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876Y1 - 옹벽형 돌망태 - Google Patents

옹벽형 돌망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876Y1
KR200239876Y1 KR2020010010370U KR20010010370U KR200239876Y1 KR 200239876 Y1 KR200239876 Y1 KR 200239876Y1 KR 2020010010370 U KR2020010010370 U KR 2020010010370U KR 20010010370 U KR20010010370 U KR 20010010370U KR 200239876 Y1 KR200239876 Y1 KR 200239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gabion
frame
type gab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기종
Original Assignee
송기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종 filed Critical 송기종
Priority to KR2020010010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8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876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이나 해안에 구축되는 제방을 보호하거나, 도로변, 교각 등에 사용되어 낙석 및 토사유출을 방지하는 옹벽형 돌망태 및 옹벽형 돌망태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옹벽형 돌망태를 사다리꼴로 형성하여 옹벽형 돌망태와 옹벽형 돌망태를 연결시 공간을 형성토록 하고, 이렇게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써 보다 견고한 옹벽을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옹벽형 돌망태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옹벽의 최상단에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옹벽형 돌망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사각 형상의 바닥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에 각 측변에 설치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전,후면 및 제 1,2 측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에 설치된 보강대와,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철망과, 상기 전,후면 및 제 1,2 측면 프레임의 경사변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옹벽형 돌망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옹벽형 돌망태{Retaining Wall Type Gabion}
본 고안은 하천이나 해안에 구축되는 제방을 보호하거나, 도로변, 교각등에 사용되어 낙석 및 토사유출을 방지하는 옹벽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옹벽형 돌망태를 사다리꼴로 형성하여 옹벽형 돌망태와 옹벽형 돌망태를 연결시 공간을 형성토록 하고, 이렇게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써 보다 견고한 옹벽을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옹벽형 돌망태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옹벽의 최상단에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옹벽형 돌망태에 관한 것이다.
돌망태는 하천이나 해안에 구축되는 제방, 도로변, 교각등에 다수의 돌망태가 서로 연결·적층되어 낙석 및 토사유출을 방지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전·후·좌·우 철망이 바닥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돌망태 사이에 공간이 없었으며, 돌망태와 돌망태를 연결시 철사로 묶거나 기타 다른 묶음수단을 구비하여 돌망태를 연결·설치하였다.
따라서, 불안정한 지반, 즉 강한 비바람이나 파도 등의 영향으로 지반이 약해져 무너질 수 있는 곳에 설치되는 돌망태의 특성상 큰 하중을 지속적으로 받게 됨으로써 돌망태와 돌망태의 연결부위가 파손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거나, 돌망태로 구성된 옹벽이 붕괴됨으로써 인적, 물적 피해가 예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옹벽형 돌망태를 사다리꼴로 형성하여 옹벽형 돌망태와 옹벽형 돌망태를 연결시 공간을 형성토록 하고, 이렇게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써 보다 견고한 옹벽을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옹벽형 돌망태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옹벽의 최상단에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옹벽형 돌망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사각 형상의 바닥 프레임과, 상기 바닥 프레임에 각 측변에 설치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전,후면 및 제 1,2 측면 프레임과, 상기 전면 프레임에 설치된 보강대와, 상기 각각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철망과, 상기 전,후면 및 제 1,2 측면 프레임의 경사변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옹벽형 돌망태의 전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해 시공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옹벽형 돌망태 (2) 기둥
(3) 콘크리트 (4) 흙
(5) 식물 (11) 전면 프레임
(12) 후면 프레임 (13) 제 1 측면 프레임
(14) 제 2 측면 프레임 (15) 바닥 프레임
(16) 철망 (17) 보강대
(18) 경사변
도 1 은 본 고안의 옹벽형 돌망태의 전개도를,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해 시공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사각 형상의 바닥 프레임(15)과, 상기 바닥 프레임(15)에 각 측변에 설치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전,후면 및 제 1,2 측면 프레임(11)(12)(13)(14)과, 상기 전면 프레임(11)에 설치된 보강대(17)와, 상기 각각의 프레임(11)(12)(13)(14)에 설치되는 철망(16)과, 상기 전,후면 및 제 1,2 측면 프레임(11)(12)(13)(14)의 경사변(18)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옹벽형 돌망태(1)로 구성되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바닥 프레임(15)을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사다리꼴 형상으로 전,후면 및 제 1,2 측면 프레임(11)(12)(13)(14)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 프레임(11)의 내측에 보강대(17)를 설치하여 돌의 압력에 의해 철망(16)이 늘어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형성된 각각의 프레임(11)(12)(13)(14)에 철망(16)을 설치하고, 바닥 프레임(15)의 측변에 상기 전,후면 및 제 1,2 측면 프레임(11)(12)(13)(14)의 밑변이 일치되도록 각각의 프레임(11)(12)(13)(14)을 설치하되, 각각의 프레임(11)(12) (13)(14)의 경사변(18)이 인접해 있는 프레임의 경사변과 연결되게 설치한다.
이때 프레임(11)(12)(13)(14)의 연결부는 스탠밴드 또는 철판밴딩 등의 결속구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철망(16) 및 프레임(11)(12)(13)(14)에 PE 코팅 또는 PP 코팅을 하여 외관이 미려함과 동시에 부식에 대한 내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옹벽형 돌망태(1)를 필요에 따라 설치할 경우, 옹벽형 돌망태(1)를 지면에 횡설하고, 상기 옹벽형 돌망태(1)의 내부에 돌을 가득 채운다. 이처럼 옹벽형 돌망태(1)를 설치하게 되면 옹벽형 돌망태(1)와 옹벽형 돌망태(1) 사이에는 역삼각형의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옹벽형 돌망태(1) 높이의 1~1.5배 길이의 'L'형 기둥(2)을 형성하여 상기 옹벽형 돌망태(1)와 옹벽형 돌망태(1)의 사이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기둥(2)의 꺽임부가 돌망태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기둥(2)은 옹벽형 돌망태(1)를 적층하여 시공할 경우, 상하 옹벽형 돌망태(1)의 위치기준이 됨과 동시에 콘크리트(3)를 타설하여 고정시 상하 옹벽형 돌망태(1)가 연결되어 고정됨으로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한다.
기둥(2)이 설치 완료되면 옹벽형 돌망태(1)와 옹벽형 돌망태(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3)를 채움으로써 1단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처럼 콘크리트(3)를 옹벽형 돌망태(1) 사이공간에 채움으로써 돌과 돌 사이에 콘크리트(3)가 스며들어 더욱 견고한 옹벽형 돌망태(1)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1단 시공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옹벽형 돌망태(1)의 상부로 기둥(2)이 돌출되고, 상기 기둥(2)을 기준으로 하여 2단 옹벽형 돌망태(1)를 횡설하여 돌을 채운 후, 1단과 동일하게 옹벽형 돌망태(1) 사이에 기둥(2)을 설치하되, 1단으로부터 돌출된 기둥(2)과 서로 연결·고정되도록 철선 등의 묶음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옹벽형 돌망태(1)의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3)를 채움으로써 2단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다단의 옹벽형 돌망태(1)를 적층할 수 있으며, 최상단에 옹벽형 돌망태(1)를 설치할 경우, 옹벽형 돌망태(1)를 횡설하여 돌을 채우고, 상기 옹벽형 돌망태(1)의 사이공간에 콘크리트(3)를 타설하되, 사이공간의 1/2 또는 1/3을 채우고, 나머지 공간은 흙(4)을 채워 식물(5)의 식재를 가능하게 하여 조경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식물(5)이 자람에 따라 뿌리가 돌사이로 침투하여 옹벽형 돌망태(1)의 고정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의 옹벽형 돌망태를 형성하여 옹벽형 돌망태와 옹벽형 돌망태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다 견고하게 옹벽형 돌망태를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사다리꼴로써 밑부분이 더 넓어 안정성이 있으며, 최상단에 위치한 옹벽형 돌망태에 식물의 식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조경의 효과도 더불어 가져올 수 있다.

