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161Y1 - 개비온 옹벽의 축조방법에 적합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 - Google Patents

개비온 옹벽의 축조방법에 적합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161Y1
KR200409161Y1 KR2020050032329U KR20050032329U KR200409161Y1 KR 200409161 Y1 KR200409161 Y1 KR 200409161Y1 KR 2020050032329 U KR2020050032329 U KR 2020050032329U KR 20050032329 U KR20050032329 U KR 20050032329U KR 200409161 Y1 KR200409161 Y1 KR 200409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ion
retaining wall
box
panel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3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현
Original Assignee
(주) 일신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신하이텍 filed Critical (주) 일신하이텍
Priority to KR20200500323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1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1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축벽이나 옹벽을 안전하고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개비온의 시공방법에 적합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절개지 등을 선정하여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고 기초적인 준비를 행하는 준비단계와; 바닥면에 최하단의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형성하고, 인접한 다른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와 서로 결합시켜 연결하는 최하단 배열단계와; 상기의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에 채움재를 채워넣어 최하단을 형성하는 단계와; 이미 형성된 최하단의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 위에 상기의 최하단 형성단계와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여 시행하고, 이를 최상단의 개비온 박스를 형성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시행하는 반복 설치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개비온 옹벽의 시공방법에 적합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이용할 경우, 철망이 절단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개비온 옹벽의 구조물 변형을 예방할 수 있고, 자유단에서의 배부름 현상도 예방할 수 있다.
개비온, 돌망테, 옹벽공사, 축벽, 환경친화성, 개비온 공법

Description

개비온 옹벽의 축조방법에 적합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Prefabricated Concrete Pannel Gabion for Constructing Gabion Wall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옹벽의 축조방법을 수행하는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펼쳐놓은 상태에서 그 후면에서 바라본 후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에 관한 변형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로 개비온 옹벽을 축조한 경우에, 그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로 개비온 옹벽을 축조하되, 약간의 경사면을 이루면서 축조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 110 : 전면부,
112 : 상면 결합부, 114 : 저면 결합부,
116 : 절개부, 118 : 무늬형성부,
120 : 저면부, 130, 140 : 측면부,
150 : 덮개부, 160 : 배면부,
본 고안은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비온 옹벽을 축조하는데 있어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개비온 철망을 보호할 수 있고 그와 더불어 신속하게 시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 등에는 물 또는 해수의 범람을 방지하거나, 수로를 유지하기 위하여, 각종의 제방이나 둑 또는 옹벽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의 제방이나 둑 또는 옹벽 등은 이전부터 호안블록이나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개비온 돌망테를 이용한 각종의 시공방법에 의하여 축조되어왔다.
그 중에서도, 상기의 호안블럭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에는, 작업성이 용이하고 그 유지관리가 비교적 쉬운 장점이 있으나, 주위환경과의 조화를 이루기 어렵고 무엇보다도 환경에 대한 생태학적 고려사항이 부족하여 환경친화성을 갖추지 못한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상기의 호안블록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은 친환경공법으로서 그 가치를 잃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하여, 개비온 돌망테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사각형 철망 또는 육각형 철망에 의한 개비온 제품 내부에 깬돌, 자갈, 잡석 등을 채워넣는 것으로서, 시공이후, 그 내부에 채워진 채움재의 공극을 통하여 주변의 물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고, 또한 토양을 채움재로서 사용하였을 경우 풀이나 나무 등이 자라날 수 있어서 친환경 시공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개비온 돌망테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그 시공방법의 특성상 개비온 철망의 내부에 반드시 깬돌, 잡석, 자갈 등을 채취하여 채움재로서 채워 넣고 있는데, 상기의 채움재는 그 외부에 있는 철망에 의하여 그 형태를 보존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개비온 철망은 그 내부에 채워져 있는 채움재를 그 상태로 보존하고 유지하는데 가장 큰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외부에서 상당한 정도의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의 개비온 철망이 상기의 채움재에 의하여 오히려 절단되어지는 역설적인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예컨대, 개비온 돌망테를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였을 경우, 그러한 옹벽은 물흐름이 발생되고 있는 하천의 옹벽으로 축조되거나, 야산의 절개지의 옹벽으로서 절개지에서 떨어져 나오는 낙석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조되고 있는데, 하천의 경우엔 급물살에 의해 운반된 돌멩이나 큰 돌이 개비온 옹벽에 부딪히게 되고, 절개지의 경우엔 위에서 떨어지는 돌멩이, 바위 등의 낙석이 개비온 옹벽에 부딪히게 된다.
