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045B1 - 패브릭 직물포대와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패브릭 직물포대와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045B1
KR100753045B1 KR1020060007134A KR20060007134A KR100753045B1 KR 100753045 B1 KR100753045 B1 KR 100753045B1 KR 1020060007134 A KR1020060007134 A KR 1020060007134A KR 20060007134 A KR20060007134 A KR 20060007134A KR 100753045 B1 KR100753045 B1 KR 100753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aper
bag
fabric pa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7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7550A (ko
Inventor
허수영
현동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호
Priority to KR1020060007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045B1/ko
Publication of KR2007007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7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브릭 직물포대과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는 작업장의 지면에 맞닿게 되고 기본적인 길이를 형성하게 되는 저면의 평직물지와; 상기 저면 직물지에 대응되어지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지며 그 중간부위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상면의 주름직물지와; 상기 평직물지와 상기 주름직물지의 사이에 위치하고 그 사이에 충진되어질 콘크리트 몰타르의 파손을 방지하게 해주는 보강 철망과; 상기 평직물지와 상기 주름직물지를 서로 일정한 간격씩 사이를 두고 박음질처리한 결합부;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를 이용하여 시공할 경우, 작업자가 작업현장에서 제방의 둑을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시공된 이후 세굴현상 또는 부분 침하현상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방, 강변 둑, 신속성, 간편성, 세굴현상, 부분 침하, 철망, 경사면

Description

패브릭 직물포대와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Fablic Bag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Inclined Ground with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타르를 강제로 주입시킬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타르를 완전히 충진시켰을 경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를 시공한 이후 그 저면에 세굴현상이 발생되었을 경우, 그에 대한 대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시공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패브릭 직물포대, 110 : 평직물지,
120 : 주름직물지, 122 : 주름,
130 : 보강 철망, 140 : 결합부
본 발명은 개비온 철망을 보강재로 포함한 주름 직물과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의 세굴된 부위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세굴된 부위를 자연적으로 채워줄 수 있는 주름 직물과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호안, 해안, 또는 절개지 등에는 물 또는 해수의 범람을 방지하거나, 수로를 유지하기 위하여, 또는 옹벽을 축조하기 위하여, 각종의 제방이나 둑 또는 옹벽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각종의 제방이나 둑 또는 옹벽 등은 이전부터 호안블록이나 콘크리트 구조물, 자연석쌓기, 또는 개비온 돌망테를 이용한 보강토 시공방법 등을 이용하여 축조되어왔다.
그 중에서도, 상기의 호안블럭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경우에는, 작업성이 용이하고 그 유지관리가 비교적 쉬운 장점이 있으나, 주위환경과의 조화를 이루기 어렵고 무엇보다도 환경에 대한 생태학적 고려사항이 부족하여 환경친화성을 갖추지 못한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상기의 호안블록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은 친환경공법으로서 그 가치를 잃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의 자연석쌓기 공법은 산야에서 채취한 자연석을 이용하여 석벽을 축조하는 것으로서, 어느 정도 주위의 경관에 조화를 이룰 수 있으므로 조경학적 관점에서 유용한 측면이 있지만, 자연 상태에 있는 자연석을 구하기 어렵고, 또한 이러한 자연석을 구하는 과정에서 원래의 자연환경을 해치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하여, 개비온 돌망테를 이용한 보강토의 시공방법은 사각형 철망 또는 육각형 철망을 이용하여 작업현장에서 박스형 개비온 또는 매트리스형 개비온을 제작하고, 그 내부에 작업현장에서 채취한 보강토를 채워넣어 보강토 옹벽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보강토 시공방법은 그 내부에 채워진 채움재로서 주변의 보강토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시공 이후 풀이나 나무 등이 쉽게 자라날 수 있게 되어, 친환경 시공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개비온 돌망테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환경친화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하천 등의 제방이나 경사면 등에 주로 시공되고 있다.
한편, 강물이 일정한 수심을 유지하면서 연중 계속적으로 흘러가게 되는 하천의 수중에 있어서는, 장마 또는 홍수 등의 요인에 의하여 강변 둑이나 제방이 자연적으로 세굴되어지게 되지만, 이러한 세굴 지점이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관찰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추후 세굴되어질 지점을 구체적으로 예측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측면이 있다.
