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25163A2 -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 Google Patents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25163A2
WO2011025163A2 PCT/KR2010/005249 KR2010005249W WO2011025163A2 WO 2011025163 A2 WO2011025163 A2 WO 2011025163A2 KR 2010005249 W KR2010005249 W KR 2010005249W WO 2011025163 A2 WO2011025163 A2 WO 2011025163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using
ear
speaker device
wireless speaker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524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25163A3 (ko
Inventor
박의봉
Original Assignee
Pack Eui-Bo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08092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955033B1/ko
Application filed by Pack Eui-Bong filed Critical Pack Eui-Bong
Publication of WO2011025163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25163A2/ko
Publication of WO2011025163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25163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57Aspects of electrical interconnection between hearing aid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3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7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ear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9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circuitry

Abstract

본 발명은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을 이루면서 내부에 회로기판과 배터리 및 마이크를 수용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훅크부와, 상기 훅크부의 단부에 설치되면서 내부에 보이스코일과 상기 보이스코일의 자기장에 의해 상호 작용하는 마그네트 및 진동판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귓속에 진입시키는 팁을 포함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훅크부는 내부에 배선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에 힌지축이 연결되어 이 힌지축에 상기 하우징이 캡과 결합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힌지축에 의해 상기 하우징이 상기 훅크부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본 발명은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귀에 걸어 착용시 훅크부의 단부에 구비된 스피커가 내장된 하우징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귓속으로 정확히 꽂아 청취할 수 있도록 하고, 하우징 단부에 조립되는 팁을 회전 조절하도록 하여 좌, 우측의 귀에 모두 착용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진동판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하우징을 통해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전방에 대한 진동 음향 출력을 극대화시켜서 양호한 진동 음향 청취가 가능하며, 장시간 착용에 따른 귓속에서 발생될 수 있는 병균에 의한 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헤드셋, 무선이어폰, 무선보청기와 같이 음향을 청취하기 위한 무선스피커장치들은 선이 없는 형태로 이루어진 제품으로서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송수신방식을 채택하여 휴대폰이나 기타 무선송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음향기기와 무선으로 연결하여 음향을 청취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무선스피커장치는 착용 방식에 따라 헤드폰형과, 백헤드폰형, 이어링형 및 귀걸이형으로 대별되는데, 상기 헤드폰형 및 백헤드폰형 타입의 무선스피커장치는 스테레오 청취가 가능한 것이며, 모노 또는 스테레오 겸용 타입의 음향 청취가 가능한 이어링형의 무선스피커장치의 경우에는 주로 귀걸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한쪽 또는 양쪽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휴대폰, MP3, PMP와 같은 휴대용 음향기기와 무선상으로 통화하거나 음향을 청취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무선스피커장치에 있어서, 특히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는 외관을 이루면서 내부에 회로기판과 배터리 및 마이크를 수용하는 프레임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 연결되어 귀에 걸어 착용하기 위한 훅크부가 구비되어 이 훅크부의 단부에는 내부에 보이스코일과 상기 보이스코일의 자기장에 의해 상호 작용하는 마그네트 및 진동판을 갖는 하우징이 조립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는 귓속에 삽입되는 팁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는 착용에 있어서 훅크부를 귀에 건 상태에서 하우징의 팁을 귓 속에 정확히 끼워야만 팁의 구멍에서 방출되는 음향을 제대로 청취가 가능하다.
하지만 사람의 귀 모양은 서로 다른 형태와 크기를 갖게 되므로서 훅크부와 하우징의 팁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여야 착용시 귀에 압박을 주지 않으면서 팁을 귓속에 정확히 꽂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만 일반적인 종래의 대부분 귀걸이형 무선스피커 장치는 하우징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착용감이 좋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피커가 내장되는 하우징의 위치를 후크부에 대해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 선행 기술로서 특허등록 제 10-0547821호 "무선이어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무선이어폰장치는 하우징의 팁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본체와 스피커 사이에 절첩 가능한 다관절 힌지 조립 구조로 이루어져 귀에 걸쳐지는 훅크부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상기 무선이어폰장치는 스피커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구성이므로 사용자의 귓 구멍의 위치에 따라 자유자재로 옮겨서 귀에 꽂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무선이어폰장치는 대부분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어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으로써 제품 외면이 딱딱한 느낌을 갖는다.
