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968Y1 - 퀼팅머시인의재봉원단이송롤러 - Google Patents

퀼팅머시인의재봉원단이송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968Y1
KR200239968Y1 KR2019980022208U KR19980022208U KR200239968Y1 KR 200239968 Y1 KR200239968 Y1 KR 200239968Y1 KR 2019980022208 U KR2019980022208 U KR 2019980022208U KR 19980022208 U KR19980022208 U KR 19980022208U KR 200239968 Y1 KR200239968 Y1 KR 200239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roller
quilting machine
gears
sewing fabric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068U (ko
Inventor
유덕영
Original Assignee
유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덕영 filed Critical 유덕영
Priority to KR2019980022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96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0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0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968Y1/ko

Links

Landscapes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봉원단에 재봉을 하기위해 니들(Needle)부로 원활하게 공급 이송하기 위한 퀼팅머시인의 재봉원단 이송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퀼팅머시인 틀체(A)의 양측 프레임(1)간에 상,하 측으로 이송롤러(2)(2')를 설치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2)(2')의 선단부에 기어(3)(3')를 각각 설치하여 상호 치합,분리되게 구성하고, 상기 기어(3)(3')를 치합,분리되게 하는 기어 착탈수단으로서 상기 하측 이송롤러(2')의 기어(3') 측방에 레버장치(4)를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재봉원단에 재봉하기 위해 니들부로 공급이송 시키는 이중의 이송롤러에 기어를 상호 치합되게 설치하여 이중의 이송롤러의 회전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함으로써 재봉원단의 이송을 정확하게 하고 퀼팅머시인로써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퀼팅머시인(Quilting Machine)의 재봉원단 이송 롤러
본 고안은 퀼팅머시인의 재봉원단 이송롤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봉원단에 재봉을 하기위해 니들(Needle)부로 원활하게 공급 이송하기 위한 퀼팅머시인의 재봉원단 이송롤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퀼팅머시인에서 재봉원단에 재봉을 하기 위해 원단을 공급 이송하는 이중의 이송롤러에 고무판을 피복하여 고무판의 마찰력으로 원단을 이송하였다.
위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구동력이 이중으로 된 이송롤러 중 일측의 이송롤러에 전달되어 이중의 이송롤러가 상호 고무판의 마찰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이중의 이송롤러 간에 슬립이 발생되어 원단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였다.
즉, 이중의 이송롤러가 단지 고무판의 마찰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이 경우 사용에 따른 고무판의 표면이 마모 등으로 인하여 매끄럽게 되면 슬립현상이 일어나고, 또한 고무판의 마찰력만에 의한 회전은 불확실하였다. 따라서, 원단이송의 정밀도가 떨어지고 퀼팅머시인로써의 상품성이 저하되며 자주 아프터 서비스를 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재봉원단에 재봉을 하기 위해 니들부로 공급이송 시키는 이중의 이송롤러에 기어를 상호 치합,분리되게 설치 구성하여 이중의 이송롤러의 회전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함으로써 재봉원단의 이송을 정확하게 하고 퀼팅머시인로써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퀼팅머시인의 재봉원단 이송롤러를 제공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퀼팅머시인 틀체의 양측 프레임간에 상, 하측으로 이중의 이송롤러를 설치하되, 상기 이송롤러의 양측 선단부에 기어를 각각 설치하여 상호 치합되게 구성한다.
상기, 이중의 이송롤러에 설치한 기어가 상호 착탈시키는 수단으로서 레버장치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퀼팅머시인의 전체외형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퀼팅머시인의 틀체에 이송 롤러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퀼팅머시인의 틀체에 설치한 이송 롤러의 착탈수단에 대한 발췌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퀼팅머시인의 틀체에 설치한 이송 롤러의 착탈수단에 대한 작용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 롤러의 작용상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퀼팅머시인의 이송 롤러에 대한 작용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A: 퀼팅머시인 틀체 1: 프레임
2: 이송롤러 3,3': 기어
4: 레버장치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로써 도시하여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4에서와 같이 퀼팅머시인 틀체(A)의 양측프레임(1)간에 상,하 측으로 이중의 이송롤러(2)(2')를 설치하되, 상기 이중의 이송롤러(2)(2')의 양측 선단부에 기어(3)(3')를 각각 설치하여 상호 치합되게 구성한다.
상기, 기어(3)(3')가 치합, 분리되게 하는 기어 착탈수단으로서 하측 기어(3')의 측방에 레버장치(4)를 구성하되, 이 레버장치(4)는 레버(5)와 가이드 블럭(6)을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 블럭(6)에는 홈(7)을 형성하여 상기 하측의 이송롤러축(8)이 삽입되게 하며, 또 상기 레버(5)에는 리브(9)를 일체로 형성하여 회동축(10)에 삽입 설치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6에서와 같이 원단권취롤러(11)로부터 재봉원단(12)을 풀어 니들부(13)로 이송시켜 재봉을 하게 되는데, 이때 이중의 이송롤러(2)(2')에서 재봉원단(12)을 이송한다.
즉, 레버장치(4)에 의해 상, 하 떨어져 있는 이송롤러(2)(2')의 기어(3)(3')를 상호 치합되게 조작한다. 즉, 레버(5)를 하측으로 누르면 회동축(10)을 중심으로 가이드 블럭(6)이 상측으로 상승한다.
이때, 홈(7)에 삽입된 하측 이송롤러축(8)이 가이드홈(a)을 따라 함께 상승하여 상, 하측 이송롤러(2)(2')의 기어(3)(3')가 치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측의 이송롤러(2)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상호 치합된 기어(3)(3')에 의해 이중의 이송롤러(2)(2')는 맞닿아 회전한다. 따라서 도5 및 도6에서와 같이 재봉원단(12)을 공급 이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5)를 상측으로 재치면 치합 되었던 기어(3)(3')가 분리되고 동시에 이중의 이송롤러(2)(2')는 도2 및 도3과 같이 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재봉원단(12)을 최초 공급 이송을 위해 떨어져 있는 이중의 이송롤러(2)(2') 사이로 삽입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재봉원단에 재봉하기 위해 니들부로 공급이송 시키는 이중의 이송롤러에 기어를 상호 치합되게 설치하여 이중의 이송롤러의 회전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함으로써 재봉원단의 이송을 정확하게 하고 퀼팅머시인로써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실시형태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