이처럼, 수중에서 세굴현상이 이미 발생되었거나 앞으로 발생되어질 것으로 예상되어지는 곳에 대해서는, 종래의 통상적인 개비온 공법에 의해서는 그 해결책을 기대할 수 없었으므로, 이를 위하여 별도의 공법을 개발하여 운용하고 있다. 이 러한 공법은 일종의 '콘크리트 충진공법'으로서, 일정한 포대를 준비한 다음, 상기의 포대를 수중에 있는 경사면 또는 세굴지점에 위치시키고, 그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타르를 상기 포대의 주입구에서 그 내부로 강제적으로 압출하여 밀어넣게 되면, 유연한 콘크리트 몰타르가 상기 포대의 내부에 충진된 상태에서 서서히 굳어지게 되는 공법이다.
그런데, 이러한 '콘크리트 충진공법'은 일단 포대의 내부에서 굳어지게 되면, 강한 강도를 갖게 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그 아래쪽에서 세굴현상이 발생되었을 경우 세굴현상에 의해 파헤쳐진 웅덩이 부분이 발생하게 되고, 그 웅덩이 부분의 위쪽에서 포대 내부의 콘크리트가 절단되어 파단현상을 일으키게 되었다. 그 결과, 지면 위에 놓여있던 콘크리트 포대가 웅덩이 부분에서 꺾여서 끊어지거나 절단되어 떨어져 나가게 되고, 그로 인하여 물쌀에 의한 세굴현상은 다시 발생하게 되어지며, 결과적으로 상기 콘크리트 포대는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 충진공법'은 일단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그 지면 아래에서 세굴현상이 발생되거나 부분적인 침하현상이 발생될 경우, 그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없었고, 세굴현상이 심화될 경우엔 이미 설치된 콘크리트 포대마저 깨어져 손상되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시공방법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이를 효율 적으로 실행할 수 있고 시공 이후 세굴현상이 발생된 경우에도 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패브릭 직물포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고 시공 이후 세굴현상이 발생된 경우에도 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패브릭 직물포대를 이용한 하천 제방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패브릭 직물포대 및 이것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는 작업장의 지면에 맞닿게 되고 기본적인 길이를 형성하게 되는 저면의 평직물지와; 상기 저면 직물지에 대응되어지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지며 그 중간부위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상면의 주름직물지와; 상기 평직물지와 상기 주름직물지의 사이에 위치하고 그 사이에 충진되어질 콘크리트 몰타르의 파손을 방지하게 해주는 보강 철망과; 상기 평직물지와 상기 주름직물지를 서로 일정한 간격씩 사이를 두고 박음질처리한 결합부; 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를 이용한 하천 제방의 시공방법은 a). 작업을 수행할 제방의 둑을 선정하여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고 그 경사면을 정리하는 경사면 정리단계와; b). 경사면의 바닥에 패브릭 직물포대를 펼쳐 놓고, 콘크리트 몰타르를 강제적으로 상기 패브릭 직물포대의 내부에 주입시킴으로써, 상면의 주름직물지를 부풀리는 단계와; c). 상기 패브릭 직물포대를 지면 위에서 서서히 양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보강 철망은 2개의 철선을 서로 꼬아서 4각형 또는 6각형의 망눈 구조로 형성된 것과 상기 2개의 철선 사이에 보강철선을 끼워넣은 5각형 망눈 구조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고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의 철망은 나일론과 같은 합성수지를 재질로 구성된 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 기술분야의 통상전문가가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100)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상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100)는 평평한 평면을 이루고 있는 직물로 구성된 평직물지(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평직물지(110)는 본 발명의 패브릭 직물포대(100)가 바닥의 작업장에 놓였을 때, 작업장의 지면에 맞닿게 되는 부위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면에 직물지를 사용하는 것은 그 직물의 유연한 특성을 고려한 것이며, 이는 작업장의 지면이 하천수의 세굴현상에 의해 군데 군데 웅덩이 부분을 포함하고 있을 경우, 그 웅덩이 부분을 그 내부에 충진된 콘크리트 몰타르(150)가 그의 자중(自重)에 의해 아래쪽으로 밀려내려감으로써, 그 웅덩이 부분을 밀착시켜 주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평직물지(110)는 추후 그 내부에 콘크리트 몰타르(150)가 충진될 경우에, 그 위쪽에 대응하는 주름직물지(1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게 부풀려지게 되므로, 콘크리트 몰타르(150)가 충진되기 이전의 최초 길이에 비하여 콘크리트 몰타르(150)가 충진된 이후의 최종 길이는 별로 줄어들지 않게 되고, 비교적 동일한 정도의 기본적인 길이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100)는 상기의 저면 평직물지(110)에 대응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주름직물지(12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주름직물지(120)는 상기 평직물지(110)와 함께 포대로서의 형상을 이루게 되고, 그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추후 콘크리트 몰타르(150)가 충진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주름직물지(120)는 그 중간부위에 주름(1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주름(122)은 평시에는 서로 약간씩 겹쳐져서 존재하지만, 본 발명의 패브릭 직물포대(100)에 콘크리트 몰타르(150)가 충진되어질 경우에는 점차적으로 넓게 펼쳐져서 위쪽으로 둥근 형상으로 부풀어 오르게 되어진다(도 2 참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름직물지(120)에 형성된 주름(122)은 그 내부에 콘크리트 몰타르(150)가 충진될 경우 점차적으로 넓게 펼쳐지게 됨으로써, 종래의 제품과 같이 상기 평직물지(110)가 종래와 같이 점점 줄어들게 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그 내부에 하기의 보강 철망(130)이 장착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게 된다. 