정착 커플러의 기준 원통 하우징과 대칭되는 형태로 반대측 원통 하우징이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반대측 원통 하우징은 기준 원통 하우징의 암나사 또는 숫나사와 대응되도록 암나사 또는 숫나사가 형성되어 나사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반대측 원통 하우징에는 기준 원통 하우징에 삽입된 장착구 및 지지판이 형성되어 강연선이 위에서 언급한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한 뒤 분할된 강연선으로 하여금 몰탈이 양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잡아당겨 기준 원통 하우징과 반대측 원통 하우징이 일체화로 나사 체결되면 한 번에 잡아당겨 강연선 일체화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단위형 L자형 블럭체는 장착공(미도시)을 관통한 강연선의 타측단(양방향 정착 커플러가 있는 양생홈의 반대측)이 유압장치에 의해 당겨지도록 하면서 나란히 연결된 강연선을 당기면서 텐션이 확보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L자형 블럭체(200)의 상면부(240) 중 전면부(210) 측 모서리 단부에는 빗물 월류 방지턱(2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전면부(210)와 대향되는 후면부(220)에는 원가절감 및 토사 합성공간(221)을 기준으로 삼각대 형태의 하중 분산용 돌출리브(222)가 형성되어 지지판의 보강리브(221)를 향해 돌출리브(222)의 하단부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전면부에 파진 부분(면적)은 재료비 절감을 위한 것으로 삼각대 형태는 후방에 형성된 뒷발 보강리브 측으로 연장되어 H-빔 기둥골조가 기립하면 하중을 분산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골조 콘크리트 바닥체
200 ... 피씨형 직벽체 210 ... 전면부
211 ... 안전단면 기울기 212 ... 표층부 침하 방지턱
213 ... 보조기층부 침하방지턱 220 ... 지지판
221 ... 보강리브 222 ... 돌출리브
230 ... 측면부 231 ... L자형 몰탈 채움홈
233 ... 결속부재
233-1 ... 걸쇠 고정측 233-11 ... 나사홈
233-12 ... 인서트 너트 233-13 ... 지지구
233-14 ... 나사볼트 233-2 ... 걸쇠 수납측
233-21 ... 지지함 233-22 ... 고정앙카
233-23 ... 내입홈 233-24 ... 절개홈
233-25 ... 경사면 233-3 ... 지수재
240 ... 상면부 241 ... 앙카볼트
242 ... 빗물 월류 방지턱 300 ... 양방향 정착 커플러

Claims (5)

  1. 지면 위로 버림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 기초층을 이루도록 하는 바닥체(100)와; 안전단면 기울기(211)와 표층부 침하 방지턱(212) 및 보조기층부 침하방지턱(213)을 갖는 전면부(210)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전면부(210)의 하부에는 직교된 방향으로 분기된 지지판(220)이 형성되어 바닥체(100) 상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220)은 상부 중앙과 폭방향 좌우측 단부에 각각 보강리브(221)가 구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210)를 기준으로 폭방향 측면부(230)에는 L자형 몰탈 채움홈(231)이 형성되어 이웃한 블럭체와 합성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L자형 몰탈 채움홈(231) 중 어느의 일측에는 정위치 세팅용 결속부재(233)가 형성되고, 상면부(240)에는 다수개의 앙카볼트(241)가 형성되어 방음패널 조립용 H-기둥이 체결되도록 하는 L자형 블럭체(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조립성과 구조 연속성이 개선된 L자형 방음벽 기초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233)는 걸쇠 고정측(233-1)과 걸쇠 수납측(233-2)이 각각 구분되어 맞닿는 측면부 간 서로 연속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걸쇠 고정측(233-1)은 나사홈(233-11)을 갖는 인서트 너트(233-12)가 측면부 일측에 매립되도록 하되, 상기 인서트 너트의 나사홈(233-11)에는 사다리꼴 형태의 지지구(233-13)로부터 연장된 나사볼트(233-14)가 대응되면서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걸쇠 수납측(233-2)은 박스형 지지함(233-21)이 고정앙카(233-22)로 하여금 내입홈(233-23)에 장착되도록 하되, 상기 지지함(233-21)은 상부가 개구된 것으로, 걸쇠 고정측(233-1)을 향한 면에 절개홈(233-24)이 형성되어 지지구(233-13)가 상하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면서 결속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233-24)은 개구된 상단부에 경사면(233-25)이 형성되어 지지구의 삽입 공차 발생시 원활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 중 결속부재(233)의 외주면에는 지수재(233-3)가 도포되어 연결부 간 방수성이 강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구조 연속성이 개선된 L자형 방음벽 기초 구조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 블럭체(200)는 측면부에 강연선 장착공이 형성되어 분할된 각 강연선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양방향 정착 커플러(300)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양방향 정착 커플러(300)는 암수 나사체결 구조를 갖는 복수의 원통 하우징(310)이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원통 하우징(310)은 일측에 각각 암나사 또는 숫나사가 구비된 체결구(311)가 각각 형성되며, 복수의 원통 하우징(310)의 타측에는 관통공(312)이 형성되고, 복수의 원통 하우징(310)의 내부에는 체결구(311)로부터 인접한 중공관(313)과 관통공(312)으로부터 인접한 꼬깔 형태의 삽입공(314)이 형성되며, 상기 꼬깔 형태의 삽입공(314)에는 콘 형태의 장착구(320)가 삽입되도록 하되, 상기 장착구(320)는 내주면에 나사체결공(321)이 형성되면서 중심축을 기준으로 3등분 된 쐐기형 바이트로서, 나사체결공(321)으로 인입된 강연선이 좁은 직경측으로 당겨지면 장착구(320)가 꼬깔 형태의 삽입공(314)의 외주면에 밀착 가압되면서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강연선은 내입된 길이방향 종단부가 중공관(313)의 바깥측 단부에 나사 체결된 지지판(330)의 통공(331)을 관통하면 중공관(313)의 외주면에 형성된 몰탈 투입공(315)을 통해 유입된 몰탈이 지지판(330)과 장착구(320)의 넓은 직경 단부 사이 합성구간에서 채워져 강연선의 삽입측 선상과 함께 양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구조 연속성이 개선된 L자형 방음벽 기초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자형 블럭체(200)가;의 상면부(240) 중 전면부(210) 측 모서리 단부에는 빗물 월류 방지턱(2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구조 연속성이 개선된 L자형 방음벽 기초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210)와 대향되는 후면부(220)에는 원가절감 및 토사 합성공간(221)을 기준으로 삼각대 형태의 하중 분산용 돌출리브(222)가 형성되어 지지판의 보강리브(221)를 향해 돌출리브(222)의 하단부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성과 구조 연속성이 개선된 L자형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1020190084922A 2019-07-15 2019-07-15 조립성과 구조 연속성이 개선된 l자형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102092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922A KR102092646B1 (ko) 2019-07-15 2019-07-15 조립성과 구조 연속성이 개선된 l자형 방음벽 기초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922A KR102092646B1 (ko) 2019-07-15 2019-07-15 조립성과 구조 연속성이 개선된 l자형 방음벽 기초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2646B1 true KR102092646B1 (ko) 2020-03-24

