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086Y1 - 자전거 충전기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충전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086Y1
KR200240086Y1 KR2020000030941U KR20000030941U KR200240086Y1 KR 200240086 Y1 KR200240086 Y1 KR 200240086Y1 KR 2020000030941 U KR2020000030941 U KR 2020000030941U KR 20000030941 U KR20000030941 U KR 20000030941U KR 200240086 Y1 KR200240086 Y1 KR 200240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bicycle
charger
switch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석균
Original Assignee
신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석균 filed Critical 신석균
Priority to KR2020000030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0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08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 충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이는 특히 자전거를 타면서 자전거의 발전기를 이용하여 낮에 충전밧데리에 충전하여 둠으로써, 발전기를 이용하여 전조등을 켬과 동시에 충전밧데리에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충전밧데리를 몇번이고 충전시켜 가면서 충전된 것을 빼내 다른 가전제품에 경제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고정브라켓(13)과 발전기레버(12)에는 회전접촉부(11)를 갖는 발전기(10)를 결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발전기(10)의 일측으로는 전조등(20)을 연결하여 형성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10) 일측면부로는 충전밧데리(31)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부을 갖는 충전기함(30)를 설치하며, 저부의 적정위치에는 충전기함(30)과 전조등(20)의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a접점스위치(40a)와 b접점스위치(40b)로 동시에 동작하는 충전기함전환스위치(40)와 전조등전환스위치(41)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주간에는 자전거를 운행할 때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력을 충전기를 통하여 충전밧데리에 저장하여 놓았다가 필요에 따라 충전밧데리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조등을 켤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전거 충전기장치{BICYCLE CHARGING MACHINE}
본 고안은 자전거 충전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자전거를 주간에 사용할 때 발전기를 이용하여 충전밧데리에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전조등을 켤 수 있는 충전밧데리의 충전과 전조등의 점등을 동시에 충전된 밧데리를 빼내서 또 다른 가전제품에 계속 재사용 할 수 있도록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발전기는 코일과 자석의 상대적인 운동으로 코일의 단면을 지나는 자기력손실의 변화가 생길 때 즉 전자기 유도 현상에서 전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자전거 발전기의 회전 속도가 빠를 수록 큰 전류가 발생함으로 전조등의 불이 밝게 켜진다.
다시 말해, 자전거발전기는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것으로 자전거의 페달을 밟으면 바퀴가 돌게 되고, 타이어에 닿는 발전기의 회전접촉부도 회전하게 된다.
이 회전접촉부의 회전이 발전기 안의 영구 자석을 돌려 전기를 발생시킴으로써 자전거의 전조등에 불이 켜지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자전거를 야간에 운행할 때 발전기를 이용하여 속도를 빨리하면서 전조등만을 켤 수 있었으나 이러한 발전기는 사용자가 페달을 밟아 회전접촉부를 회전시키는 동력에 의하여 발전을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다리 힘이 떨어지는 등의지속적인 자전거 페달의 회전운동을 하지 못하는 경우 회전접촉부에 동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특히 언덕을 올라갈 때 또 자전거를 탈 수 없는 좁은 골목이나 장해물등이 있어 달릴 수 없을 때 집안에 들어갈때 등은 발전기의 회전속도가 느려짐으로 전류의 발생이 작아 전조등이 운행 도중에 희미해지거나 꺼지는 상태에 있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종래에는 자전거에서 밧데리를 충전해서 그것을 빼내 다른 가전제품에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전거 충전장치로 서는 매우 미흡하였다.
이외에도 자전거 전조등 동력이 사용자 바퀴동력에 의해 발생되는 발전기의 전력에 의존하게 됨으로써 자전거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각종 전원장비나 전자기기 (휴대용카세트 등의 건전지 전력이 소모되는 등의 상태)등을 이용하는데 제약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본인이 출원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8-008077호를 좀더 보완하여 개량한 것이다.
따라서, 목적은 종래 출원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자전거 발전기에 충전기를 구비시킴으로써, 자전거의 전력운용을 안정적이며 호환성 있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충전된 밧데리를 또 다른 전자제품(라디오, 플래쉬, 카세트)등에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회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발전기 11 회전접속부
12 발전기레버 13 고정브라켓트
20 전조등
30 충전기함 31 충전밧데리
40 충전기함전환스위치 40a a 접점스위치
40b b 접점스위치
41 전조등전환스위치
100 다이오드
본 고안은 특히 자전거의 발전기와 전조등 사이에는 발전기측과 충전기측을 전조등으로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전환스위치와 함께 충전기를 구비시킨 구성의 자전거 충전기를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 더 상세히 설명하여 봄으로써, 본 고안의 보다 구체적인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충전기를 나타내었다.
고정브라켓(13)과 발전기레버(12)에는 회전접촉부(11)를 갖는 발전기(10)를 결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발전기(10)의 일측으로는 전조등(20)을 연결하여 형성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10) 일측면부로는 충전밧데리(31)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충전기함(30)을 설치하며, 저부의 적정위치에는 충전기함(30)과 전조등(20)의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a접점스위치(40a)와 b접점스위치(40b)로 동시에 동작하는 충전기함전환스위치(40)와 전조등전환스위치(41)를 형성하되 발전기(10)와 충전기함(30) 사이에는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다이오드(100)가 결선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발전기와 전조등사이에는 발전기(10)측과 충전기함(30)측 및 전조등(20)으로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전환하는 충전기함전환스위치(40)와 전조등전환스위치(41)를 함께 충전기함를 구비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발전기, 전조등, 충전기함, a접점스위치(40a), b접점스위치(40b),충전기함전환스위치(40), 전조등전환스위치(41)등으로 이루어진 회로구성은 도 3과 같이 구성되어 진다.