따라서, 귀의 상단부에 걸리는 훅크부 표면은 귀의 피부에 직접 접촉될 수 밖에 없는데, 특히, 종래 선행 기술 무선이어폰장치는 훅크부의 절첩되는 관절부가 귀의 상단과 접촉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귀에 압박이 심하게 가해져서 착용감이 매우 좋지 않았으며, 그로 인해 오랜시간 착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대부분의 스피커장치는 음향을 발생시키는 진동판조립체가 하우징에 장착될 때 그 전방을 제외한 나머지 외면이 하우징과 면접촉을 하여 조립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진동판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하우징을 통해서 전달되어 하우징과 떨림을 유발하여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어 제품 품질을 떨어뜨리고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었으며, 진동판조립체의 진동이 감소되어 전방으로 방출되는 음향 출력을 저하시키게 됨으로써 저음질의 음향이 발생되는 큰 문제도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 무선스피커장치 중에서 상기 무선보청기는 한쪽 귀에 착용하기 위해 귀걸이형으로 구성된 제품의 경우 한쪽 귀에만 착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 단부에는 귓속에 끼우기 위한 팁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팁은 귓 구멍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귓속까지 깊숙히 끼워지도록 팁의 단부가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선보청기를 한쪽 귀에만 오랜 시간 착용하는 경우 귀에 통증을 유발하게 되어 다른 쪽 귀에 착용하고 싶지만 종래의 무선보청기와 같은 제품에는 팁의 경사진 방향을 대칭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반대 쪽 귀에 착용할 수 없는 문제가 내제되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무선이어폰장치는 본체와 스피커를 연결하는 배선이 관절 구조로 이루어진 훅크부 내부를 통하여 연결되는데, 이때 절첩 힌지 부위를 통과하는 배선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다.
이로 인해, 초기 제품 금형 제작 비용이 매우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며, 배선을 연결하는 과정과 배선이 있는 상태에서 관절들을 서로 연결하여 조립하는 작업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워 생산성이 매우 낮은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이러한 복잡한 다관절 구조 때문에 무선이어폰장치를 미려하게 디자인하지 못하는 한계도 있었다.
한편, 무선스피커장치를 오랜 시간 착용하다 보면 귓속 내부로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하우징 팁의 외면이 귓속 내벽과 접촉되면서 외부에서 유입된 병균에 의한 여러가지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직업상 무선스피커장치를 많이 착용하는 사용자나 무선보청기와 같이 항상 착용하고 있어야 하는 청각장애인의 경우 특히 귀 질환의 발생률이 높은 문제가 내재되어 있었다.
결국, 소비자들은 디자인적으로 매우 미려하고 착용감이 양호하며, 오랜시간동안 착용하여도 귀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사용자 마다 귓 구멍 위치가 달라도 하우징의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하여 귓속에 팁 부분을 정확히 끼워 고음질의 음향 청취가 가능하고, 특히, 한 개로 구성되는 무선 보청기와 같은 귀걸이형 스피커장치의 경우 좌측 또는 우측 귀에 선택적으로 옮겨가며 오랜시간 착용하여도 착용감이 양호하며, 귀 질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귀에 걸어 착용시 훅크부에 대하여 스피커가 내장된 하우징의 굴곡 또는 회전 조절이 가능하여 하우징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귓속으로 정확히 꽂아 청취할 수 있도록 된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스피커장치를 사용할 때 좌측 또는 우측의 귀에 모두 착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진동판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하우징을 통해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전방으로 진동 음향 출력을 극대화시켜서 양호한 음향 청취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훅크부 내부로 배선 처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진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장기간 착용에 따른 귓속에서 발생될 수 있는 병균에 의한 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는, 외관을 이루면서 내부에 회로기판과 배터리 및 마이크를 수용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훅크부와, 상기 훅크부의 단부에 설치되면서 내부에 보이스코일과 상기 보이스코일의 자기장에 의해 상호 작용하는 마그네트 및 진동판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귓속에 진입시키는 팁을 포함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훅크부는 내부에 배선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에 힌지축이 연결되어 이 힌지축에 상기 하우징이 캡과 결합되어 연결됨으로써 상기 힌지축에 의해 상기 하우징이 상기 훅크부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훅크부는 내부에 배선을 위한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에 힌지축이 연결되어 이 힌지축에 상기 하우징이 캡과 결합되어 연결되어 있되, 상기 힌지축의 중간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과 캡의 마주하는 내부에는 상기 힌지축이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힌지축을 감싸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의 걸림턱이 상기 수용부 내에서 일정 구간 제한적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양 측으로 각각 멈춤턱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의 걸림턱 일단에는 회전제한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과 캡의 마주하는 내부의 수용부 일단에는 상기 회전제한돌기가 수용되면서 상기 회전제한돌기가 힌지축의 회전시 일정 구간의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힌지축의 회전을 일정 구간 제한하는 회전제한홈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이 힌지축에 대해 자체 회전이 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마다 귓 구멍의 위치가 차이가 있더라도 자신에게 맞도록 하우징의 위치를 조절하여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을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에도 이동 구간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을 