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864Y1 - 지지관체의 제작장치 - Google Patents

지지관체의 제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864Y1
KR200239864Y1 KR2020010009699U KR20010009699U KR200239864Y1 KR 200239864 Y1 KR200239864 Y1 KR 200239864Y1 KR 2020010009699 U KR2020010009699 U KR 2020010009699U KR 20010009699 U KR20010009699 U KR 20010009699U KR 200239864 Y1 KR200239864 Y1 KR 200239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joint
core
support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6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호균
Original Assignee
나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호균 filed Critical 나호균
Priority to KR20200100096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8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864Y1/ko

Links

Landscapes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지관체의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로등 지주 또는 신호등 지주 및 신호등 걸이대 등과 같은 지지관체를 절곡 제작함에 있어서, 관상을 절곡된 관체의 접합부를 곡면으로 가압 절곡하고, 이를 용접함과 더불어 배출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제작된 지지관체를 분리하므로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지지관체를 제작할 수 있도록 절곡다이(10)와 지주심체(21), 측면 절곡부(30), 접합 절곡부(40), 용접부(50), 냉각부(60) 및 분리배출부(70)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지관체의 제작장치{Pipe type lamp rack stay manufacture device}
본 고안은 지지관체의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등 지주 또는 신호등 지주 및 신호등 걸이대 등과 같은 지지관체를 절곡 제작함에 있어서, 관상을 절곡된 관체의 접합부를 곡면으로 가압 절곡하고, 이를 용접함과 더불어 배출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제작된 지지관체를 분리 배출시키므로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지지관체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 지주 또는 신호등 지주 등와 같은 지지관체는 판재를 롤링절곡한 후 접합부를 용접하여 지지관체를 제작하였으나, 그 제작을 위하여는 대형의 로울러를 필요로 하고 많은 작업인원과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 출원인은 특허 1997-64313호에 출원된 바와 같이 절곡다이에 올려진 판재를 지주심체에 의하여 반원형으로 1 차 절곡하고, 상기 1 차 절곡된 반원형의 제품을 양측에서 지주심체를 중심으로 가압 절곡하여 관체를 형성한 후 접합부를 용접하여 지지관체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지지관체 절곡장치는 그 절곡이 반원상으로 절곡하는 1 차 절곡과, 관상으로 절곡하는 2 차 절곡으로만 이루어져 있어 판재의 스프링백 특성등으로 인하여 접합부가 곡면을 이루지 못하여 제품불량이 발생하였으며, 별도의 가공공정을 통하여 돌출부를 연마하여야 하는 등 제작상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가로등 지주 또는 신호등 지주 및 신호등 걸이대 등과 같은 지지관체를 절곡 제작함에 있어서, 관상을 절곡된 관체의 접합부를 곡면으로 가압 절곡하고, 이를 용접함과 더불어 배출액츄에이터에 의하여 제작된 지지관체를 분리하므로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지지관체를 제작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주요구성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1 차 절곡공전전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1 차 절곡공정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2 차 절곡공정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3 차 절곡공정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용접공정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용접공정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냉각공정도.
도 9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분리배출공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재 2 : 지지관체
10 : 절곡다이 11 : 절곡홈
21 : 지주심체 21a: 걸림홈
22 : 심체 액츄에이터 22a: 심체고리
30 : 측면 절곡부 31 : 측면 절곡기 32 : 측면 액츄에이터
40 : 접합 절곡부 41 : 접합 액츄에이터
50 : 용접부 51 : 용접기 52 : 용접액츄에이터
53 : 가이드레일
60 : 냉각부
70 : 분리배출부
71 : 심체구속부 72 : 분리액츄에이터 73 : 분리판