이는 상기의 평직물지(110)가 최초의 길이를 거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보강 철망(130)의 장착되어질 길이를 충분히 사전에 예측할 수 있고, 그 예측된 길이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패브릭 직물포대(100)를 완성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의 주름(122)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종래의 상하 직물지가 콘크리트 몰타르를 주입함에 따라 모두 안쪽으로 줄어들게 되어, 보강 철망(130)을 그 내부에 장착시킬 수 없었던 것인데, 본 발명은 이러한 직물지의 줄어드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보강 철망(130)을 장착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름직물지(120)에 형성된 주름(122)은 동일한 직물지에 반복적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름(122)의 형성은 작업장의 상태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하천에 의한 세굴현상이 심하지 않거나 심하게 발생될 우려가 없는 지역에서는 상기의 주름(122)을 작게 형성하고 그 형성된 갯수를 적게 하는 반면에, 세굴현상이 심하게 발생되어 있거나 앞으로 심하게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어지는 지역에서는 상기의 주름(122)을 보다 크고 많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100)는 상기 평직물지(110)와 상기 주름직물지(120)의 사이에 위치한 보강 철망(130)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보강 철망(130)은 추후에 콘크리트 몰타르가 충진되어 굳어진 상태에서 세굴현상 또는 부분침식에 의해 패브릭 직물포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보강 철망(130)은 가로 철선과 세로 철선이 서로 교차하거나 꼬여져서 망눈 구조를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단일 철선이나 합성수지 끈을 배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보강 철망(130)은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2개의 철선을 서로 꼬아서 4각형 또는 6각형의 망눈 구조로 형성된 것과 상기 2개의 철선 사이에 보강철선을 끼워넣은 5각형 망눈 구조로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의 철망은 나일론과 같은 합성수지를 재질로 구성된 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100)는 상기 평직물지(110)와 상기 주름직물지(120)를 서로 일정한 간격씩 사이를 두고 박음질처리한 결합부(140);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결합부(140)는 통상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는, 상기의 직물지를 서로 재봉기에 의해 재봉질하거나, 클립을 이용하여 클립 체결하거나, 별도의 철선으로 그 가장자리 부분을 서로 엮어서 결합시키거나, 수작업 또는 기계적인 작업을 통하여 클립이나 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에서는 별도의 철선으로 엮어서 결합시킨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100)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강변의 제방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100)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타르(150)를 강제로 주입시킬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100)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타르(150)를 완전히 충진시켰을 경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100)를 시공한 이후 그 저면에 세굴현상이 발생되었을 경우, 그에 대한 대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기초적인 경사면 정리단계 :
이는 하천 등의 제방이나 기타 경사면을 본 발명에 의한 공법으로 시공하기 위하여 그 작업장소를 선택하고 준비작업을 시행하는 기본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작업이 수행될 하천이나 제방 또는 기타 경사면을 선정하고, 그 경사면을 작업에 적당한 형태로 손질하는 과정을 수행하고, 필요한 원자재를 미리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경사면 정리단계는 작업자가 제방의 경사면을 균일하게 형성할 정도로 정리할 필요는 없으며, 부분 세굴에 의한 웅덩이를 완전히 제거할 필요도 없다. 왜냐하면, 경사면의 부분 세굴에 의한 웅덩이 부분을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하여 효율적으로 메워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의 경사면 정리단계는 다른 시공방법의 경사면 정리단계와는 상이한 측면을 갖는다.
