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543B1 - 이어 행어를 구비한 귓속 타입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 행어를 구비한 귓속 타입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543B1
KR100250543B1 KR1019970001330A KR19970001330A KR100250543B1 KR 100250543 B1 KR100250543 B1 KR 100250543B1 KR 1019970001330 A KR1019970001330 A KR 1019970001330A KR 19970001330 A KR19970001330 A KR 19970001330A KR 100250543 B1 KR100250543 B1 KR 100250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hanger
stopper
earphone
speaker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028A (ko
Inventor
양 빌
Original Assignee
양 빌
코트론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 빌, 코트론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양 빌
Priority to KR1019970001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543B1/ko
Publication of KR19980066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편안하고 단단하게 부착되는 이어 행어를 구비하는 귓속 타입 이어폰이 개시된다. 상기 이어폰은 하나의 귓속 타입 스피커 요소 또는 한 쌍의 스피커 요소를 구비한다. 케이블은 일 끝단이 워크맨과 같은 원격 소리 출처 장치로부터 소리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스피커 요소에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의 다른 끝단에 연결된 플러그는 워크맨내의 해당 소켓에 삽입된다.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는 한쪽 끝단이 스피커 요소에 추축으로 장착되며, 다른 끝단은 세로 축을 따른 미끄러짐 이동을 가능케 하는 슬라이딩 슬리브내에 수용된다. 행어는 일체로 형성된 귓바퀴 스토퍼 끝단과, 구부러진 고리 부분과, 귓볼 스토퍼 끝단을 포함한다. 상기 귓바퀴 스토퍼 끝단은 행어의 일 끝단이 고정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 슬리브에 장착되며, 상기 구부러진 고리 부분은 사람의 외부 귓바퀴 뒤쪽의 경계면을 따라 윤곽을 이루며, 상기 귓볼 스토퍼 끝단은 유양 돌기 뼈와 귓볼 사이의 함몰부를 지지하도록 행어의 다른 끝단에서 연장된다.

Description

이어 행어를 구비한 귓속 타입 이어폰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어 행어를 구비한 귓속 타입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어 행어의 인간 환경 공학적인 스토퍼(stopper) 디자인과, 스피커 요소(speaker element)가 전체 귀에 맞도록 세로로 또는 회전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수단을 사용하여 사람의 외부 귀에 편안하고 단단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이어 행어를 구비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케이블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내부 이어폰은 휴대용 라디오, 스테레오 카세트 플레이어, 오디오 CD(compact disc) 플레이어, 호출기, 또는 이동전화와 같은 오디오 수단과 함께, 관련 오디오 수단으로부터 소리를 듣기 위해 사용자의 귀에 꽂을 수 있는 작은소리 수용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내부 이어폰은 적어도 사용자의 귀에 고정될 수 있는 하나의 스피커 요소(통상적으로 한 쌍의 스피커 요소)와, 상기 스피커 요소를 관련 오디오 장치에 연결시키는 한 쌍의 케이블을 포함한다.
내부 이어폰을 사용하는 동안, 스피커 요소를 관련 오디오 수단에 연결시키는 다소 길고 쭉 뻗은 케이블은 사용자 또는 곁에 있는 사람에 의해 우연히 당겨져서, 스피커 요소가 사용자의 귀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이는 단지 소리의 수용만을 방해하게 되지 않는다. 사용자의 귀로부터 스피커 요소를 강하게 갑자기 잡아당김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상처를 입힐 수도 있으며, 이어폰 세트의 연결에 손상을 줄수도 있다.
따라서, 귓속 타입 이어폰에 부착된 이어 행어가 추가된다. 때때로, 마이크로폰(microphone)이 이러한 귓속 타입 이어폰의 사용을 포함하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장치에 추가될 수도 있다.