회전하여 조절할 때, 360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 구조가 구비되어 있어서 힌지축 내부 및 하우징 내부에 인입되어 연결된 배선이 꼬임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기 때문에 좌측 또는 우측 귀에 착용시 하우징을 180도 회전시켜 양쪽 귀에 모두 착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진동판을 포함하는 진동판조립체가 상기 리브에 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진동판조립체가 하우징에 수용되면서 면접촉하지 않고 점접촉된 상태로 조립됨으로써 진동판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확산되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우징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이 전혀 없게 되고, 진동 출력이 전방으로 집중되어 출력됨으로써 양질의 음향 출력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훅크부와 상기 힌지축은 탄성연결체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이 상기 훅크부에 대하여 굴곡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연결체는 관 형태로 되어 있고, 그 내부를 통과하는 전선은 상기 탄성연결체 내부에서 코일 형태로 이루어져서 탄성연결체의 굴곡에 대하여 여분의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연결체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바라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주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훅크부의 단부와 하우징 사이에 탄성연결체가 부가적으로 조립됨으로써 하우징의 위치를 조절할 때 탄성연결체의 굴곡 기능에 의해 위치를 더욱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하우징 위치 조절시 탄성연결체 내부에 통과되는 배선이 꼬이거나 당겨지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는 외관을 이루면서 내부에 회로기판과 배터리 및 마이크를 수용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훅크부와, 상기 훅크부의 단부에 설치되면서 내부에 보이스코일과 상기 보이스코일의 자기장에 의해 상호 작용하는 마그네트 및 진동판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귓속에 진입시키는 팁을 포함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훅크부는 내부에 배선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면서 전체적으로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고, 그 단부에 힌지축이 연결되어 이 힌지축에 상기 하우징이 캡과 결합되어 연결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훅크부의 자체 재질이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적절한 탄력을 가지는 탄성체로 구성됨으로써 그 단부에 연결된 하우징의 위치를 더욱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그 내부에 통과되는 배선 또한 하우징 위치 조절시에 전혀 꼬이지 않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훅크부는 측 방향으로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훅크부의 굴곡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훅크부의 재질상 탄력을 가지고 있지만 하우징의 위치를 가변할 때 탄성 복원에 의한 반발을 줄이기 위해 통공을 측방향으로 형성한 것이며, 이는 훅크부의 외관 디자인의 미려한 변화도 함께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리브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진동판을 포함하는 진동판조립체가 상기 리브에 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과 팁은 서로 환형의 걸고리 형태로 결합되어 상호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무선보청기와 같이 한쪽 귀에만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귓속으로 진입하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 팁의 방향을 대칭 형태로 하우징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양쪽 귀에 모두 착용하여 음향 청취가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진동판을 포함하는 진동판조립체가 장착되며, 상기 진동판조립체의 전방 중앙에는 자외선엘이디가 부착되어 상기 팁의 내측 중앙으로 형성되는 통로에 인접해 있고, 상기 자외선엘이디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작토록 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진동판조립체의 외면에는 상기 자외선엘이디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선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외선엘이디와 상기 스위치를 연결하는 전선이 상기 전선홈에 인입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팁의 내측으로 자외선엘이디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고 이에 연결된 배선이 꼬이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의 스위치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특히, 무선 보청기를 장기간 착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자외선엘이디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한 귓속 내부의 병균에 대한 살균 작용으로써 귀 질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는, 귀에 걸어 착용시 훅크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스피커가 내장된 하우징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귓속으로 정확히 꽂아 청취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무선보청기와 같이 한쪽 귀에만 착용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를 좌측 또는 우측의 귀에 모두 선택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훅크부가 종래와 같이 다관절로 이루어지지 않고 굴곡이 가능한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내부의 통로를 통하여 배선을 인입시켜 하우징과 프레임 사이의 배선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조립성이 양호하여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진동판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하우징을 통해 분산되지 않도록 하여 전방으로 진동 음향 출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어서 양호한 음질의 음향 청취가 가능하다.
