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971Y1 - 이동무선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무선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971Y1
KR200240971Y1 KR2019980018073U KR19980018073U KR200240971Y1 KR 200240971 Y1 KR200240971 Y1 KR 200240971Y1 KR 2019980018073 U KR2019980018073 U KR 2019980018073U KR 19980018073 U KR19980018073 U KR 19980018073U KR 200240971 Y1 KR200240971 Y1 KR 200240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hands
frequency
signal
telephon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820U (ko
Inventor
김연철
심수택
Original Assignee
김내순
주식회사 티비케이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내순, 주식회사 티비케이전자 filed Critical 김내순
Priority to KR2019980018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97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8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8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971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무선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무선전화단말기(10)와 연결된 핸즈프리장치(20)를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적정레벨까지 증폭하는 저주파증폭부(31)와, 라디오방송주파수를 발진하는 발진부(32)와, 상기 저주파증폭부(31)에서 증폭된 신호를 상기 반송주파수에 실어 주는 변조부(33)와, 상기 변조부(33)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레벨을 적정레벨까지 증폭하여 주는 송신출력증폭부(34)와, 송신출력증폭부(34)로부터의 라디오주파수 신호와 카라디오안테나(50)로 수신되는 방송주파수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35)로 구성되며, 통화내용의 보안유지를 도모하고 청취되는 음성의 고음질화를 이룩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무선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
본 고안은 이동무선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무선전화단말기로 수신된 음성신호를 카라디오의 스피커로 청취할 때 외부의 높은 주파수의 간섭없이 선명한 통화음질의 제공이 가능한 이동무선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무선전화단말기를 차량에서 사용할 때, 한쪽 손으로 전화 단말기를 잡고 운전을 해야 하므로 돌발사태에 대처하기 어렵고, 통화청취에 정신이 집중되어 있어 전방주시 태만으로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어 왔다.
그리하여, 전화기를 손으로 잡지 않고도 통화를 할 수 있는 핸즈프리장치가 개발되었는데, 이 장치는 송신할 수 있는 마이크와 수신할 수 있는 스피커를 구비하고 있어, 전화가 걸려 오면, 통화버튼이나 이에 상응한 조작버튼을 눌러 상대방과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듣거나 전달하게 되어 있었다.
한편, 상기 핸즈프리장치의 스피커를 통해 전달되는 음성이 정확하지 못하고 음질저하문제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그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화기에 수신된 신호를 라디오방송주파수로 변조하여 송신하는 장치를 핸즈프리장치에 장착함으로써, 핸즈프리장치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라디오방송주파수로 변조하여 카라디오의 안테나로 수신되게 함으로서, 카라디오에 연결된 라디오스피커를 통해 수신된 이동무선전화단말기의 음성신호가 들리도록 구성된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동무선전화단말기의 핸즈프리장치로부터 카라디오의 안테나로 전송되는 라디오방송주파수는 차량의 외부에 산재되어 있는 높은 레벨의 각종 방송주파수의 수신주파수에 의해 간섭현상이 일어나 다른 통화의 음성신호나 방송내용이 수신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다른 차량의 카라디오에도 수신되어 도청에 의한 비밀유지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를 통해 카라디오로 전송되는 라디오방송주파수가 무선이 아닌 유선으로 전달되게 하여 외부의 간섭현상과 도청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핸즈프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목적은, 이동무선전화단말기에 수신된 음성신호로서변조한 라디오방송주파수가 무선이 아닌 유선으로 카라디오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달성되는데, 본 고안의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는 이동무선전화단말기로 수신된 음성신호를 라디오방송주파수로 송출하는 변조부 및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계통도,
도2는 도1의 구체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무선전화단말기 20 : 핸즈프리장치
30 : 카라디오접속장치 31 : 저주파증폭부
32 : 발진부 33 : 변조부
34 : 송신출력증폭부 35 :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
40 : 카라디오 41 : 라디오스피커
50 : 카라디오안테나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 실시예의 계통도로서, 이동무선전화단말기(10)와 연결된 핸즈프리장치(20)를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적정레벨까지 증폭하는 저주파증폭부(31)와, 라디오방송용 반송주파수를 발진하는 발진부(32)와, 상기 저주파증폭부(31)에서 증폭된 신호를 상기 반송주파수에 실을 수 있는 변조부(33)와, 상기 변조부(33)의 출력신호를 적정레벨까지 증폭하여 주는 송신출력증폭부(34)와, 송신출력증폭부(34)로부터의 라디오주파수신호와 카라디오안테나(5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주파수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35)로 구성된다.