제1도는 미국 특허 제5,412,73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귀에 고정되는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한 이어 행어가 추가된, 종래에 알려진 귓속 타입 이어폰을 묘사한다. 상기 이어폰 시스템은 스피커 요소(11)와, 사람의 외부 귀 형태의 윤곽을 갖는 이어 행어(12)와, 소리 신호를 스피커 요소(11)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13)과, 소리 신호 수용을 위해 소리 생성 출처의 해당 소켓내에 삽입되는 플러그(14)를 포함한다. 이어 행어(12)의 연장된 부분에 대한 상기 스피커 요소(11)의 연결은, 스피커 요소(11)가 귀 안에 편안하게 고정될 때 회전의 자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추축으로 유연하다. 상기 케이블(13)은 이어 행어(12) 내부 채널을 통과하며, 스피커 요소까지 이어진다. 상기 케이블(13)은 이어 행어(12)내에 부분적으로 고정된다.
위에 설명된 이어폰은 스피커 요소와 이어 행어 사이의 연결이 유연함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나이와 신체 형태플 갖는 사용자의 다양한 귀 모양 및 크기에 맞추기 위한 행어 자체의 조절성은 부족하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이 제안되었다. 제2도의 이어폰은 스피커 요소(15)와 이어 행어(17) 사이를 연결하는 추가적인 조절가능한 슬라이딩 부분(16)으로 위에 설명된 이어폰과 차별된다. 따라서, (원형 화살표 B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분(16)에 대하여 추축으로 유연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스피커 요소(15) 역시(양방향 화살표 A로 표시된 위아래 방향으로 스피커 요소의 점선 그림자에 의해 나타낸 것처럼) 이어 행어(17)에 대하여 상대적 위치를 미끄러지며 조절 가능하다. 이는 분명히 제2도의 이어폰에, 제1도의 이어폰보다 많은 형태와 크기의 귀에 적용되는 융통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스피커 요소(15)에 연결되는 케이블(18)의 일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제외하고, 와이어(wire)의 다른 부분들은 이어 행어(17) 내부 채널내에 숨겨질 수 있으며, 이어 행어(17)에 부분적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제1도 및 제2도의 이어폰 모두는 최소한 다음 결점을 갖고 있다. 우선, 스피커 요소로 소리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이 이어 행어 내부에 감춰져 있으며, 이어 행어내에 부분적으로 고정되어 있다는 사실때문에, 스피커 요소가 회전하면, 케이블이 계속해서 꼬이게 된다. 케이블은 스피커 요소에 납땜한 지점이 파손되거나, 소리 신호가 결과적으로 사라져 버릴 수 있다. 둘째로, 이어 행어는 자주 사용자의 외부 귀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구조가 결여된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이어폰 케이블의 불필요한 연장은 이어 행어의 이탈 및 사용자의 편안한 착용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어 행어의 스토퍼 디자인을 이용하여 사람의 외부 귀에 편안하게 부착되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스피커 요소에 케이블을 납땜한 지점의 파손 및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케이블을 이어폰의 스피커 요소에 납땜한 지점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사람의 외부 귀에 편안하고 단단하게 부착되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편안하고 단단하게 부착되는 이어 행어를 구비하는 이어폰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이러한 이어폰은 귓속 스피커 요소와, 케이블과, 플러그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은 일 끝단이 원격장치로부터 소리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스피커 요소에 장착된다. 케이블의 다른 끝단에 장착된 상기 플러그는 원격장치내의 해당 소켓에 삽입된다.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는 한쪽 끝단이 스피커 요소에 추축으로 장착되며, 다른 끝단은 세로축을 따른 미끄러짐 이동을 가능케하고 자유롭게 회전하는 슬라이딩 슬리브내에 수용된다. 행어는 일체로 형성된 귓바퀴 스토퍼 끝단과, 구부러진 고리 부분과, 귓볼 스토퍼 끝단을 포함한다. 상기 귓바퀴 스토퍼 끝단은 행어의 일 끝단이 고정되는 방식으로 슬라이딩 슬리브에 장착된다. 상기 구부러진 고리부분은 사람의 외부 귓바퀴 뒤쪽의 경계면을 따라 윤곽을 이룬다. 상기 귓볼 스토퍼 끝단은 유양돌기 뼈와 귓볼 사이의 함몰부를 지지하도록 행어의 다른 끝단에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이어폰은, 본 발명의 이어폰이 사람의 외부 귀에 편안하게 부착되도록, 이어 행어의 두개의 인간 환경 공학적인 스토퍼 디자인, 즉, 귓바퀴 스토퍼 끝단 및 귓볼 스토퍼 끝단을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은 스피커 요소의 회전에 의해 케이블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어 행어 안에 감춰지지 않고 노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어폰은 케이블을 스피커 요소에 납땜한 지점의 파손을 방지하며, 이어폰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제1도는 이어 행어(ear hanger)를 구비한 종래의 귓속 타입 이어폰(in-ear type earphone)을 도시하며,
제2도는 조절 가능한 슬라이딩 부(sliding section)를 포함하는 행어를 구비한 다른 종래의 귓속 타입 이어폰을 도시하며,