  1. 퀼팅머시인 틀체(A)의 양측 프레임(1)간에 상,하 측으로 이송롤러(2)(2')를 설치 구성한 퀼팅머시인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2)(2')의 선단부에 기어(3)(3')를 상호 치합, 분리되게 구성하고, 상기 기어(3)(3')를 치합,분리되게 하는 기어 착탈수단으로서 상기 하측이송롤러(2')의 기어(3') 측방에 레버장치(4)를 구성하되, 상기 레버장치(4)는 레버(5)와 가이드블럭(6)을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 블럭(6)에는 홈(7)을 형성하여 상기 하측의 이송롤러(2')에 형성된 이송롤러축(8)이 삽입되게 하며, 상기 레버(5)에는 리브(9)를 일체로 형성하여 회동축(10)에 삽입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퀼팅머시인의 재봉원단 이송롤러.
KR2019980022208U 1998-11-14 1998-11-14 퀼팅머시인의재봉원단이송롤러 KR2002399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208U KR200239968Y1 (ko) 1998-11-14 1998-11-14 퀼팅머시인의재봉원단이송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208U KR200239968Y1 (ko) 1998-11-14 1998-11-14 퀼팅머시인의재봉원단이송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068U KR20000010068U (ko) 2000-06-15
KR200239968Y1 true KR200239968Y1 (ko) 2001-11-22

Family

ID=6951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208U KR200239968Y1 (ko) 1998-11-14 1998-11-14 퀼팅머시인의재봉원단이송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9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068U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8957A (en) Feeder for office machines for individual sheet or continuous forms
US5292113A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KR200239968Y1 (ko) 퀼팅머시인의재봉원단이송롤러
EP1057917A3 (en) Tape feeder for a stitching machine
KR0135429Y1 (ko) 인쇄 장치의 자동 낱장 공급 장치
CN210526044U (zh) 一种纸板印刷自动对齐装置
JPS60118542A (ja) シ−ト部材送給搬送機構
JP4576258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KR950011934B1 (ko) 용지구동형 자동제도기
JPS61119567A (ja) 紙ジヤム解除機構
KR920003466Y1 (ko) 복사기 급지부의 다매급지 방지장치
KR0132420B1 (ko) 프린터의 낱장 자동 급지장치
JPH059181Y2 (ko)
KR200201148Y1 (ko) 자동급지부의용지픽업각유지장치
KR200207833Y1 (ko) 지류 가공장치
KR930003002Y1 (ko) 용지 급지장치
KR200150279Y1 (ko) 사무자동화기기에 있어서 용지세팅장치
KR100225073B1 (ko) 잉크젯 프린터의 급지부슬립방지장치
KR950000398Y1 (ko) 금전등록기의 종이 이송장치
JPH0611979Y2 (ja) 自動原稿給紙装置
EP0357433B1 (en) A paper feed un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319036A (ja) プリンタの給紙機構
JPS5851168Y2 (ja) バ−スタ−
KR200236180Y1 (ko) 다매 급지 방지 장치
KR950000810Y1 (ko) 사무기기의 용지 다중이송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