그리고, 훅크부 내부로 배선 처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품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게 됨은 물론, 팁의 내부에 장착되는 자외선엘이디의 살균 작용에 의해 장기간 착용에 따른 귓속에서 발생될 수 있는 병균에 의한 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의 하우징 회전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의 하우징 슬라이드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의 하우징 위치 조절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요부확대 평단면도.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의 좌측 또는 우측 착용시 하우징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하우징부 분해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회로기판 2 : 배터리 3 : 마이크
4 : 진동판조립체 5 : 배선 6 : 스위치
10 : 프레임 20 : 훅크부 21 : 통로
22 : 조립홈 23 : 커버부 24 : 통공
30 : 하우징 31 : 캡 32 : 수용부
33,34 : 멈춤턱 35 : 회전제한홈 36 : 리브
37 : 조립홈 38 : 체결홈 40 : 팁
41 : 체결돌기 42 : 통로 50 : 힌지축
51 : 통로 52 : 걸림턱 53 : 회전제한돌기
60 : 탄성연결체 61 : 공간부 62 : 관
63 : 자바라 64 : 체결링부 70 : 자외선엘이디
71 : 전선홈 D : 간격 100 :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의 하우징 회전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의 하우징 슬라이드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의 착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100)는 무선 보청기에 적용한 것을 일례로 하여 그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선 보청기의 형태는 귀걸이형으로 주로 이루어지는데, 유선형의 곡면 형태의 외관을 이루면서 그 내부에 무선 송수신 및 보청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공지의 회로기판(1)과 배터리(2), 마이크(3) 및 USB단자(7) 등을 수용하기 위한 프레임(1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0)은 한 쌍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 공간에 상기 부품들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USB단자(7)는 다른 무선스피커장치(100)와 별도의 USB코드를 연결하여 양 쪽 귀에 함께 사용할 때 스테레오의 음향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다른 기기와의 연결에 의해 프로그램의 다운이나 공유 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는 귀의 상단에 걸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걸고리 형태로 이루어진 훅크부(20)가 마련된다.
상기 훅크부(20)는 상기 프레임(10)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상호 조립되는 프레임(10)의 단부에 조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훅크부(20)의 단부에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부에 보이스코일과 상기 보이스코일의 자기장에 의해 상호 작용하는 마그네트 및 진동판 등으로 이루어진 진동판조립체(4)가 조립된 하우징(30)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30)의 외측으로는 귓속에 진입시키는 팁(4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기본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100)는 상기 하우징(30)의 위치를 가변시키면서 하우징(30)의 단부에 연결되는 팁(40)이 귓속에 정확하게 집입될 수 있도록 상기 훅크부(20)에 대해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하우징(30)의 회전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훅크부(20)는 내부 중앙에 상기 진동판조립체(4)와 상기 회로기판(1)과 연결되기 위한 배선(5)이 지나가는 통로(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단부에는 힌지축(50)이 추가로 연결되어 이 힌지축(50)에 상기 하우징(30)이 별도의 캡(31)과 결합되어서 상기 힌지축(50)에 의해 상기 하우징(30)이 상기 훅크부(20)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힌지축(50)은 그 내부에 상기 훅크부(20)의 통로(21)와 연통되는 배선(5)을 위한 통로(51)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부가 훅크부(20) 단부에 일체로 조립되는 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50)은 훅크부(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서로 끼움공차에 의한 억지 끼움 또는 접착제 및 나사 조립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훅크부가 종래와 같이 다관절로 이루어지지 않고 굴곡이 가능한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그 내부의 통로를 통하여 배선을 인입시켜 하우징과 프레임 사이의 배선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조립성이 양호하여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캡(31)은 하우징(30)과 함께 상기 힌지축(50)을 수용하여 하우징(30)이 힌지축(50)에 대해 축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회전되도록 지지하고, 하우징(30)의 외곽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30)의 개방면을 폐쇄하며, 상기 캡(31)과 하우징(30)은 나사(도시하지 않음) 조립에 의해 조립됨으로써 상기 힌지축(50)에 대해 하우징(30)이 좌,우로 회전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힌지축(50)에 대해 상기 하우징(30)의 축방향에 대해 360도 회전되지 않도록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구성이 마련되어 그 내부 중앙에 배선(5)이 꼬이지 않도록 하면서 하우징(30)이 상기 힌지축(50)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훅크부(20)는 내부에 배선(5)을 위한 통로(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에 힌지축(50)이 연결되어 이 힌지축(50)에 상기 하우징(30)이 캡(31)과 결합되어 연결되어 있되, 상기 힌지축(50)의 중간에는 걸림턱(52)이 플랜지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과 