80 : 지주 81 : 측향 액츄에이터
91 : 배출클램프 92 : 쿠션로울러 93 : 배출로울러
101 : 1 차 절곡공정 102 : 2 차 절곡공정 103 : 3 차 절곡공정
104 : 용접공정 105 : 냉각공정 106 : 분리배출공정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지지관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판재(1)를 반원상으로 절곡가공하는 1 차 절곡공정(101)과, 상기 1 차절곡공정(101)을 통하여 반원상의 가공품을 양측에서 지주심체(21)를 중심으로 가압하여 관상으로 절곡 가공하는 2 차 절곡공정(102)과, 상기 2 차 절곡공정(102)을 통하여 관상으로 절곡가공된 가공품의 접합부가 곡면을 이루게 가압절곡하는 3 차 절곡공정(103)과, 상기 3 차 절곡공정(103)을 통하여 가공품의 접합부를 융착시키는 용접공정(104)과, 상기 용접공정(104)을 통하여 용접이 이루어진 용접부위를 냉각하는 냉각공정(105)과, 상기 냉각공정을 통하여 냉각된 가공품을 절곡다이(10)로부터 이격시킨 후 선단을 밀어 지주심체(21)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지지관체(2)를 배출클램프(91)로 삽지하여 배출시키는 분리배출공정(106)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선단에서 후단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절곡홈(11)을 구비한 절곡다이(10)와, 상기 절곡다이(10)에 안착된 판재(1)를 가압하여 반원상으로 절곡하는 지주심체(21)와, 상기 지주심체(21)에 의하여 반원상으로 가공된 가공품을 양측에서 가압하여 관상으로 절곡하는 측면 절곡부(30)와, 상기 측면 절곡부(30)에 의하여 관상으로 절곡된 가공품의 접합부를 곡면으로 가압 절곡할 수 있게 지주(80)에 구속된 접합 액츄에이터(41)에 의하여 승강되는 접합 절곡부(40)와, 상기 접합 절곡부(40)의 몸체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관상 가공품의 접합부를 융착시키는 용접부(50)와, 상기 접합 절곡부(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융착된 접합부를 냉각시키는 다수의 노즐로 이루어진 냉각부(60)와, 상기 냉각부(60)를 통하여 냉각된지지관체(2)를 지주심체(21)와 절곡다이(10)로부터 분리 배출시키는 분리배출부(70)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측면 절곡부(30)는 반원상으로 가공된 가공품을 관상 가공할 수 있게 내면에 요입된 관상가공홈을 형성하며 지주심체(21)를 중심으로 절곡다이(10)의 양측에 구비되는 측면 절곡기(31)와, 상기 측면 절곡기(31)가 지주심체(21)를 중심으로 출몰되게하는 측면 액츄에이터(32)로 구성하되, 절곡을 위한 가압 완료시점에서 접합부의 가압 절곡을 위한 접합부 가압홈이 형성되게 상기 측면 절곡기(31)의 양단이 서로 접하지 않게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주심체(21)는 접합 절곡부(40)의 승강에 따른 가압력에 의하여 절곡다이(10)의 판재(1)를 반원상 절곡할 수 있게 단부에 결속수단을 구비한 심체 액츄에이터(22)에 의하여 접합 절곡부(40)에 구속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심체 액츄에이터(22)의 결속수단은 로드의 선단에 힌지 결합되어 지주심체(21)의 단부에 걸어지는 심체고리(22a)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분리배출부(70)는 지주심체(21)의 선단부 양측에 요입형성한 걸림홈(21a)을 구속하는 심체구속부(71)와, 상기 심체구속부(71)의 선단에 구비된 분리액츄에이터(72)와, 상기 지주심체(21)의 선단에 끼워 결합되어 분리액츄에이터(72)에 의한 가압력에 의하여 가공완료된 지지관체(2)의 선단을 밀어 분리시키는 분리판(73)과, 심체액츄에이터(22)에 의하여 들어오려진 지주심체(21)의 후단을 쿠션지지하는 쿠션로울러(92)와, 상기 분리판(73)에 의하여 지주심체(21)로부터 분리된 지지관체(2)를 물어 배출시키는 배출클램프(91)과, 상기 배출클램프(91)에 의하여 삽지 배출되는 지지관체(2)를 지지하는 배출로울러(93)로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용접부(50)는 접합 절곡부(40)의 몸체 일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5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접합부 접근수단에 의하여 접합부에 접근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접합부 접근수단은 접합 절곡부(40)의 상승 상태에서 노출된 접합부으로 용접액츄에이터(52)에 의하여 용접기(51)가 돌출 접근되게 실시하거나, 접합 액츄에이터(41)가 구속된 지주(80)에 상기 접합 액츄에이터(41)를 측향 이동시키는 측향 액츄에이터(81)를 구비하여 용접부(50)의 용접기(51)가 지지관체(2)의 접합부에 위치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곡다이(10)와 지주심체(21), 측면 절곡부(30), 접합 절곡부(40), 용접부(50), 냉각부(60) 및 분리배출부(70)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일정 길이와 폭으로 재단된 판재(1)를 절곡다이(10)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접합 액츄에이터(41)를 하강 작동시켜 심체 액츄에이터(22)에 의하여 절합 절곡부(40)의 하단에 구속된 지주심체(21)가 절곡다이(10)에 올려진 판재(1)를 반원상으로 절곡 가공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판재(1)를 반원상으로 절곡 가공한 상태에서 심체 액츄에이터(22)는 돌출시키면서 접합 액츄에이터(41)는 몰입시켜 접합 절곡부(40)만이 상승되게 한다.