Family

ID=7000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922A KR102092646B1 (ko) 2019-07-15 2019-07-15 조립성과 구조 연속성이 개선된 l자형 방음벽 기초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6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102B1 (ko) * 2020-04-10 2021-07-05 (주)이안텍 페로니켈 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한 3성분계 콘크리트 조성물로 제조된 프리캐스트 방음벽기초 및 그 제조방법
KR102286310B1 (ko) * 2020-04-10 2021-08-05 (주)이안텍 페로니켈 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한 3성분계 콘크리트 조성물로 제조된 프리캐스트 방음벽기초 및 그의 시공방법
KR20230024544A (ko) 2021-08-12 2023-02-21 현대에코산업(주) 방음벽 기초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040Y1 (ko) * 2001-11-03 2002-02-27 주식회사 토암산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100525059B1 (ko) * 2005-07-18 2005-10-31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건축물의 비탈면 옹벽 보호 구조
KR101913352B1 (ko) 2018-03-15 2019-01-14 (주)하경엔지니어링 확대기초 없이 말뚝과 상부 프리캐스트 거더 만으로 구성된 방음벽 하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75763B1 (ko) * 2018-11-13 2019-05-07 장명희 양방향 정착 커플러와 인서트 고정장치 및 고점착 유연성 겔 방수재를 이용한 암거 구조물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040Y1 (ko) * 2001-11-03 2002-02-27 주식회사 토암산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100525059B1 (ko) * 2005-07-18 2005-10-31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건원엔지니어링 건축물의 비탈면 옹벽 보호 구조
KR101913352B1 (ko) 2018-03-15 2019-01-14 (주)하경엔지니어링 확대기초 없이 말뚝과 상부 프리캐스트 거더 만으로 구성된 방음벽 하부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75763B1 (ko) * 2018-11-13 2019-05-07 장명희 양방향 정착 커플러와 인서트 고정장치 및 고점착 유연성 겔 방수재를 이용한 암거 구조물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102B1 (ko) * 2020-04-10 2021-07-05 (주)이안텍 페로니켈 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한 3성분계 콘크리트 조성물로 제조된 프리캐스트 방음벽기초 및 그 제조방법
KR102286310B1 (ko) * 2020-04-10 2021-08-05 (주)이안텍 페로니켈 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한 3성분계 콘크리트 조성물로 제조된 프리캐스트 방음벽기초 및 그의 시공방법
KR20230024544A (ko) 2021-08-12 2023-02-21 현대에코산업(주) 방음벽 기초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646B1 (ko) 조립성과 구조 연속성이 개선된 l자형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100799358B1 (ko)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378793B1 (ko) 나사 조립식 마감캡을 갖는 절토부 패널옹벽
KR101027800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640716B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0904857B1 (ko) 강관과 세그먼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축조방법
KR100488118B1 (ko) 압축확장 지압형 어스앵커 정착체
KR102019480B1 (ko) 굴절 커플러를 이용한 판넬식 옹벽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6431218B2 (ja) 既存用水路の補修工法
KR101429430B1 (ko) 무량판 원-웨이 구조식 더블 피씨거더
KR101670553B1 (ko) Pc벽체가 기존 건축물 외면에 접합되는 내진보강구조
KR100644745B1 (ko) 피씨 기둥-보 접합부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50411B1 (ko) 하부 공동형 콘크리트 복공판
KR100563787B1 (ko)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및 이의조립시공방법
KR101021137B1 (ko)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확장 보도용 프리캐스트 블록, 이를 이용한 확장 보도 및 그 시공 방법
KR100906161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파형강판 구조물
KR10139068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KR102092647B1 (ko) 조립성과 결합성이 우수한 직립형 결합구조를 갖는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101886744B1 (ko) 도로용 프리캐스트 반단면 데크
KR100722237B1 (ko) 구조물 외벽체의 방수층 방수턱과 그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KR102238294B1 (ko) 내진 보강용 고성능 하이브리드 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N209523311U (zh) 低多层建筑物
KR102079676B1 (ko) 앵커식 패널을 이용한 계단식 옹벽 시공방법
KR101376356B1 (ko) 아파트 베란다용 복합 창틀의 구조
KR20190019119A (ko)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