핸즈프리장치는 전원연결부(21), 전원안정화회로(22), 전원제어회로(23), 펄스부호변복조기(24), 송신수신제어기(25), 증폭기(AMP), 마이크로폰(MC) 및 스피커(SP)등으로 구성되며, 이는 공지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핸즈프리장치(20)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은 카라디오접속장치(30)를 구성하는 각 회로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이동무선전화단말기(10)로 음성신호가 수신되면 핸즈프리장치(20)의 음성신호가 저주파증폭부(31)를 통해 적정레벨까지 증폭되며, 그를 발진부(32)로부터 발생하는 반송주파수에 음성신호를 실을 수 있도록 변조부(33)를 통해 변조되어 송신출력증폭부(34)를 통과한 라디오주파수신호가 적정레벨까지 증폭된다.
이렇게 라디오주파수신호로 변조된 음성신호는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35)에 의해 카라디오(40)에 전송되어 카라디오시스템의 라디오스피커(41)를 통해 출력된다.
즉, 이동무선전화단말기(10)가 수신통화상태가 되면 핸즈프리장치(20)에 의해 발생된 신호에 의해 안테나선택부(35)의 스위치단자(C)가 카라디오안테나 연결부(A)로부터 분리되어 송신출력증폭부(34)와 연결된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35)의 연결부(B)로 접속되며, 송신출력증폭부(34)에서 출력된 라디오주파수신호가 카라디오(40)에 입력·처리되어 라디오스피커(41)로 음성신호가 출력된다.
한편, 이동무선전화단말기(10)의 통화상태가 종료되면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35)의 스위치단자(C)가 카라디오안테나(50)의 연결부(A)로 복귀되어 카라디오안테나(50)로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카라디오(40)로 입력되어 방송내용이 라디오스피커(41)로 출력된다.
도2는, 도1 계통도의 카라디오접속장치를 구체적으로 보인 회로도로서, 핸즈프리장치(20)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적정레벨로 증폭하는 저주파증폭부(31)와, 라디오방송용 반송주파수를 발진출력하는 발진부(32)와, 상기 저주파 증폭부(31)에서 증폭된 신호를 상기 반송주파수에 실어주는 변조부(33)와, 상기 변조부(33)와 발진부(32)를 통해 출력되는 라디오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도2의 트랜지스터(TR5)와 라디오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밴드패스필터(BPF)를 가진 송신 출력증폭부(34)와,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릴레이(RELAY)를 가진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35)로 구성된다.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35)의 릴레이(RELAY)에는 핸즈프리장치(20)의 전원제어회로(23)가 연결되어 릴레이(RELAY)로 공급되는 전원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로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이동무선전화단말기(10)가 착신상태가 되어 통화버튼을 누르게 되면, 핸즈프리장치(20)의 전원제어 회로(23)를 통하여 전원이 릴레이(RELAY)에 공급되고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35)의 릴레이(RELAY)의 스위치단자(C)가 연결부(B)로 연결된다.
이때, 이동무선전화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가 핸즈프리장치(20)를 통해 저주파증폭부(31)로 입력되어 적정레벨로 증폭되고, 이 증폭된 저주파신호는 변조부(33)를 통하여 라디오방송신호로 변조되어 발진부(32)에서 출력된 반송주파수와 함께 송신출력증폭부(34)로 입력된다. 이어서, 이 신호는 다시 도2의 트랜지스터(TR5)를 통해 증폭되어 밴드패스필터(BPF)를 통해 라디오주파수신호만 통과되어 연결부(B)에 공급된다.
그리하여 연결부(B)에 도달된 라디오주파수신호는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35)의 릴레이(RELAY)의 연결부(B)와 스위치단자(C)를 통해 카라디오(40)로 공급되고, 그와 연결된 라디오스피커(41)로 수신된 음성신호를 청취하게 된다.