Claims (1)

  1. 사각 형상의 바닥 프레임(15)과,
    상기 바닥 프레임(15)에 각 측변에 설치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전,후면 및 제 1,2 측면 프레임(11)(12)(13)(14)과,
    상기 전면 프레임(11)에 설치된 보강대(17)와,
    상기 각각의 프레임(11)(12)(13)(14)에 설치되는 철망(16)으로 구성하되,
    상기 전,후면 및 제 1,2 측면 프레임(11)(12)(13)(14)의 경사변(18)이 인접한 프레임의 경사변(18)과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형 돌망태.
KR2020010010370U 2001-04-13 2001-04-13 옹벽형 돌망태 KR200239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370U KR200239876Y1 (ko) 2001-04-13 2001-04-13 옹벽형 돌망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370U KR200239876Y1 (ko) 2001-04-13 2001-04-13 옹벽형 돌망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727A Division KR100425266B1 (ko) 2001-04-13 2001-04-13 옹벽형 돌망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876Y1 true KR200239876Y1 (ko) 2001-10-11

Family

ID=7309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370U KR200239876Y1 (ko) 2001-04-13 2001-04-13 옹벽형 돌망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8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867B1 (ko) 2004-03-18 2007-01-02 홍원국 게비온 옹벽 구조물의 강도 보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867B1 (ko) 2004-03-18 2007-01-02 홍원국 게비온 옹벽 구조물의 강도 보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3076727A1 (en) Ecological block and vegetation bank protection
KR200239876Y1 (ko) 옹벽형 돌망태
KR100425266B1 (ko) 옹벽형 돌망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363435B1 (ko) 경사면 구축방법
KR100874956B1 (ko) 호안용 돌망태
KR100843330B1 (ko)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KR200409161Y1 (ko) 개비온 옹벽의 축조방법에 적합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
KR200300440Y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블록
KR200247050Y1 (ko) 구배가 형성된 대형식재옹벽블록
JP4411396B2 (ja) 土砂擁壁構造体
KR100514086B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
KR200192039Y1 (ko) 경사면 구축구조
KR100843331B1 (ko)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시공방법
CN212270833U (zh) 台阶式护岸
JPS5820338B2 (ja) 法面安定工法
KR200344697Y1 (ko) 호안용 식생블록
JP4886822B2 (ja) 組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連鎖状構造物
KR200405581Y1 (ko) 호안 블록 및 호안 블록 조립체
JP2947542B2 (ja) 法枠への植生用棚構造物の増設工法
KR100475104B1 (ko) 사면 및 호안옹벽용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21439Y1 (ko) 도로구간에 설치되는 그물망 녹화옹벽구조
KR200279871Y1 (ko) 돌망태용 블록
JP2005273377A (ja) 混合擁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070024A (ja) 土留め枠および傾斜地等の土留め工法
JP3027106B2 (ja) コンクリート構築物に適用される修景型枠並びに修景型枠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