연속하여, 상기 지주심체(21)의 양측에 구비된 측면 절곡부(30)의 측면 액츄에이터(32)를 돌출시켜 측면 절곡기(31)가 반원상으로 절곡된 가공품의 양측을 가압하게 하여 상기 가공품이 관상으로 절곡가공되게 한다. 이때, 관상으로 가공된 가공품은 스프링백 현상에 의하여 접합부가 완전히 곡면으로 절곡되지 않고 상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실시하면 불량제품이 생상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2 차 절곡공정(102)을 통하여 관상으로 절곡 가공한 후 접합 액츄에이터(41)를 돌출시켜 접합 절곡부(40)가 상기 측면 절곡기(31)에 의하여 형성된 접합부 절곡홈(11)으로 삽입되며 상부로 돌출된 접합부를 가압하므로서 상기 돌출된 접합부가 곡면으로 절곡 가공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접합부를 곡면 절곡한 후 접합 액츄에이터(41)와 측면 액츄에이터(32)를 몰입시켜 접합 절곡부(40)를 상승시키고 측면 절곡기(31)를 복귀시킨다.
그리고, 용접부접근수단에 의하여 용접부(50)를 접합부에 접근시켜 접합부를 융착에 의하여 접합시킨다. 이때, 지주심체(21)가 들어 있는 상태에서 가공품의 접합부를 용접하므로서 디틀림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접부(50)에 의한 용접이 완료되면 접합부 가압부의 측면에 구비된 냉각부의 노즐에서 냉각수가 분무되어 용접면을 냉각시키고, 냉각이 완료되면 심체액츄에이터(22)가 지주심체(21)를 들어 올려 절곡다이(10)로부터 지지관체(2)가 이격되게 한다. 이때, 들어오려진 지지관체(2)의 후단은 가압력이 상실되면 도출되는 쿠션로울러(92)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지지관체(2)가 절곡다이(10)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분리배출부(70)의 분리액츄에이터(72)를 동작시켜 분리판(73)을 밀어 완성된 지지관체(2)를 지주심체(21)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지주심체(21)로부터 분리된 지지관체(91)는 후단에 구비되며 견인장치에 의하여 견인되는 배출클램프(91)에 의하여 물려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주심체(21)는 판재(1)를 반원상 절곡하는 1 차 절곡공정(101)을 통하여 심체구속부(71)에 구속되어 있는 상태로 분리액츄에이터(72)의 동작에 의한 지지관체(2)의 분리과정에 있어 지주심체(21)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 있어서, 지주심체(21)와 측면 절곡기(31)의 관상가공홈을 다각형으로 형성하므로서 다각 지지관체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지관체를 제작함에 있어 판재를 반원상으로 가공하고 측면에서 가압절곡하여 관상으로 가공한 후 돌출된 접합부를 곡면으로 절곡 가공하므로서 접합부으로 돌출로 인한 제품불량이 방지되고 신속하고 용이하게 지지관체를 제조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4)

  1. 선단에서 후단으로 테이퍼지게 형성된 절곡홈(11)을 구비한 절곡다이(10)와, 상기 절곡다이(10)에 안착된 판재(1)를 가압하여 반원상으로 절곡하는 지주심체(21)와, 상기 지주심체(21)에 의하여 반원상으로 가공된 가공품을 양측에서 가압하여 관상으로 절곡하는 측면 절곡부(30)와, 상기 측면 절곡부(30)에 의하여 관상으로 절곡된 가공품의 접합부를 곡면으로 가압 절곡할 수 있게 지주(80)에 구속된 접합 액츄에이터(41)에 의하여 승강되는 접합 절곡부(40)와, 상기 접합 절곡부(40)의 몸체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관상 가공품의 접합부를 융착시키는 용접부(50)와, 상기 접합 절곡부(40)의 일측에 구비되어 융착된 접합부를 냉각시키는 다수의 노즐로 이루어진 냉각부(60)와, 상기 냉각부(60)를 통하여 냉각된 지지관체(2)를 지주심체(21)와 절곡다이(10)로부터 분리 배출시키는 분리배출부(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관체의 제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절곡부(30)는 반원상으로 가공된 가공품을 관상 가공할 수 있게 내면에 요입된 관상가공홈을 형성하며 지주심체(21)를 중심으로 절곡다이(10)의 양측에 구비되는 측면 절곡기(31)와, 상기 측면 절곡기(31)가 지주심체(21)를 중심으로 출몰되게하는 측면 액츄에이터(32)로 구성하되, 절곡을 위한 가압 완료시점에서 접합부의 가압 절곡을 위한 접합부 가압홈이 형성되게 상기 측면 절곡기(31)의 양단이 서로 접합지 않게 형성하고,
