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850Y1 - 통신용헤드세트 - Google Patents
통신용헤드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38850Y1 KR200238850Y1 KR2019980016484U KR19980016484U KR200238850Y1 KR 200238850 Y1 KR200238850 Y1 KR 200238850Y1 KR 2019980016484 U KR2019980016484 U KR 2019980016484U KR 19980016484 U KR19980016484 U KR 19980016484U KR 200238850 Y1 KR200238850 Y1 KR 20023885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head
- communication
- flange portion
- hook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헤드 세트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중량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장시간 착용시 사용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제거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킨 통신용 헤드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통신 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헤드 세트에 있어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헤드 밴드가 끼워져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안내홈이 형성된 제1밴드 지지체와 상기 제1밴드 지지체와 대응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밀편이 형성된 제2밴드 지지체로 이루어진 밴드부와, 상단으로부터 일정 범위에 걸쳐 안내홈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통공을 갖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고정체와, 내측으로 절곡되는 지지브라켓이 형성된 걸이부재와 상기 걸이부재를 고정체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나사와 커버로 이루어진 걸이구와, 수화구가 구비됨에 따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두부 및 귀에 압박감이나 통증이 전혀 가해지지 않게 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장시간 착용에 따른 피로감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이부재의 외부면 즉 수화구방향의 외부 둘레면이 귀 신체부위 외부면에 밀착되면서 귀 신체부위가 걸이부재의 내부에서 외부로 자연스럽게 노출되어 귀 신체부위에 압박으로 인한 무리를 주지 않으며, 수화구와 고막과의 거리가 밀착되어 소리크기를 적당하게 청취 가능하며 내부에 습기가 없도록 할 수 있으며 휴대 및 보판이 간편·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통신용 헤드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용으로 사용되는 헤드 세트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중량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장시간 착용시 사용자의 귀에 가해지는 압박감을 제거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킨 통신용 헤드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용 헤드 세트(head set)는 통신용 무전기 및 교환기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수신을 위한 수화구와 발신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이 합쳐진 통신 송수화 수단이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일반 통신용 헤드 세트 및 군용 통신장비(무전기 및 교환기)의 부수 장비인 헤드 세트에 관한 것으로 통신용 헤드 세트는 용도별로 여러모양의 헤드 세트가 사용되고 있으나, 첨부 도면 제1도 및 제2도는 귀 부위에 밀착되는 종래의 헤드 세트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1, 2밴드(2, 4), 밴드 조절구(6), 수화구(10) 및 마이크로폰(20)으로 구성되어지며, 이때, 수화구(10)는 스피커(12)가 내장되고 헤드 밴드(2)의 하단이 고정되며 하방으로는 마이크로폰(20)의 지지 및 위치 조절을 위한 브라켓(14)과 조임구(16)가 결합된 케이스(18)와, 전면에 쿠션(22)이 씌워지고 상기 케이스(18)에 내장된 스피커(12)를 차폐하며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밀착판(24)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신용 헤드 세트는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어 중량이 무거워 착용시 사용자의 두부에 압박감을 주게 되고 또한, 수화구의 구조가 넓은 원형판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착용시 사용자의 귀 전체를 감싸게 되어 장시간 착용시 수화구의 압박으로 인해 통증을 유발시키고 귀의 변형을 일으켜 짝귀가 되거나 더운 여름철에는 수화구와 귀의 접촉부위에 통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많은 땀이 발생하게 되므로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드 세트의 구조를 간편화하여 중량을 최소화하고 헤드 밴드를 절첩식으로 하여 착탈이 용이하며 수화구의 구조를 간단하고도 소형화하고 착용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걸이구를 형성하여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귀에 통증이나 압박감을 전혀 가해지지 않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통신용 헤드 세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통신 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통신용 헤드 세트에 있어서, 일측단에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반대측단으로부터는 헤드 밴드가 끼워져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안내홈이 형성된 제 1밴드 지지체와 선단에는 상기 제1밴드 지지체와 대응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밀편이 형성된 제2밴드 지지체로 이루어진 밴드부와, 일측면에는 상단으로부터 일정 범위에 걸쳐 안내홈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통공을 갖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고정체와, 일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지지브라켓이 형성된 걸이부재와 체결나사로 상기 걸이부재를 고정체에 결합하기 위한 커버로 이루어진 걸이구와, 스피커와 케이스가 일체로 된 수화구가 구비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내측단 전면에는 환형의 돌편이 돌출되고 배면에는 요홈과 스토퍼가 형성된 고정축이 돌출된 특징을 갖는다.