2). 패브릭 직물포대의 부분적인 부풀기 단계 :
본 발명은 하천의 제방 등에 기초적인 경사면 정리단계가 마무리되어지면, 그 위에 패브릭 직물포대를 펼쳐 놓는 단계로 이행되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패브릭 직물포대(100)는 작업이 진행되어질 경사면의 위에 쭈욱 펼쳐놓음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의 패브릭 직물포대(100)는 작업장의 지면에 맞닿게 되고 기본적인 길이를 형성하게 되는 저면의 평직물지(110)와; 상기 저면 직물지에 대응되어지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지며 그 중간부위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상면의 주름직물지(120)와; 상기 평직물지와 상기 주름직물지의 사이에 위치하고 그 사이에 충진되어질 콘크리트 몰타르(150)의 파손을 방지하게 해주는 보강 철망(130)과; 상기 평직물지와 상기 주름직물지를 서로 일정한 간격씩 사이를 두고 박음질처리한 결합부(140);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패브릭 직물포대(100)는 제조공장에서 미리 완제품으로 제조되어지고, 완성된 제품이 시공현장으로 운반되어서 그곳에서 사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패브릭 직물포대(100)는 그의 주입구를 통하여 콘 크리트 몰타르(150)를 강제적으로 주입시킨다. 이러한 강제적인 주입방식은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패브릭 직물포대(100)에 콘크리트 몰타르(150)를 강제주입시키게 되면, 이는 주입구에 가까운 평직물지(110)와 주름직물지(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에서부터 서서히 충진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주름직물지(120)의 주름(122)이 위쪽으로 펼쳐지면서 확장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러한 과정을 순차적이고 계속적으로 진행하게 되면, 도 3과 같이 아래쪽으로 약간 볼록하게 되어있고 위쪽으로 상대적으로 심하게 볼록하게 형성된 유연한 주름판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면에 부분 세굴된 부위가 존재하거나 부분 침하된 부위가 있을 경우, 상기의 유연한 주름판이 그 부위로 밀려내려가게 되어, 부분 세굴 및 부분 침하된 부위를 메꾸어주게 된다.