    상기 지주심체(21)는 접합 절곡부(40)의 승강에 따른 가압력에 의하여 절곡다이(10)의 판재(1)를 반원상 절곡할 수 있게 단부에 결속수단을 구비한 심체 액츄에이터(22)에 의하여 접합 절곡부(40)에 구속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관체의 제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배출부(70)는 지주심체(21)의 선단부 양측에 요입형성한 걸림홈(21a)을 구속하는 심체구속부(71)와, 상기 심체구속부(71)의 선단에 구비된 분리액츄에이터(72)와, 상기 지주심체(21)의 선단에 끼워 결합되어 분리액츄에이터(72)에 의한 가압력에 의하여 가공완료된 지지관체(2)의 선단을 밀어 분리시키는 분리판(73)과, 심체액츄에이터(22)에 의하여 들어오려진 지주심체(21)의 후단을 쿠션지지하는 쿠션로울러(92)와, 상기 분리판(73)에 의하여 지주심체(21)로부터 분리된 지지관체(2)를 물어 배출시키는 배출클램프(91)과, 상기 배출클램프(91)에 의하여 삽지 배출되는 지지관체(2)를 지지하는 배출로울러(9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관체의 제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50)는 접합 절곡부(40)의 몸체 일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5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접합 절곡부(40)의 상승 상태에서 노출된 접합부으로 용접액츄에이터(52)에 의하여 용접기(51)가 돌출 접근되게한 접합부 접근수단에 의하여 접합부에 접근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관체의 제작장치.
KR2020010009699U 2001-04-06 2001-04-06 지지관체의 제작장치 KR200239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699U KR200239864Y1 (ko) 2001-04-06 2001-04-06 지지관체의 제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699U KR200239864Y1 (ko) 2001-04-06 2001-04-06 지지관체의 제작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109A Division KR100420262B1 (ko) 2001-04-04 2001-04-04 지지관체의 제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864Y1 true KR200239864Y1 (ko) 2001-10-11

Family

ID=73098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699U KR200239864Y1 (ko) 2001-04-06 2001-04-06 지지관체의 제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8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9246B1 (ko) 할로우 체인 제조방법
KR100420262B1 (ko) 지지관체의 제작장치
JPH11290949A (ja) テーパ角管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200239864Y1 (ko) 지지관체의 제작장치
JP2008510625A (ja) 長手方向にシーム溶接された中空形材を製造する方法及び装置
CN208067040U (zh) 一种金属管件穿芯冷弯装置
CN110814081A (zh) 一种薄壁铜管制造方法及其生产设备
CN107186035A (zh) 冰桶拉伸成型工艺
KR200486688Y1 (ko) 파이프의 데미지 복원 치공구
KR101878601B1 (ko) 용접용 파이프 배관 조인트, 용접용 파이프 배관 조인트 제조장치 및 용접용 파이프 배관 조인트를 이용한 파이프 배관설비 시공방법
KR102065316B1 (ko) 파이프튜브 조립체 제조방법
JP6233987B2 (ja) 管状部材の製造装置
JP2003071531A (ja) 管端拡径プレス
JP2514615B2 (ja) けたの連続製造設備
TW302309B (en)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square and round steel pipe
JP6063646B2 (ja) 管状部材の製造方法
KR102291629B1 (ko) 전기차용 쿨링 파이프의 원형벤딩과 조인트압입이 동시에 구현되는 압입벤딩장치
US3561501A (en) Crimping of wire reinforcing baskets
KR100352788B1 (ko) 판재를 사용하여 플랜지를 갖는 부재의 하이드로포밍방법
CN216632331U (zh) 一种梅花形缩管圆头支架
CN113996683B (zh) 一种金属管侧翻边成型装置及成型方法
KR102435465B1 (ko) 파이프 제조 장치
CN108405663B (zh) 电磁连接套冷拔修复装置及修复方法
KR101613646B1 (ko) 압연용 롤의 슬리브 결합장치
KR20230160185A (ko) 캡새들의 자동 융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