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9542Y1 - 장식용 보석메달 - Google Patents

장식용 보석메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9542Y1
KR200239542Y1 KR2020010010124U KR20010010124U KR200239542Y1 KR 200239542 Y1 KR200239542 Y1 KR 200239542Y1 KR 2020010010124 U KR2020010010124 U KR 2020010010124U KR 20010010124 U KR20010010124 U KR 20010010124U KR 200239542 Y1 KR200239542 Y1 KR 200239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medal
buddha
necklace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오
김해창
Original Assignee
전병오
김해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오, 김해창 filed Critical 전병오
Priority to KR2020010010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95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9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9542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장식용(裝飾用) 또는 장신용(裝身用)으로 사용되는 보석메달에 관한 것으로서, 수정, 루비(ruby), 사파이어(sapphire), 에메랄드(emerald)등 투명성을 갖는 보석류의 뒷면에 선각(線刻)으로 되는 불상(佛像)을 조각하여 메달(medal)형태로 형성시킴으로서, 목걸이 줄에 부착하거나 키홀더등에 끼워 휴대하여 호신용 마스콧(mascot)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고안은 보석류의 중량을 크게 감소시키지 않고, 또한 연마가공된 외형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보석류의 뒷면부분에 선각(線刻)에 의하여 불상(佛像)등을 조각표시하고, 조각선(彫刻線)부분에는 금분(金粉)이나 은분(銀粉)을 충전시켜 선각된 불상등이 표면으로부터 명료하게 관찰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메달형태로 형성하여 목걸이로 착용하거나 휴대하기에 편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용 보석메달{decorative gem-medal}
이 고안은 장식용(裝飾用) 또는 장신용(裝身用)으로 사용되는 보석메달에 관한 것으로서, 수정, 루비(ruby), 사파이어(sapphire), 에메랄드(emerald)등 투명성을 갖는 보석류의 뒷면에 선각(線刻)으로 되는 불상(佛像)을 조각하여 메달(medal)형태로 형성시킴으로서, 목걸이 줄에 부착하거나 키홀더등에 끼워 휴대하여 호신용 마스콧(mascot)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명성을 갖는 자연산 보석류 또는 인공 보석류는 적당한형상으로 연마가공하여 원래의 결정상태 그대로 반지나 악세사리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며, 가공이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한 유리제품에는 입체형이나 조각형의 가공품이 있는 것이나, 보석류에 있어서는 가공의 곤란성과 제품가치의 하락 및 제품중량의 감소등으로 인하여 인물조각상등을 표현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 고안은 보석류의 중량을 크게 감소시키지 않고, 또한 연마가공된 외형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보석류의 뒷면부분에 선각(線刻)에 의하여 불상(佛像)등을 조각표시하고, 조각선(彫刻線)부분에는 금분(金粉)이나 은분(銀粉)을 충전시켜 선각된 불상등이 표면으로부터 명료하게 관찰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메달형태로 형성하여 목걸이로 착용하거나 휴대하기에 편리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 은 이 고안의 확대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 - A 선 단면도
도 3 은 이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보석류, 2 ..... 테두리띠,
3 ..... 결착구, 4 ..... 불상등,
4a ..... 요홈, 5 ..... 금분, 은분
이하 첨부도면에 따라 이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이 고안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A - A선 단면도로서, 자연산 또는 인공으로 합성된 수정,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등과 같은 연마가공한 투명성의 보석류(1)의 외주면을 테두리띠(2)로 둘러쌓고, 결착구(3)를 형성시켜 메달형태로 구성시킨 보석류(1)의 뒷면(1a)부분에 선상(線狀)으로 조각하여서된 불상(4)등을 조각하고, 굴삭된 조각선의 요홈(4a)내에는 금분(5) 또는 은분(5)등을 충전시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이 고안은 보석류(1)의 뒷면에 선각에 의하여 불상등을 조각한 것이므로 보석류의 중량을 크게 감소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것이며, 선각으로 조각된 요홈(4a)내에는 금분(5)이나 은분(5)등을 충전하므로서 빛의 반사에 의하여 보석류(1)의 표면으로부터 뒷면에 조각된 불상(4)등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도 3 에 표시된 바와같이 결착구(3)를 목걸이줄에 결착하여 장신구로서 사용하거나, 키홀더등에 끼워 휴대하고, 자기가 선호하는 불상(4)이 표시된 것을 선택하여 호신용 마스콧으로 삼아 휴대하므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연산 또는 인공합성한 투명성의 보석류(1)를 연마가공하여 외주면을 테두리띠(2)로 둘러쌓고, 결착구(3)를 형성시켜 메달형태로 구성시킨 보석류(1)의 뒷면(1a)부분에 선각(線刻)으로되는 불상(4)등을 조각하고, 굴삭된 조각선의 요홈(4a)내에는 금분(5)등을 충전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보석메달.
KR2020010010124U 2001-04-11 2001-04-11 장식용 보석메달 KR200239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124U KR200239542Y1 (ko) 2001-04-11 2001-04-11 장식용 보석메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124U KR200239542Y1 (ko) 2001-04-11 2001-04-11 장식용 보석메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9542Y1 true KR200239542Y1 (ko) 2001-10-11

Family

ID=7309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124U KR200239542Y1 (ko) 2001-04-11 2001-04-11 장식용 보석메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954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9009B1 (en) Process for placing one faceted stone inside a larger faceted stone to form a single jewelry stone
KR100356922B1 (ko) 보석을이용한장식품
KR200239542Y1 (ko) 장식용 보석메달
CA2296702A1 (en) Ornamental stones
KR200239574Y1 (ko) 장식용 보석메달
JP2002219009A (ja) 乳歯記念指環とその発展型となる立体指環
KR200190600Y1 (ko) 유리장신구
FR2829366A1 (fr) Procede de bijouterie permettant la realisation d&#39;un camouflage
JP3134343U (ja) 装飾品
JPH08103310A (ja) 宝飾品
KR101963645B1 (ko)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제조방법
KR960005452B1 (ko) 전복패를 이용한 진주장신구의 제조방법
JP3235480U (ja) 宝飾体
KR100404582B1 (ko) 브라이트 진주 및 그 가공 방법
KR200316388Y1 (ko) 홀로그램을 이용한 인조보석 장신구
WO2002082940A1 (en) Segmented jewelry item
KR200298171Y1 (ko) 장식보석
KR200275980Y1 (ko) 액세서리용 장식구
KR200229281Y1 (ko) 목걸이용 장식구
JP2007044097A (ja) ペンダントヘッド
JPS5847871Y2 (ja) 指輪のサイズ調節兼用装飾嵌合体
KR20020048081A (ko) 목걸이용 장식구
KR200424144Y1 (ko) 십자가 형상의 장신구
KR200269780Y1 (ko) 브라이트 진주
KR200397659Y1 (ko) 장식용 메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