3). 패브릭 직물포대의 양생 단계
본 발명은 상기 패브릭 직물포대(100)의 부풀기 단계 이후에, 상기 패브릭 직물포대(100)의 내부에 충진된 콘크리트 몰타르(150)를 서서히 양생시켜 일정한 강도를 지닌 평판으로 전환시키는 패브릭 직물포대의 양생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브릭 직물포대(100)의 양생 단계는 그 내부에 충진된 콘크리트 몰타르의 성분에 의하여 달라지게 되는데, 기본적으로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단계가 마무리되어지면, 상기의 패브릭 직물포대(10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고 부분적으로 돌출부위를 가지고 있는 평판을 형성하게 되는데, 시공이후 다시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세굴현상이 발생되거나 부분침하현상이 발생된 경우, 종전에 비하여 훨씬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그 내부에 포함된 보강 철망(130)에 의한 것으로서, 설혹 부분침하에 의하여 상기 패브릭 직물포대(100)가 절곡되어질 경우에도, 단지 그 부분에서 절곡된 형상 그대로 존재하게 되고, 종래와 같이 콘크리트 절편이 발생되어 떨어져 나갈 염려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도 4는 이러한 현상을 잘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100)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예는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고 있는 상기 주름직물지(120)를 다양하게 설계변경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상기 주름직물지(120)의 주름(122)을 교차적으로 형성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6은 상기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시공하였을 경우 그 상태에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상기 평직물지(110)에 약간의 주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주름 사이에 빈 공간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를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종래와 같이 깬돌 등의 채움재를 전혀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비용을 대폭적으로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깬돌을 얻기 위하여 채석장에 의한 자연환경 파괴의 위험성이 전혀 없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를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은 완성된 제품을 가지고 이것을 작업현장에서 간단히 펼쳐서 사용하면 족하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를 이용할 경우, 시공 이후에 그 하부에서 일부 세굴현상이 발생되거나 부분 침하현상이 발생된 경우에도, 보강 철망에 의한 양호한 굴요성과 그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그 세굴현상이 발생된 부위를 내리눌러서 빈 공간의 발생을 막게 되므로, 더 이상 세굴현상이 발생되거나 지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패브릭 직물포대 및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경사면에 설치되어지고 상부직물과 하부직물 및 결합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공시 콘크리트 몰타르를 충진시키고 양생시켜서 경사면의 세굴현장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직물포대에 있어서,
    a). 작업장의 지면에 맞닿게 되고 기본적인 길이를 형성하게 되는 저면의 평직물지(110)와;
    b). 상기 저면 직물지에 대응되어지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지며 그 중간부위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상면의 주름직물지(120)와;
    c). 상기 평직물지와 상기 주름직물지의 사이에 위치하고 그 사이에 충진되어질 콘크리트 몰타르의 파손을 방지하게 해주는 보강 철망(130)과;
    d). 상기 평직물지와 상기 주름직물지를 서로 일정한 간격씩 사이를 두고 박음질처리한 결합부(14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패브릭 직물포대.
  2. 삭제
  3. 제방 등의 경사면을 시공하기 위하여, 작업을 수행할 제방의 둑을 선정하여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고 그 경사면을 정리하는 경사면 정리단계와; 경사면의 바닥에 패브릭 직물포대를 펼쳐 놓고, 콘크리트 몰타르를 강제적으로 상기 패브릭 직물포대의 내부에 주입시킴으로써, 상면의 주름직물지를 부풀리는 단계와; 상기 패브릭 직물포대를 지면 위에서 서서히 양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있는 패브릭 직물포대를 이용한 경사면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패브릭 직물포대(100)는 1). 작업장의 지면에 맞닿게 되고 기본적인 길이를 형성하게 되는 저면의 평직물지(110)와; 2). 상기 저면 직물지에 대응되어지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지며 그 중간부위에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상면의 주름직물지(120)와; 3). 상기 평직물지와 상기 주름직물지의 사이에 위치하고 그 사이에 충진되어질 콘크리트 몰타르의 파손을 방지하게 해주는 보강 철망(130)과; 4). 상기 평직물지와 상기 주름직물지를 서로 일정한 간격씩 사이를 두고 박음질처리한 결합부(140); 를 포함한 것을 사용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패브릭 직물포대를 이용한 경사면 시공방법.