캡(31)의 마주하는 내부에는 상기 힌지축(50)이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힌지축(50)을 감싸는 수용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50)의 걸림턱(52)이 상기 수용부(32) 내에서 일정 구간 제한적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수용부(32)의 양 측으로 각각 멈춤턱(33),(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50)의 걸림턱(52) 일단에는 회전제한돌기(53)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30)과 캡(31)의 마주하는 내부의 수용부(32) 일단에는 상기 회전제한돌기(53)가 수용되면서 상기 회전제한돌기(53)가 힌지축(50)의 회전시 일정 구간의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힌지축(50)의 회전을 일정 구간 제한하는 회전제한홈(35)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30)이 힌지축(50)에 대해 자체 회전이 가능하고,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마다 귓 구멍의 위치가 차이가 있더라도 자신에게 맞도록 하우징(3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30)을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에도 제한된 슬라이드 이동 구간 내 즉 수용부(32) 내에서 하우징(30)의 위치를 조절 가능한 것이며, 상기 하우징(30)을 회전 조절할 때 360회전을 방지하는 회전제한돌기(53)가 마련되어 있어서 힌지축(50) 내부 및 하우징(30)에 연결된 배선(5)이 꼬이지 않으면서 하우징 (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은 180도 이상으로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10)에 대하여 대칭 형태로 회전시키면 무선 보청기와 같이 한 쪽 귀에 착용하는 제품 타입에 있어서 사용자가 좌측 또는 우측 귀에 선택적으로 착용 시 하우징(30)을 180도 회전시켜 양쪽 귀에 모두 착용할 수 있는 기능도 발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리브(3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진동판(도시하지 않음)을 내부에 포함하는 진동판조립체(4)의 후방 바닥면만 상기 리브(36)에 점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진동판조립체(4)의 외면은 상기 하우징(30)의 내측벽과 간격(D)을 두고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진동판조립체(4)의 후면은 상기 리브(36)에 점 접촉되는 것이며, 그 측면 전체는 상기 하우징(30)과 간격을 두고 조립된다. 그리고, 진동판조립체(4)의 전면에는 진동음향 방출캡(39)이 씌워지면서 그 외측으로 조립되는 팁(40)에 의해 밀착되면서 하우징(30)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조립된다.
상기 리브(36)는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30)의 내측벽에서 돌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진동판조립체(4)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립 구성에 의하면 진동판조립체(4)가 하우징(30)에 수용되면서 면접촉하지 않고 점 접촉된 상태로 조립됨으로써 진동판조립체(4)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확산되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우징(30)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이 전혀 없게 되고, 진동 출력이 전방으로 집중되어 출력됨으로써 양질의 음향 출력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하우징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100)의 하우징(30) 위치 조절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훅크부(20)와 상기 힌지축(50)은 탄성연결체(6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50)이 상기 훅크부(20)에 대하여 굴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훅크부(20)와 상기 힌지축(50)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연결체(6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우징(30)을 위치 조절할 때 굴곡 정도를 감안하여 적정한 휘어짐과 복원 탄력을 갖도록 연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도 6에서는 탄성연결체(60)가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은 실리콘, 고무 또는 기타의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보다 확장된 공간부(61)를 확보한 관(62)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렇게 관(62)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공간부(61)를 통과하는 배선(5)이 탄성연결체(60)의 굴곡에 대하여 여분의 길이를 갖도록 코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연결체(60)는 그 외면이 자바라(63)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자바라(63) 구조는 절첩되면서 좌,우로 굴곡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힌지축(50)의 슬라이드 구성을 대체할 수 있는 것이며, 그 내부의 공간부(61)에 여분의 배선(5)이 수용되면서도 자바라(63) 특유의 기능으로서 디자인의 차별화화 함께 자유 자재로 자바라(63) 부위가 꺾여지는 작용에 의해 하우징(30)의 상,하,좌,우 위치 조절을 더욱 세밀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탄성연결체(60)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하부 각 내주연에는 언더컷 형태의 체결링부(6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훅크부(20)의 단부와 상기 하우징(30)의 단부 외측면에는 상기 체결링부(64)가 끼워지기 위한 조립홈(22),(37)이 각각 형성되어 이들의 조립에 의해 상기 탄성연결체(60)가 상기 훅크부(20)와 하우징(30) 사이에서 일체로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주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훅크부(20)의 단부와 하우징(30) 사이에 탄성연결체(60)가 부가적으로 조립됨으로써 하우징(30)의 위치를 조절할 때 탄성연결체(60)의 굴곡 기능에 의해 위치를 방향에 상관 없이 더욱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하우징(30) 위치 조절시 탄성연결체(60) 내부에 통과되는 배선(5)이 꼬이거나 당겨지지 않게 