한편, 이동무선전화단말기(10)의 통화가 끊어지면 핸즈프리장치(20)로부터 카라디오접속장치(30)에 공급되는 전원이 중단됨과 동시에 릴레이(RELAY)에도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35)의 릴레이(RELAY)의 연결부(B)에 접점된 스위치단자(C)가 최초의 연결부(A)로 복귀되므로 카라디오안테나(50)로 수신되는 방송신호가 카라디오(40)로 입력되어 방송내용이 라디오스피커(41)를 통해 출력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는 이동무선전화단말기(10)의 통화스위치나 통화버튼의 온(ON)/오프(OFF)에 의해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35)의 스위치단자(C)가 전환되어 라디오스피커(41)로 전화기의 음성신호를 출력하거나 라디오방송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 카오디오안테나선택부(35)를 구성하는 회로를 릴레이방식으로 구성하였으나, 반도체와 L,C,R 소자로 이루어진 전자회로방식으로 구성 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무선전화단말기로 수신된 음성신호가 카라디오접속장치에 전송되도록 한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카라디오접속장치(30)의 저주파증폭부(31)의 입력측에 차량용도의 텔레비젼 혹은 CRT모니터와 같은 기기의 음성신호 출력단자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를 포함하는 카라디오접속장치를 카라디오와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서, 기존의 무선으로 방송주파수신호를 라디오에 전송하는 것보다 선명한 음질을 제공하며, 또한, 통화내용이 외부로 도청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를 핸즈프리장치와 카라디오사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기존의 제품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이동무선전화단말기(10)와 연결된 핸즈프리장치(20)를 통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적정레벨까지 증폭하는 저주파증폭부(31)와, 라디오방송용 반송주파수를 발진 하는 발진부(32)와, 상기 저주파증폭부(31)에서 증폭된 신호를 상기 반송주파수에 실어주는 변조부(33)와, 상기 변조부(33)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레벨을 적정레벨 까지 증폭하여 주는 송신출력증폭부(34)와, 송신출력증폭부(34)와 카라디오안테나(50)로 선택·연결되어 이동무선전화단말기에서 수신된 음성신호를 변조한 라디오주파수신호와 방송주파수신호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3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35)가 카라디오안테나(50)에 연결된 연결부(A)와 송신출력증폭부(34)에 연결된 연결부(B)의 2개의 접점을 동작시키는 릴레이(RELAY)를 가진 릴레이방식으로 회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라디오안테나선택부(35)가 반도체와 방송주파수신호와 라디오주파수음성신호를 스위칭하도록 공지의 L,C,R로 구성된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용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
KR2019980018073U 1998-09-22 1998-09-22 이동무선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 KR200240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073U KR200240971Y1 (ko) 1998-09-22 1998-09-22 이동무선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073U KR200240971Y1 (ko) 1998-09-22 1998-09-22 이동무선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820U KR20000006820U (ko) 2000-04-25
KR200240971Y1 true KR200240971Y1 (ko) 2001-09-25

Family

ID=6951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073U KR200240971Y1 (ko) 1998-09-22 1998-09-22 이동무선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9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769B1 (ko) * 2005-12-08 2007-12-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안 여부나 전송 거리에 따른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 장치
CN111346465B (zh) * 2020-03-19 2021-06-29 淄博职业学院 一种机电工程车间环保除尘装置
CN111991971B (zh) * 2020-08-28 2021-11-19 长沙瑞庭科技有限公司 一种螺旋扰动式自动刷灰除尘净化装置
CN112138501A (zh) * 2020-09-21 2020-12-29 安徽拓源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新型沥青搅拌站除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820U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8267B1 (en) Interoperable am/fm headset wireless telephone device
US20120082067A1 (en) System and method of duplex wireless audio link over broadcast channels
KR200240971Y1 (ko) 이동무선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장치의 카라디오접속장치
JP2637624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送受信制御回路
JP4812711B2 (ja) 第1及び第2の無線中継機を備えた装置
JP3999429B2 (ja) 単信式無線機
JP2004064723A (ja) 鉄道用ワイヤレス放送装置
KR20000001850A (ko) 차량용 무선 핸드프리 장치
KR200205563Y1 (ko) 이동 전화용 무선 핸즈프리 장치
KR200233088Y1 (ko) 무선 핸즈프리 장치
JPH09321843A (ja) 携帯電話機着信信号報知装置
KR950001522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간의 동시통화 가능 시스템
KR950011081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핸드프리 통화장치
JPH10126305A (ja) 中継機能付無線機
KR100375317B1 (ko) 핸드 프리 키트
KR940009771B1 (ko) 무선전화기의 모뎀 자동선택 장치
JP3796223B2 (ja) 携帯電話装置
KR100469846B1 (ko)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
JPH0239907B2 (ko)
JPH05218937A (ja) Tdd方式の送受信装置
JPH01129535A (ja) 移動無線電話装置
KR20010058699A (ko) 무선 이어폰 마이크
KR940002936Y1 (ko)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간 내선통화시스템
JPH029494B2 (ko)
JPH06326654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