KR1020060007134A 2006-01-24 2006-01-24 패브릭 직물포대와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 KR100753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134A KR100753045B1 (ko) 2006-01-24 2006-01-24 패브릭 직물포대와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7134A KR100753045B1 (ko) 2006-01-24 2006-01-24 패브릭 직물포대와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550A KR20070077550A (ko) 2007-07-27
KR100753045B1 true KR100753045B1 (ko) 2007-08-30

Family

ID=38502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7134A KR100753045B1 (ko) 2006-01-24 2006-01-24 패브릭 직물포대와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0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123B1 (ko) 2010-04-20 2013-03-05 (주)메카모아 사면 공사용 섬유대
KR20210076654A (ko) * 2019-12-16 2021-06-24 전한용 마찰력 조절이 가능한 시이트형 지오그리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847B1 (ko) * 2010-01-12 2011-06-14 한규희 다용도 직물 포대 및 이를 이용한 토양 충전용 직물 포대
GB2497581A (en) * 2011-12-16 2013-06-19 Andrew Mountain Internal sheet mesh reinforced fabric formwork scour protection apparatus
KR102108823B1 (ko) 2017-09-11 2020-05-11 주식회사 주원이앤씨 사면보강블럭의 세굴방지 및 레벨조정이 가능한 세굴방지수단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7106A (ko) * 1994-03-07 1995-10-16 송재헌 호안(護岸)공사용 지그재그형 섬유대(纖維袋) 및 이를 이용한 호안 공사방법
JPH09125399A (ja) * 1995-11-06 1997-05-13 Okanishi:Kk 土木工事用二重織袋
KR980003094U (ko) * 1997-10-07 1998-03-30 강성환 섬유거푸집용와이어메시구조물구조
JP2002212931A (ja) * 2001-01-16 2002-07-31 Taiyo Kogyo Corp 護岸被覆工
KR20050002232A (ko) * 2003-06-30 2005-01-07 농업기반공사 몰탈 주입용 유공관 앵커를 이용한 사면보호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7106A (ko) * 1994-03-07 1995-10-16 송재헌 호안(護岸)공사용 지그재그형 섬유대(纖維袋) 및 이를 이용한 호안 공사방법
JPH09125399A (ja) * 1995-11-06 1997-05-13 Okanishi:Kk 土木工事用二重織袋
KR980003094U (ko) * 1997-10-07 1998-03-30 강성환 섬유거푸집용와이어메시구조물구조
JP2002212931A (ja) * 2001-01-16 2002-07-31 Taiyo Kogyo Corp 護岸被覆工
KR20050002232A (ko) * 2003-06-30 2005-01-07 농업기반공사 몰탈 주입용 유공관 앵커를 이용한 사면보호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123B1 (ko) 2010-04-20 2013-03-05 (주)메카모아 사면 공사용 섬유대
KR20210076654A (ko) * 2019-12-16 2021-06-24 전한용 마찰력 조절이 가능한 시이트형 지오그리드
KR102311312B1 (ko) * 2019-12-16 2021-10-08 전한용 마찰력 조절이 가능한 시이트형 지오그리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7550A (ko) 200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4336B2 (en) Fine-grained fill reinforc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902327B1 (ko) 지오튜브를 이용한 제방축조 및 매립공법
KR100753045B1 (ko) 패브릭 직물포대와 이것을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
RU2432431C2 (ru) Длинном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рских и речных гидротехнических сооружений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60027646A (ko) 해안 및 하안의 침식방지용 제방축조를 위한 토목섬유 튜브공법의 항구적인 제방 시공방법과 제방축조물
KR20070077549A (ko) 개비온 메쉬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시공방법
JP4827165B2 (ja) 長尺土嚢ドレーン補強工法
KR20110046209A (ko) 교량 교각기초 보강 및 세굴방지 시공 방법 및 그 구조물
JP6676462B2 (ja) 堤防補強工法
KR20070007688A (ko) 지오텍스타일-개비온 매트리스 복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친환경 사면 구조물 구축방법
KR200409161Y1 (ko) 개비온 옹벽의 축조방법에 적합한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
KR20020024136A (ko) 해안침식방지용 구조물과 그 구조물의 제방축조시공방법
GB2469646A (en) A geotechnical structure 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and vertical panels
KR102486882B1 (ko) 다양한 배열로 연결가능한 방재벽
KR200409162Y1 (ko)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축조방법에 적합한 개비온 메쉬 웹
Heerten Geotextiles in coastal engineering—25 years experience
JP3472708B2 (ja) 法面及び護岸擁壁用構造物及びその施工法
EP3526410B1 (en) Artificial breakwater reef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KR100701300B1 (ko) 개비온 메쉬 웹을 이용한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축조방법
Pilarczyk Geotextiles and geosystems in dike and coastal design
KR100701299B1 (ko) 조립판넬 개비온 박스를 이용한 옹벽의 축조방법
JP4620408B2 (ja) 築堤用土嚢及びそれを用いた築堤工法
JP6262183B2 (ja) 水和硬化バッグ及びそれを用いた固定構造物設置方法
KR102706845B1 (ko) 매립토 유출방지구조와 그 시공방법
KR102329872B1 (ko) 플러크 개비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