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요부확대 평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100)는 외관을 이루면서 내부에 회로기판(1)과 배터리(2) 및 마이크(3)를 수용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훅크부(20)와, 상기 훅크부(20)의 단부에 설치되면서 내부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보이스코일과 상기 보이스코일의 자기장에 의해 상호 작용하는 마그네트 및 진동판으로 이루어진 진동판조립체(4)가 조립된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귓속에 진입시키는 팁(40)을 포함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훅크부(20)는 내부에 배선(5)을 위한 통로(21)를 형성하면서 전체적으로 탄성체로 이루어져 있고, 그 단부에 힌지축(50)이 연결되어 이 힌지축(50)에 상기 하우징(30)이 캡(31)과 결합되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훅크부(20)의 자체 재질이 고무나 실리콘과 같이 적절한 탄력을 가지는 탄성체로 구성됨으로써 하우징(30)의 위치를 조절할 때 자유 자재로 휘어지기 때문에 원하는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 훅크부(20) 내부에 통과되는 배선(5) 또한 하우징(30) 위치 조절시에 전혀 꼬이지 않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훅크부(20)의 일측은 상기 프레임(10)의 개방된 부위를 폐쇄하도록 더 커버부(23)가 더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0)과 조립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훅크부(20)는 측 방향으로 다수의 통공(24)이 형성되어 훅크부(20)의 굴곡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훅크부(20)의 재질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연성과 탄력을 가지지만 하우징(30)의 위치를 가변할 때 탄성 복원에 의한 반발을 감안하여 다수의 통공(24)을 측방향으로 적정 간격으로 배열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통공은 크기 및 배열 형태에 따라 상기 훅크부(20)의 외관 디자인의 미려한 변화도 추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리브(3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진동판(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진동판조립체(4)가 상기 리브(36)에 점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진동판조립체(4)는 상기 하우징(30)의 내측벽과 간격을 두고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진동판조립체(4)의 후면은 상기 리브(36)에 점 접촉되는 것이며, 그 측면 전체는 상기 하우징(30)과 간격을 두고 조립되는 것이며, 진동판조립체(4)의 전면에는 진동음향 방출캡(39)이 씌워지면서 그 위에 조립되는 팁(40)에 의해 밀착되면서 하우징(30)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조립된 구성이다.
상기 리브는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30)의 내측벽에서 돌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진동판조립체(4)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도록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립 구성에 의하면 진동판조립체(4)가 하우징(30)에 수용되면서 면접촉하지 않고 점접촉된 상태로 조립됨으로써 진동판조립체(4)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확산되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우징(30)과의 마찰에 의한 소음 발생이 전혀 없게 되고, 진동 출력이 전방으로 집중되어 출력됨으로써 양질의 음향 출력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0)과 팁(40)은 서로 환형의 걸고리 형태로 결합되어 상호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우징(30)의 입구 외주면에는 체결홈(38)이 링 형상으로 인입 형성되며, 상기 팁(40)의 내주연에는 상기 체결홈(38)에 조립되기 위한 체결돌기(41)가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팁(40)은 무선 보청기에 적용되는 경우 그 단부가 일자형으로 돌출되지 않고 귓속에 깊이 진입되기 위해 삽입되는 방향으로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100)는 무선보청기를 한쪽의 귀에만 착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경사형 팁(40)을 가진 무선보청기의 경우 하우징(30)과 팁(40)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다른 귀쪽으로 착용하기 힘들지만 본 발명의 하우징(30) 회전 구성에 의하면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하우징(30)을 180회전 시킨 상태에서 팁(40)을 다시 다른 쪽 귀의 삽입 방향에 맞게 회전시켜 착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무선보청기와 같이 한쪽 귀에만 착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귓속으로 진입하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된 팁(40)의 방향을 대칭 형태로 하우징(30)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양쪽 귀에 모두 착용하여 음향 청취가 가능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하우징(30)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평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선스피커장치(100)는 장시간 착용에 따른 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살균 기능을 갖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상기 진동판(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여 내장하는 진동판조립체(4)가 장착되며, 상기 진동판조립체(4)의 전방 중앙에는 자외선엘이디(70)가 부착되어 상기 팁(40)의 내측 중앙으로 형성되는 통로(42)에 인접해 있고, 상기 자외선엘이디(70)는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스위치(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작토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자외선엘이디(70)는 진동판조립체(4) 전면에 추가로 조립되는 진동음향 방출캡(39)의 정중앙 전면에 접착제로 부착되고, 그 위로 조립되는 팁(40) 사이에 위치되어 조립된다.