제3도는 사람의 외부 귀에 사용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귓속 타입 이어폰을 도시하며,
제4도는 제3도의 귓속 타입 이어폰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귓속 타입 이어폰의 설명을 위한 도면의 제3도 및 제4도를 설명하겠다.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이어폰은 귓속 타입 스피커 요소(in-ear type speaker element)(28)와,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sliding round shaft)(30)와, 슬라이딩 슬리브(sliding sleeve)(32)와, 이어 행어(ear hanger)(42)와, 케이블(cable)(40)과, 플러그(plug)(43)를 구비한다.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30)는 슬라이딩 슬리브(32)내의 세로축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스피커 요소(28)는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30)의 일 끝단에 부착되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30)에 대하여 피봇 회전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되었듯이, 이는 상기 스피커 요소(28)가 회전하는 화살표 D로 나타냈듯이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30)에 대한 피봇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스피커 요소(28)는 귀에 고정시키기에 적합한 구형에 가까운 형태이거나, 물방울 형태를 하고 있다. 스피커 요소(28)는 이주(耳柱)뒤편 및 외부 귀의 개방 관의 귓속에 삽입된 것처럼 편안하게 삽입된다.
한편으로는,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30)는 슬라이딩 슬리브(32) 내부의 세로축을 따라서 그리고 슬라이딩 슬리브(32)에 대하여 미끄러지게 되거나 이를 제한받는다. 이는 도면에서 양방향 화살 C로 개략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행어에 대한 움직임과 관련된 스피커 요소의 결합은 적절하게 조절하면 매우 편안한 본 발명의 이어폰을 착용케 한다.
스피커 요소(28)가 추축으로 부착된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30)의 일 끝단의 맞은편 끝단에는, 스토퍼 블록(stopper block)(31)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스토퍼 블록(31)은, 스피커 요소(28)가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도면에서 보듯이 아래방향으로 미그러질 때,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30)가 이어폰의 다른 요소들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이용된다. 상기 스토퍼 블록(31)은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30)보다 큰 직경을 가진 구조의 확대부분일 수 있으며, 이는 슬리브(32)의 슬라이딩 보어(sliding bore) 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다.
상기 이어 행어(42)는 일반적으로 사람의 외부 귀 뒤쪽의 외부 만곡을 따라 형성되는 형태를 띠고 있다. 본래, 이는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었듯이 세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제4도에서, 제1부분은 일반적으로 도면에서 두개의 점선 사이의 부분으로 나타내어진 귓바퀴 스토퍼 끝단(34)이다. 본 귓바퀴 스토퍼 끝단(34)은 슬라이딩 슬리브(32)의 본체에 직접 장착되며, 짧은 돌출 끝단(41)을 갖는다. 상기 돌출 끝단(41)은 이어 행어(42)에 의한 슬라이딩 슬리브(32) 부착 지점으로부터 끌어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도면에서 상응하는 두개의 점선사이의 부분으로 나타내어지는 구부러진 고리 부분(36)이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외부 귓바퀴(22)와 사람의 머리(20) 부분 사이의 경계선(23)을 따라 형성되는 윤곽을 갖는 긴 부분이다. 사람의 외부 귓바퀴는, 단지 사람의 외부 귀의 일반적인 형태를 보여주기 위해, 도면에서 윤곽선(22)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구부러진 고리 부분(36)에 이어, 상기 이어 행어(42)는,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도면에서 상응하는 두개의 점선사이의 부분으로 나타내어진 귓볼 스토퍼 끝단(38)을 구비한다. 상기 귓볼 스토퍼 끝단(38)은 일반적으로 귓볼(26)과 연결된 유양 돌기 뼈(미도시) 뒤쪽 외부 귀의 함몰 부분을 받치는 데 사용된다. 도면에서 보듯이, 상기 귓볼 스토퍼 끝단(38)은 대체로 반원의 윤곽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행어(42)는 일반적으로 세 부분, 즉, 귓바퀴 스토퍼 끝단(34)이고, 구부러진 고리 부분(36)과, 귓볼 스토퍼 끝단(3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 부분은 사람의 외부 귀 뒤에 편안하게 착용되도록 충분히 유연하고 탄력있는 적절한 재질을 사용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케이블(40)은, 상응하는 장치의 소켓에 플러그(43)를 삽입함으로써 멀리 떨어진 장치로부터 소리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스피커 요소(28)에 연결된다.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본 외부 신호발생 장치는 예를 들어, 본 기술에서 널리 알려진 워크맨 카세트(walkman cassette), 또는 CD 플레이어(CD player), 또는 라디오 수신기(radio receiver)일 수 있다.