이때, 상기의 채움재가 상기의 개비온 철망을 받쳐주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의 돌멩이나 바위 등이 상기의 개비온 철망을 찍어주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의 개비온 철망은 쉽게 절단되어지게 되고, 이러한 경우 상기 개비온 철망으로 형성된 개비온 돌망테는 자연적으로 해체되어지게 되며, 상기 개비온 돌망테가 해체되어지면, 그 내부에 채워진 채움재가 조금씩 밖으로 빠져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심하게 일어나게 되었고, 개비온 돌망테에서 몇몇 군데에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어지게 되면, 위에서 내리 누르는 힘에 의하여 개비온 돌망테를 이용한 개비온 옹벽은 한쪽 방향으로 휘어지거나, 심할 경우에는 그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넘어지게 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개비온 돌망테의 시공방법은 그 시공과정 이후에 발생되는 개비온 철망의 절단현상을 전혀 해소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오늘날 친환경 시공방법으로 일컬어지는 개비온 옹벽의 효용성을 매우 훼손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개비온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시공이후 완성된 개비온 옹벽에 있어서 외부에서 운반된 돌멩이 등에 의하여 개비온 철망이 전혀 손상을 받지 않고 그 기능을 완전히 달성할 수 있는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이용한 옹벽의 축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개비온 옹벽의 축조방법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이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이용한 옹벽의 축조방법 및 그 축조방법에 적합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이용한 옹벽의 축조방법은 a). 절개지 등을 선정하여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고 기초적인 준비를 행하는 준비단계와; b). 바닥면에 최하단의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형성하고, 인접한 다른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와 서로 결합시켜 연결하는 최하단 배열단계와; c). 상기의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에 채움재를 채워넣어 최하단을 형성하는 단계와; d). 이미 형성된 최하단의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 위에 상기의 최하단 형성단계와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여 시행하고, 이를 최상단의 개비온 박스를 형성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시행하는 반복 설치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ㆍ후ㆍ좌ㆍ우ㆍ상ㆍ하의 6면을 구성하고 있는 개비온 박스에 있어서, 그 일면에 콘크리트 판넬로 구성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이용하여 개비온 옹벽을 축조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라 함은 다각형 형태의 철그물망 패널을 이용하여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구성한 박스형 개비온과, 한쪽 면이 다른 쪽 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매트리스형 개비온에 있어서, 그 일면에 콘크리트 판넬을 상기 철그물망에 형성시킨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이용한 옹벽의 축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 술사상을 이 기술분야의 통상전문가가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기초적인 준비단계 :
본 고안은 개비온 옹벽을 축조하기 위하여 그 시공장소를 선택하고 준비작업을 시행하는 기본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절개지 등을 선정하고, 그 절개지에 어느 정도의 공간을 확보하여야 할 것인지를 검토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절개지 등을 헐어내어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는 터파기 과정과, 확보된 공간의 바닥면을 평탄하게 정리하는 과정과, 필요한 원자재를 미리 준비하는 과정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반과정이 이행되어지면, 다음 단계로 진행된다.
2). 최하단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의 배열 단계
본 고안은 개비온 옹벽을 축조하는데 있어서, 새로운 구조의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를 이용하여 개비온 옹벽을 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옹벽의 축조방법을 수행하는데 기본적으로 필요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를 펼쳐놓은 상태에서 그 후면에서 바라본 후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에 관한 변형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는 시공완료 후에 개비온 옹벽의 전면을 이루게 되는 전면부(110)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어 있고 시공 완료후에 그 바닥면을 이루게 되는 저면부(120)와, 시공완료 후에 그에 인접한 개비온 박스와 서로 연결되어지는 양측면부(130)(140)와, 시공완료 후에 내부의 채움재를 덮어주게 되는 덮개부(150)와, 시공완료 후에 개비온 옹벽의 내부에 위치하여 다른 개비온 박스들과 연결되어지는 배면부(16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의 전면부(110)는 그의 철망을 내부 보강재로 삼아 형성된 콘크리트 판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콘크리트 판넬은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부(110)를 이루고 있는 개비온 철망(101)을 그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콘크리트 판넬은 상기 개비온 철망(101)을 그 내부에 포함하고 있으므로, 외부에서 상당한 정도의 충격을 받더라도,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되고, 설혹 한계 충격을 받았을 경우에도 단지 절개선(또는 파단선)이 형성되어질 뿐이고, 깨어져 외부로 이탈되어지지 않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콘크리트 판넬을 상기의 개비온 철망(101)에 양생하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콘크리트 판넬과 상기의 개비온 철망(101)의 상호관계는 상기 콘크리트 판넬의 내부에 상기 개비온 철망(101)이 완전히 매립된 상태가 바람직하지만, 실제 시공현장에서 박스형태로 제조할 것을 고려할 때 상기 콘크 리트 판넬의 가장자리에 비하여, 상기 개비온 철망(101)의 접힘부위가 상기 가장자리의 안쪽에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10)에 형성된 콘크리트 판넬은 그 상면에 형성된 상면 결합부(112)와 그 저면에 형성된 저면 결합부(11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상면 결합부(112)와 상기의 하면 결합부(114)는 서로 상하방향에서 결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수직형상의 옹벽이나 약간의 경사면을 이루는 사면 옹벽의 경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계단식 옹벽에서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10)에 형성된 콘크리트 판넬은 그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절개부(116)를 형성하거나, 콘크리트 판넬의 외관을 다듬기 위한 무늬형성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무늬형성부(118)를 포함할 경우, 완성된 개비온 옹벽에 다양한 형상을 외부에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는 미리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제조되어지고,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시공현장으로 운반되어진 다음, 시공현장에서 박스형 또는 매트리스형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최하단 설치단계 :
이는 기초적인 준비단계를 마치고, 시공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최하단의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로 운반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를 시공현장에 적합한 형태로 조립하거나 절곡시켜서, 박스형 또는 매트리스형으로 전환시킨다.