상기 자외선엘이디(70)는 상기 팁(40)과 전동판조립체(4) 사이의 설치 공간을 감안하여 램프 타입 또는 SMD 타입의 엘이디 램프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엘이디(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 구조로서, 상기 진동판조립체(4)의 외면에는 상기 자외선엘이디(7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선홈(7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외선엘이디(70)와 상기 스위치(6)를 연결하는 전선(72)이 상기 전선홈(71)에 인입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30) 및 훅크부(20)를 거치면서 상기 프레임(10)의 회로기판(1)과 회로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외선엘이디(70)의 점등은 프레임(10) 내부의 회로와 연동하여 여러가지 형태로 점등되어 귓속 내부를 살균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자외선엘이디(70)가 자동적으로 점등 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원할 때 스위치(6)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일정시간 점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팁(40)의 내측으로 자외선엘이디(70)가 추가로 설치되어 있고 이에 연결된 배선(5)이 꼬이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10)의 스위치(6)와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특히, 무선 보청기를 장기간 착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자외선엘이디(7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상기 팁(40)의 통로(42)를 통하여 귓속 내부에 조사됨으로써 귓속 내부의 병균에 대한 살균 작용으로써 귀 질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팁(40)의 재질을 투명 재질로 하는 경우 자외선이 팁(40)의 통로(42)로 조사되는 작용 뿐만 아니라 팁(40) 전체에 결쳐 자외선이 투과되어 외부로 확산됨으로써 팁(40)의 표면에 부착된 병균과 함께 귓속의 병균을 동시에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외관을 이루면서 내부에 회로기판과 배터리 및 마이크를 수용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으로 연결되는 훅크부(20)와, 상기 훅크부(20)의 단부에 설치되면서 내부에 보이스코일과 상기 보이스코일의 자기장에 의해 상호 작용하는 마그네트 및 진동판을 갖는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귓속에 진입시키는 팁(40)을 포함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훅크부(20)는 내부에 배선을 위한 통로(2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에 힌지축(50)이 연결되어 이 힌지축(50)에 상기 하우징(30)이 캡(31)과 결합되어 연결되어 있되, 상기 힌지축(50)의 중간에는 걸림턱(52)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30)과 캡(31)의 마주하는 내부에는 상기 힌지축(50)이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힌지축(50)을 감싸는 수용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50)의 걸림턱(52)이 상기 수용부(32) 내에서 일정 구간 제한적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수용부(32)의 양 측으로 각각 멈춤턱(33),(3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50)의 걸림턱(52) 일단에는 회전제한돌기(53)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30)과 캡(31)의 마주하는 내부의 수용부(36) 일단에는 상기 회전제한돌기(53)가 수용되면서 상기 회전제한돌기(53)가 힌지축(50)의 회전시 일정 구간의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힌지축(50)의 회전을 일정 구간 제한하는 회전제한홈(35)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리브(3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진동판을 포함하는 진동판조립체(4)가 상기 리브(36)에 점 접촉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부(20)와 상기 힌지축(50)은 탄성연결체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50)이 상기 훅크부(20)에 대하여 굴곡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체는 관 형태로 되어 있고, 그 내부를 통과하는 배선은 상기 탄성연결체 내부에서 코일 형태로 내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체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연결체는 자바라(63)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부(20)는 전체적으로 탄성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부(20)는 측 방향으로 다수의 통공(24)이 형성되어 훅크부(20)의 굴곡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의 내주연에는 다수의 리브(36)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진동판을 포함하는 진동판조립체(4)가 상기 리브(36)에 점 접촉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과 팁(40)은 서로 환형의 걸고리 형태로 결합되어 상호 회전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진동판조립체(4)가 장착되며, 상기 진동판조립체(4)의 전방 중앙에는 자외선엘이디(70)가 부착되어 상기 팁(40)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는 통로(42)에 인접해 있고, 상기 자외선엘이디(70)는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스위치(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작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조립체(4)의 외면에는 상기 자외선엘이디(7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선홈(7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외선엘이디(70)와 상기 스위치(6)를 연결하는 전선(72)이 상기 전선홈(71)에 인입 고정되어 설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PCT/KR2010/005249 2009-08-31 2010-08-11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WO2011025163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927 2009-08-31