상기의 도3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여 보겠다.
상기의 구성의 자전거를 타는 사용자가 자전거를 주간에 운용할 때 인위적으로 발전기레버(12)를 눌러 줌으로써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발전기(10)에 형성된 회전접속부(11)가 자전거 바퀴부에 접속되어 회전하게 되어 발전기는 회전을 하면서 발전을 하게 되고 발전전력은 충전기함(30)에 내장된 충전밧데리(31)로 충전되는 것이다.
이때, 발전기(10)와 충전기함(30) 사이에는 다이오드(100)가 결선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다이오드(100)는 충전밧데리로부터 발전기(10)측으로 전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선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원리로 충전밧데리(31)가 충전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조등(20)을 켜거나 또는 충전밧데리(31)를 별도의 소형전자기기 예로써, 카세트플레이어나 소형라디오 또는 CD플레이어 등을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을 장착하고 평상시에 낮에 운행을 할 때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OFF 상태의 a접점스위치(40a)와 ON 상태의 b접점스위치(40b) 상태가 되는 것이 충전기함전환스위치(40)는 OFF 상태로 되는 것으로, 충전기함전환스위치(40)와 전조등전환스위치(41)도 OFF 상태로 놓고 자전거를 운행을 함으로써, 발전기에서 발생하는 에너지가 충전기함(30)에 내장된 충전밧데리(31)에 충전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운행하다가 야간에 불가피하게 언덕길이나 골목길 등 속도가 느린 곳에서 자전거를 운행할 때에는 자전거바퀴의 회전속도가 느려 자전거의 바퀴부에 접속되어 회전하는 회전접속부(11)의 회전 속도가 느려 전조등(20)이 희미하게 켜진다.
이때 전조등스위치(41)를 ON으로 하고 충전기함전환스위치(40)를 ON에 놓음으로써 OFF 상태의 a접점스위치(40a)는 ON이 되고, ON 상태의 b접점스위치(40b) OFF상태가 되어 전조등(20)이 밝게 켜짐과 동시에 충전밧데리(31)에도 충전이 되는 것이다.
상기의 충전기함전환스위치(40)와 전조등스위치(41)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도의 전선을 연장하여 자전거의 핸들부에 장착하여 사용을 함으로써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a접점스위치(40a)와 b접점스위치(40b)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구성된 충전기함전환스위치(40)와 전조등스위치(41)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유용하게 충전밧데리(31)와 전조등(20)을 충전 및 점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자전거 발전기와 충전기함이 구비됨으로서 자전거 바퀴를 이용한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사용함으로써 전력환경을 개선할 수 있어 전조등의 점등이나 그 밖의 전자장치 및 가전/전자기기등을 이용할 수 있는 충전밧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별도의 220V나 110V 등의 전원이 없이도 자전거에서 충전밧데리의 충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에너지의 절약과 충전밧데리의 재충전 재활용에 의한 일반폐품이 줄어들 수 있어 환경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정브라켓(13)과 발전기레버(12)에는 회전접촉부(11)를 갖는 발전기(10)를 결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발전기(10)의 일측으로는 전조등(20)을 연결하여 형성한 통상의 것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10) 일측면부로는 충전밧데리(31)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충전기함(30)을 설치하며, 저부의 적정위치에는 충전기함(30)과 전조등(20)의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a접점스위치(40a)와 b접점스위치(40b)로 동시에 동작하는 충전기함전환스위치(40)와 전조등전환스위치(41)를 형성하되 발전기(10)와 충전기함(30) 사이에는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는 다이오드(100)가 결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충전기장치.
KR2020000030941U 2000-11-06 2000-11-06 자전거 충전기장치 KR200240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941U KR200240086Y1 (ko) 2000-11-06 2000-11-06 자전거 충전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941U KR200240086Y1 (ko) 2000-11-06 2000-11-06 자전거 충전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086Y1 true KR200240086Y1 (ko) 2001-09-26

Family

ID=7309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941U KR200240086Y1 (ko) 2000-11-06 2000-11-06 자전거 충전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0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51770C (zh) 电动自行车
JP3684403B2 (ja) 二輪車用照明システムおよびダイナモ発電機
JP3573723B2 (ja) 自転車用変速制御装置
JP2001245475A (ja) 自転車用電源装置
CN106585404B (zh) 一种电动车能量回收系统及方法
KR20060135495A (ko) 조명장치
KR200240086Y1 (ko) 자전거 충전기장치
KR20020035251A (ko) 자전거 충전기장치
KR20140006097U (ko) 자전거용 발전기
KR20070113523A (ko) 회생에너지 재활용 자전거
CN203294252U (zh) 一种发电自行车
US20040232880A1 (en) Bicycle derailer generator
KR200203124Y1 (ko) 자전거 충전기
CN101823442A (zh) 自发电蓄电电动汽车
JP2006320169A (ja) 携帯電子機器用充電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628799B2 (ja) 自転車の自動点灯照明装置
CN2040872U (zh) 自发电多用途自行车车灯
KR20100056659A (ko) 전기자전거
JP3068664U (ja) 発電機と健康器具の機能をもった自転車の後輪スタンド装置
KR200396897Y1 (ko) 셀프 충전식 랜턴
CN2260040Y (zh) 一种自行车车轮警饰灯
KR200342484Y1 (ko) 전륜에 터보기능의 전동 림 모터를 채용한 전·후륜구동스쿠터
GB2465648A (en) Bicycle power generation unit
KR20020096481A (ko) 휴대용 단말기 충전장치
KR200419976Y1 (ko) 셀프 충전식 랜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