제1도는 종래의 통신용 헤드 세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통신용 헤드 세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헤드 세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헤드 세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헤드 세트의 밴드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드 세트 30 : 밴드부
31,35,43 : 플랜지부 32 : 헤드 밴드
33 : 안내홈 34 : 제1밴드 지지체
36 : 밀편 37 : 제2밴드 지지체
38 : 고정 스크류 40 : 고정체
41 : 안내홈 42 : 통공
44 : 회동홈 50 : 걸이구
51 : 지지브라켓 52 : 걸이부재
53 : 체결나사 54 : 커버
55 : 돌편 56 : 요홈
57 : 스토퍼 58 : 고정축
60 : 수화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헤드 세트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헤드세트(1)의 밴드부(30)는 일측단에 플랜지부(31)가 형성되고 반대측단으로 부터는 헤드 밴드(32)가 끼워져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안내홈(33)이 형성된 제1밴드 지지체(34)와 선단에는 상기 제1밴드 지지체(34)와 대응되는 플랜지부(35)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밀편(36)이 형성된 제2밴드 지지체(37)로 이루어지고, 고정체(40)는 일측면에는 상단으로부터 일정 범위에 걸쳐 안내홈(4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통공(42)을 갖는 플랜지부(43)가 형성되며, 걸이구(50)는 걸이부재(52)의 일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지지브라켓(51)이 형성되고 걸이부재(52)를 고정체(40)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나사(53)와 커버(54)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수화구(60)는 스피커와 케이스가 일체로 되고, 상기 지지브라켓(51)의 내측단 전면에는 환형의 돌편(55)이 돌출되고 배면에는 요홈(56)과 스토퍼(57)가 형성된 고정축(58)이 돌출된 것을 나타낸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헤드 세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헤드 밴드(32)가 제1밴드 지지체(34)에 끼워져 결합되고 제1밴드 지지체(34)와 제2밴드 지지체(37)는 플랜지부(31, 35)가 고정 스크류(38)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체(40)에 끼워지며, 고정체(40)의 플랜지부(43)에는 걸이부재(52)의 지지브라켓(51)에 돌출된 고정축(58)이 끼워져 체결나사(53)와 커버(54)에 의해 고정되고, 전면에 돌출된 돌편(55)에는 수화구(60)가 끼워져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걸이부재(52)는 통공(42) 선단에 형성된 회동홈(44)과 고정축(58)의 끝단에 형성된 스토퍼(57)에 의해 회전 반경이 제한된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통신용 헤드 세트의 밴드부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밴드부(30)의 제2밴드 지지체(37)를 제1밴드 지지체(34)와 겹쳐지도록 플랜지부(31, 35)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 스크류(38)를 기점으로 ∠180° 회전시키고, 헤드 밴드(32)는 고정체(40)의 안내홈(41)을 따라 그 내부에 삽입되도록 밀어 넣어 헤드 세트(1)를 접은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이 가능한 밴드부(30)와 방향전환 및 거치가 용이한 걸이구(50)와 소형화된 수화구(60)가 구비된 헤드 세트(1)를 구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신을 위해 헤드 세트(1)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제1밴드 지지체(34)와 겹쳐지도록 접어진 제2밴드 지지체(37)를 회전시켜 편다음, 헤드 밴드(32)를 잡아 당겨 고정체(40)로부터 이탈시켜 사용자의 두부에 적당한 곡률의 밴드부(30)를 설정한 후, 이를 두부에 착용함과 동시에 수화구(60)가 결합된 걸이구(50)를 귀에 밀착시켜 수화구(60)를 귓구멍에 삽입하고 걸이부재(52)를 귀에 걸게 되면, 헤드 세트(1)의 착용이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걸이부재(52)의 방향이 착용하고자 하는 귀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거나 착용 중에 수화하고자 하는 귀를 바꾸고자 할 때에는 전자의 경우에는 걸이부재(52)를 일방향으로 ∠180° 회전시켜 방향을 전환시킨 후, 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착용하면 되고, 후자인 경우에는 헤드 세트(1)를 두부로부터 이탈시킨 후, 전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걸이부재(52)를 일방향으로 ∠180° 회전시키고 헤드 세트(1) 전체를 ∠180° 회전시켜 수화구(60)가 반대쪽 귀에 삽입 되도록 하면 된다.
이때, 걸이부재(52)를 회전시킴에 있어, 전선의 꼬임 방지를 위해 걸이부재(52)의 회전 반경을 제한하게 되는데, 이는 지지브라켓(51)의 고정축(58)에 형성된 스토퍼(57)가 고정체(40)의 플랜지부(43) 통공(42) 선단에 형성된 회동흠(55)에 의해 차단되므로 회전반경을 제한하게 되며, 걸이부재(52)의 모양을 다각형태(6각, 8각 등)로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통신 임무를 마치거나 통신 교환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부(30)를 접어 헤드 세트(1)가 차지하게 되는 면적을 최소화함에 따라, 휴대 및 보관이 간편·용이한 것이다.