제4도에서, 이어폰은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45로 나타내어진 점선 상자안에 둘러싸인 시스템으로 도시된다. 본 이어폰은 스피커 요소(28)와,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30)와, 슬라이딩 슬리브(32)와, 이어 행어(42)를 포함하는 구조이며, 케이블(40)과 상응하는 플러그(43)에 의해 신호 출처와 연결된다. 예시된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40)은 스피커 요소(28)와 직접 연결함으로써 이어폰 시스템 외부로 노출된다.
제4도의 단일 이어폰(45)은 이동전화 또는 라디오 수신기와 같은 모노 적용을 위한 이어폰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 이용된다. 그러나, 한 쌍의 유사한 이어폰(45) 또한 워크맨 또는 스테레오 라디오 방송으로 여가 음악을 즐기기에 알맞은 스테레오 이어폰 시스템(stereo earphone system)을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설명된 이어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용되면, 상기 이어 행어(42)가 사람의 외부 귓바퀴 뒤에 편안하고 단단하게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전체 귓바퀴를 공동으로 붙드는 귓바퀴 스토퍼 끝단(34) 및 귓볼 스토퍼 끝단(38)과, 귓바퀴 뒤쪽의 윤곽선을 편안하게 따라가는 구부러진 고리 부분(36)을 구비함으로써 얻어진다.
한편, 상기 케이블(40)은 이어 행어(42) 안에 감춰지지 않았으며, 사용자의 몸이 위치를 바꿈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었으므로, 케이블이 꼬이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는 케이블(40)이 스피커 요소(28)에 납땜된 지점이 손상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어폰 수명의 연장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로써,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반대로, 첨부된 청구항의 의도 및 범위내에 포함된 다양한 수정 및 유사한 구조들에 적용되며, 상기 범위는 그러한 모든 수정과 유사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도록 가장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귓속 타입 스피커 요소; 플러그; 일 끝단이 상기 스피커 요소에 연결되고, 다른 끝단이 상기 플러그에 연결된 케이블; 일 끝단이 상기 스피커 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 상기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의 다른 끝단을 수용하며,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의 세로 축을 따른 미끄러짐 이동을 가능케 하는 슬라이딩 슬리브; 상기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가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 및 일체로 형성된 귓바퀴 스토퍼 끝단- 여기서 귓바퀴 스토퍼 끝단은 이어 행어의 일 끝단이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에 장착됨-과, 구부러진 고리 부분과, 귓볼 스토퍼 끝단-여기서 귓볼 스토퍼 끝단은 이어 행어의 다른 끝단에서 연장됨-을 포함하는 이어 행어를 포함하는 귓속 타입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귓볼 스토퍼 끝단이 일반적으로 귓볼과 유양 돌기 사이의 함몰부를 지지하기 위해 반원 형태의 윤곽을 이루는 이어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행어가 유연하고 탄력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이어폰.