KR1020090080927A KR100955033B1 (ko) 2009-02-10 2009-08-31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5163A2 true WO2011025163A2 (ko) 2011-03-03
WO2011025163A3 WO2011025163A3 (ko) 2011-06-03

Family

ID=4362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5249 WO2011025163A2 (ko) 2009-08-31 2010-08-11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1025163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96382A (zh) * 2011-12-14 2012-06-13 吴学勤 一种带mp3的耳环
US8861771B2 (en) 2011-06-03 2014-10-14 Alan Stott Apparatus and system for playing audio signals from an audio source
TWI508572B (zh) * 2013-05-08 2015-11-11 Lite On Electronics Guangzhou 耳掛式無線耳機、其軟管結構、及軟管結構的製造方法
TWI623410B (zh) * 2016-06-28 2018-05-11 Pla技研股份有限公司 軟管及其製造裝置
WO2019042463A1 (zh) * 2017-09-04 2019-03-07 深圳市魅动智能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耳机的耳套磁吸结构
US11303992B2 (en) 2016-07-06 2022-04-12 Macho Daisy, Llc. Wearable device and system for personal audio messaging
US20220225002A1 (en) * 2019-01-05 2022-07-14 Shenzhen Shokz Co., Ltd. Loudspeaker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7722A1 (en) * 1996-01-24 1997-07-31 Acs Wireless Inc. Communications headset
KR100250543B1 (ko) * 1997-01-17 2000-04-01 양 빌 이어 행어를 구비한 귓속 타입 이어폰
KR200185643Y1 (ko) * 2000-01-19 2000-06-15 주식회사한국 오.지.케이 휴대전화용 이어폰
KR100865959B1 (ko) * 2007-06-18 2008-10-30 지디텍 주식회사 안경 부착용 이어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27722A1 (en) * 1996-01-24 1997-07-31 Acs Wireless Inc. Communications headset
KR100250543B1 (ko) * 1997-01-17 2000-04-01 양 빌 이어 행어를 구비한 귓속 타입 이어폰
KR200185643Y1 (ko) * 2000-01-19 2000-06-15 주식회사한국 오.지.케이 휴대전화용 이어폰
KR100865959B1 (ko) * 2007-06-18 2008-10-30 지디텍 주식회사 안경 부착용 이어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1771B2 (en) 2011-06-03 2014-10-14 Alan Stott Apparatus and system for playing audio signals from an audio source
CN102496382A (zh) * 2011-12-14 2012-06-13 吴学勤 一种带mp3的耳环
TWI508572B (zh) * 2013-05-08 2015-11-11 Lite On Electronics Guangzhou 耳掛式無線耳機、其軟管結構、及軟管結構的製造方法
TWI623410B (zh) * 2016-06-28 2018-05-11 Pla技研股份有限公司 軟管及其製造裝置
TWI656010B (zh) * 2016-06-28 2019-04-11 日商Pla技研股份有限公司 軟管及其製造方法
US11303992B2 (en) 2016-07-06 2022-04-12 Macho Daisy, Llc. Wearable device and system for personal audio messaging
WO2019042463A1 (zh) * 2017-09-04 2019-03-07 深圳市魅动智能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耳机的耳套磁吸结构
US20220225002A1 (en) * 2019-01-05 2022-07-14 Shenzhen Shokz Co., Ltd. Loudspeaker apparatus
US11671742B2 (en) * 2019-01-05 2023-06-06 Shenzhen Shokz Co., Ltd. Loudspeake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5163A3 (ko) 201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033B1 (ko)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WO2011025163A2 (ko)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US6427018B1 (en) Adjustable earphones for personal audio and communication systems
US8442252B2 (en) Behind-the-ear hearing aid with interchangeable ear hook and ear tube
US20060147078A1 (en) Headset capable of receiving signals from an electronic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ear loop and earplug capable of removable engagement with same
US20090285434A1 (en) Earhook and earbud headset
CN100512335C (zh) 音频耳机
KR20040077486A (ko) 전화기용 핸즈 프리 동작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080152182A1 (en) Headset with interchangeable ear pieces
WO2000019685A1 (en) Headset with adjustable earpiece
WO2016036220A1 (ko) 이어셋
US20030002706A1 (en) Adjustable earphones for personal audio and communication systems
WO2012002605A1 (ko) 귀걸이형 무선 스피커장치 및 골전도 스피커
KR20160135473A (ko) 이어셋
WO2015106500A1 (zh) 弹簧听筒式无线耳机眼镜
WO2021039171A1 (ja) 音響出力装置
KR200271600Y1 (ko) 귀걸이형 이어폰-마이크
WO2011093536A1 (ko) 인-이어 이어폰
CN109644301B (zh) 声音输出装置
CN214481174U (zh) 头戴架和头戴式蓝牙耳机
WO2017086640A1 (ko) 귀걸이 타입의 마이크
CN1930857B (zh) 免手持个人通信装置
KR101754032B1 (ko) 머리띠 타입 이어셋
KR20040100507A (ko) 다관절 헤드지지대를 구비한 골도 헤드폰 구조
JP3239758U (ja) 聴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121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1217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