본 고안에 있어서, 시공현장의 바닥면에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를 형성하게 되면, 그에 인접한 곳에도 반복하여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를 형성하고, 이들을 서로 결합시킨다. 결합작업이 마무리되어지면, 시공현장의 바닥면에는 서로 연결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들이 인접하여 주욱 늘어져 있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연결작업이 마무리되어지면, 각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의 내부에 채움재를 집어넣는다. 상기의 채움재로서는 깬돌이나 잡석 또는 주변의 토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진된 토사 등은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의 내부에 고르게 쌓이게 되고, 이를 각종의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충분하게 다진다.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직물지 등을 먼저 펼쳐 놓은 다음, 그 위에 토사 등을 충진할 수도 있다.
이로써, 최하단의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설치하는 단계를 마무리하게 된다.
4). 상층단의 반복 설치단계 :
이는 최하단의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설치한 이후, 동일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 또는 그와 유사한 다른 형상의 개비온 제품을 사용하여 동일한 설치방법으로 최상단에 이르기까지 반복적으로 설치하는 단계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이 단계는, 최하단의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 또다른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를 올려놓고 실시되어진다. 이 단계에서는 바닥면이 아니고, 일련의 열로 배열되어 있는 최하단의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의 위에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를 조립하거나 형성하게 된다. 그 이후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인접한 개비온 박스끼리 결합시키고, 상하단에 배열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서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그 이후, 다시 채움재를 각각의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100)에 채워넣게 된다.
이러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시행함으로써, 시공현장에 적합한 높이의 개비온 옹벽을 쌓아올리게 되고, 최종적인 최상단을 마무리하게 된다.
도 4는 이러한 방식으로 개비온 옹벽을 축조한 경우에, 그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4A는 수직형 옹벽을 도시한 반면에, 도 4B는 계단식 옹벽을 예시한 것이고,
도 5는 역시 이러한 방식으로 개비온 옹벽을 축조하되, 약간의 경사면을 이루면서 축조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의 도 4 및 도 5에 의하면, 상기 개비온 옹벽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서 외부에 노출되어진 전면부에는 상기의 콘크리트 판넬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콘크리트 판넬의 내부에 상기의 개비온 철망(101)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개비온 철망(101)이 실제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부분은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이용한 옹벽의 축조방법은 종래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던 박스형 개비온이나 매트리스형 개비온을 그대로 이용하되, 콘크리트 판넬을 그 일면에 형성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완성된 개비온 옹벽에서는 외부에 노출된 개비온 철망이 전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이용한 옹벽의 축조방법은 하천에 시공되거나 야산의 절개지에 시공될 경우에, 외부에서 운반되어지는 돌멩이나 바위에 의하여 개비온 철선이 절단될 염려가 전혀 없으며, 그로 인하여 그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채움재가 외부로 빠져나갈 염려가 전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이용한 옹벽의 축조방법은 개비온 철선의 파손으로 인한 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예컨대, 낙석방지 구조물의 뒷면 보호), 하천에서의 수충부를 보다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이용한 옹벽의 축조방법은 그 전면에 위쪽에서 내리누르는 외압을 충분히 견디어낼 수 있는 콘크리트 판넬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전면의 자유단에서 발생되고 있는 '배부름 현상'을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이용한 옹벽의 축조방법은 그 전면이 콘크리트 판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콘크리트 판넬의 표면에 다양한 형상으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주위의 환경에 적합하게 축벽을 조성할 수 있는 잇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이용한 옹벽의 축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시공완료 후에 개비온 옹벽의 전면을 이루게 되는 전면부(110)와, 상기 전면부에 연결되어 있고 시공 완료후에 그 바닥면을 이루게 되는 저면부(120)와, 시공완료 후에 그에 인접한 개비온 박스와 서로 연결되어지는 양측면부(130)(140)와, 시공완료 후에 내부의 채움재를 덮어주게 되는 덮개부(150)와, 시공완료 후에 개비온 옹벽의 내부에 위치하여 다른 개비온 박스들과 연결되어지는 배면부(16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의 전면부(110)가 그의 개비온 철망(101)을 내부 보강재로 삼아 형성된 콘크리트 판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개비온 옹벽의 축조용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콘크리트 판넬은 그 상면에 형성된 상면 결합부(112)와, 그 저면에 형성된 저면 결합부(114)와, 그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절개부(116)와, 그의 외관을 다듬기 위한 무늬형성부(118)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개비온 옹벽의 축조용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