  4. 각각이 이어 행어를 갖는 한쌍의 이어폰을 구비하는 스테레오 귓속 타입 이어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각각이, 귓속 타입 스피커 요소; 플러그; 일 끝단이 상기 스피커 요소에 연결되고, 다른 끝단이 상기 플러그에 연결된 케이블; 일 끝단이 상기 스피커 요소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 상기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의 다른 끝단을 수용하며,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의 세로 축을 따른 미끄러짐 이동을 가능케 하는 슬라이딩 슬리브; 상기 둥근 슬라이딩 샤프트가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 및 일체로 형성된 귓바퀴 스토퍼 끝단- 여기서 귓바퀴 스토퍼 끝단은 이어 행어의 일 끝단이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슬라이딩 슬리브에 장착됨-과, 구부러진 고리 부분과, 귓볼 스토퍼 끝단-여기서 귓볼 스토퍼 끝단은 이어 행어의 다른 끝단에서 연장됨-을 포함하는 이어 행어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이어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귓볼 스토퍼 끝단이 일반적으로 귓볼과 유양 돌기 사이의 함몰부를 지지하기 위해 반원 형태의 윤곽을 이루는 스테레오 이어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 행어가 유연하고 탄력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스테레오 이어폰 시스템.
KR1019970001330A 1997-01-17 1997-01-17 이어 행어를 구비한 귓속 타입 이어폰 KR100250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330A KR100250543B1 (ko) 1997-01-17 1997-01-17 이어 행어를 구비한 귓속 타입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330A KR100250543B1 (ko) 1997-01-17 1997-01-17 이어 행어를 구비한 귓속 타입 이어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028A KR19980066028A (ko) 1998-10-15
KR100250543B1 true KR100250543B1 (ko) 2000-04-01

Family

ID=1949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330A KR100250543B1 (ko) 1997-01-17 1997-01-17 이어 행어를 구비한 귓속 타입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5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33B1 (ko) 2009-02-10 2010-04-26 지디텍 주식회사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WO2011025163A2 (ko) * 2009-08-31 2011-03-03 Pack Eui-Bong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6877A (ko) * 2000-03-03 2001-09-15 나종환 소형음향기기류(라디오,카셋트플레이어,cd플레이어,dvd플레이어,mp3 플레이어류)의 귀걸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33B1 (ko) 2009-02-10 2010-04-26 지디텍 주식회사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WO2011025163A2 (ko) * 2009-08-31 2011-03-03 Pack Eui-Bong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WO2011025163A3 (ko) * 2009-08-31 2011-06-03 Pack Eui-Bong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028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9615A (en) In-ear type earphone having an ear hanger
US4972468A (en) Transceiver for hanging on an ear
US6690808B2 (en) Personal earphone assembly for mounting upon eyeglasses
US6233345B1 (en) Personal earphone assembly for mounting upon eyeglasses
US7123737B2 (en) Ear clasp headset
US6427018B1 (en) Adjustable earphones for personal audio and communication systems
US5708724A (en) Communications headset having a detachable receiver capsule and cable pivot
US10003878B2 (en) In-the-ear earphone, its variations and methods of wearing the earphone
US20040105566A1 (en) Body set type speaker unit
US20020012441A1 (en) Body set type speaker unit
US20160100237A1 (en) Integrated Personal Electronic Device
JPH10509570A (ja) スタンドと共に使用するか、または耳に被せるノイズ消去ヘッドセット
GB2339106A (en) Supporting a microphone around the neck of a user
US7522743B2 (en) High comfort sound delivery system
CA2512733A1 (en) Two-way voic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external acoustic noise reduction
US20070105598A1 (en) Audio headset
US20050100185A1 (en) Personal communications earpiece
US5970155A (en) Headset for hearing protectors
US20020181728A1 (en) Personal communications earpiece
US20030152244A1 (en) High comfort sound delivery system
KR100250543B1 (ko) 이어 행어를 구비한 귓속 타입 이어폰
GB2347042A (en) Earphone - microphone set with ear mounting hook
KR200181932Y1 (ko) 귀거리식 이어폰
WO1996002119A1 (en) Tri-laterally supported post-auricle communications headset
KR100231911B1 (ko) 이어폰용 착탈가능한 인코드 이어 행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