이와 같이, 헤드 세트의 구조를 간편화하여 중량을 최소화하고 헤드 밴드를 절첩식으로 하여 착탈이 용이하며 수화구의 구조를 간단하고도 소형화하고 착용시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걸이구를 형성한 헤드 세트를 이용함에 따라,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두부 및 귀에 압박감이나 통증이 전혀 가해지지 않게 되어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장시간 착용에 따른 피로감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이부재의 외부면 즉 수화구방향의 외부 둘레면이 귀 신체부위 외부면에 밀착되면서 귀 신체부위가 걸이부재의 내부에서 외부로 자연스럽게 노출되어 귀 신체부위에 압박으로 인한 무리를 주지 않으며, 수화구와 고막과의 거리가 밀착되어 소리크기를 적당하게 청취 가능하며 내부에 습기가 없도록 할 수 있으며, 휴대 및 보관이 간편·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 통신 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통신용 헤드 세트에 있어서, 일측단에 플랜지부(31)가 형성되고 반대측단으로 부터는 헤드 밴드(32)가 끼워져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안내홈(33)이 형성된 제1밴드 지지체(34)와 선단에 상기 제1밴드 지지체(34)의 플랜지부(31)와 대응되는 플랜지부(35)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밀편(36)이 형성된 제2밴드 지지체(37)로 이루어진 밴드부(30)와; 일측면에는 상단으로부터 일정 범위에 걸쳐 안내홈(4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통공(42)을 갖는 플랜지부(43)가 형성된 고정체(40)와; 일측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는 지지브라켓(51)이 형성된 걸이부재(52)를 고정체(40)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나사(53)와 커버(54)로 이루어진 걸이구(50)와; 스피커와 케이스가 일체로 된 수화구(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헤드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51)의 내측단 전면에는 환형의 돌편(55)이 돌출되고 배면에는 요홈(56)과 스토퍼(57)가 형성된 고정축(58)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헤드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40)의 통공(42) 선단에는 회동홈(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헤드 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6484U KR200238850Y1 (ko) | 1998-09-01 | 1998-09-01 | 통신용헤드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6484U KR200238850Y1 (ko) | 1998-09-01 | 1998-09-01 | 통신용헤드세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5674U KR20000005674U (ko) | 2000-04-06 |
KR200238850Y1 true KR200238850Y1 (ko) | 2001-11-22 |
Family
ID=69516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6484U KR200238850Y1 (ko) | 1998-09-01 | 1998-09-01 | 통신용헤드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38850Y1 (ko) |
-
1998
- 1998-09-01 KR KR2019980016484U patent/KR20023885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5674U (ko) | 2000-04-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08724A (en) | Communications headset having a detachable receiver capsule and cable pivot | |
US4754484A (en) | Convertible handset/headset for telephone | |
US5544253A (en) | Earphone assembly | |
US5446788A (en) | Adjustable telephone headset | |
US5381486A (en) | Communications headset having a universal joint-mounted microphone boom | |
JP3140740B2 (ja) | イヤホンコード収納ケース | |
AU766207B2 (en) | Flexible earhook | |
CA2188260C (en) | Concha headset stabilizer | |
US5469505A (en) | Communications headset having a ball joint-mounted receiver assembly | |
KR20000005092A (ko) | 전화 헤드세트로 변형가능한 전화 핸드세트 | |
US20090285434A1 (en) | Earhook and earbud headset | |
JP2009171303A (ja) | ヘッドホン | |
JPH09307983A (ja) | イヤホン型送受話器 | |
WO2010035358A1 (ja) | イヤホン | |
JP2001333484A (ja) | イヤホン | |
JP4816043B2 (ja) | ヘッドホン装置 | |
KR100905252B1 (ko) | 개방형 청취장치 | |
US4881256A (en) | Adjustable head support for telephone handsets | |
KR200238850Y1 (ko) | 통신용헤드세트 | |
JPH0617429Y2 (ja) | 片耳掛け式スピ−カ装置 | |
KR101754032B1 (ko) | 머리띠 타입 이어셋 | |
US5034979A (en) | Earring adapter for telephone | |
JPH0635593Y2 (ja) | ヘツドホン | |
KR100250543B1 (ko) | 이어 행어를 구비한 귓속 타입 이어폰 | |
JP2657446B2 (ja) | ヘッドホ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