KR2020050032329U 2005-11-15 2005-11-15 개비온 옹벽의 축조방법에 적합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 KR200409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329U KR200409161Y1 (ko) 2005-11-15 2005-11-15 개비온 옹벽의 축조방법에 적합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329U KR200409161Y1 (ko) 2005-11-15 2005-11-15 개비온 옹벽의 축조방법에 적합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147A Division KR100701299B1 (ko) 2005-11-15 2005-11-15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이용한 옹벽의 축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161Y1 true KR200409161Y1 (ko) 2006-02-20

Family

ID=4175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329U KR200409161Y1 (ko) 2005-11-15 2005-11-15 개비온 옹벽의 축조방법에 적합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16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261B1 (ko) * 2010-10-12 2011-04-18 대상이앤씨(주) 숏크리트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KR101204308B1 (ko) * 2009-09-25 2012-11-2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통나무 돌바구니
KR101735476B1 (ko) * 2015-12-16 2017-05-15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전면부 보강블록이 구비된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308B1 (ko) * 2009-09-25 2012-11-2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통나무 돌바구니
KR101029261B1 (ko) * 2010-10-12 2011-04-18 대상이앤씨(주) 숏크리트를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KR101735476B1 (ko) * 2015-12-16 2017-05-15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전면부 보강블록이 구비된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759B1 (ko) 제체 내 배수와 세굴방지가 가능한 친환경적인 식생매트 공법 및 식생매트
KR101597507B1 (ko) 식생블록
CN107859055B (zh) 一种应用于岸坡防护的格宾挡墙施工方法
KR101244710B1 (ko) 필터격벽을 구비한 언폴딩 개비온, 박스형 개비온 및 개비온 중첩-일체화 시공을 통한 호안 보강공법
KR200409161Y1 (ko) 개비온 옹벽의 축조방법에 적합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
KR100864813B1 (ko) 함체형 타공철판 유니트에 의한 식생 보강토옹벽 구조 및그 축조방법
KR100753045B1 (ko) 패브릭 직물포대와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
KR20070077549A (ko) 개비온 메쉬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34975B1 (ko) 하천 사면 또는 절개지에 형성되는 식생돌망태 시공방법
KR100666908B1 (ko) 2중 접철식 상자형 게비온
KR100522548B1 (ko) 개비온을 이용한 축벽의 시공방법
KR100701299B1 (ko)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이용한 옹벽의 축조방법
KR100874956B1 (ko) 호안용 돌망태
KR101490212B1 (ko) 측면이 보강된 개비온
KR100950248B1 (ko) 사면 또는 제방용 게비온 및 시공방법
KR100884017B1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KR100515136B1 (ko) 식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식생 옹벽 및 호안 시공방법
KR101138723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에 사용되는 철망의 고정쐐기
KR20080014176A (ko) 하부가 개방되고 측면판 후부가 경사진 친환경블럭을 이용한 친환경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JP3472708B2 (ja) 法面及び護岸擁壁用構造物及びその施工法
KR100639097B1 (ko) 칼라 투수콘 개비온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에 적합한칼라 투수콘 개비온 조립체
KR200409162Y1 (ko)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축조방법에 적합한 개비온 메쉬 웹
KR20110009351A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호안블록
JP6923282B2 (ja) 捨石構造物及びその築造方法
KR20120067482A (ko) 식생 생육이 가능한 개비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