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836Y1 - 이어폰 잭 - Google Patents

이어폰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836Y1
KR200238836Y1 KR2020010012395U KR20010012395U KR200238836Y1 KR 200238836 Y1 KR200238836 Y1 KR 200238836Y1 KR 2020010012395 U KR2020010012395 U KR 2020010012395U KR 20010012395 U KR20010012395 U KR 20010012395U KR 200238836 Y1 KR200238836 Y1 KR 2002388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ssembly
plug
earphone jack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3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기철
Original Assignee
손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기철 filed Critical 손기철
Priority to KR20200100123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8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8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836Y1/ko

Link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어폰 잭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플러그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진 몸체가 2개의 동일한 형상의 조립체로 결합되고 그 조립체에 3개의 단자가 삽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몸체는 일측에 개방부가 타측에 몰딩부가 형성되고 그 몸체의 개방부 끝단에 고정링이 삽입되며 그 몸체와 단자를 둘러싸는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이어폰 잭은 몸체가 조립체로 형성되고 그 조립체에 단자가 삽입되어 구비됨으로서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탄성접촉이 우수해지는 효과를 갖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이어폰 잭 {earphone jack}
본 고안은 이어폰 잭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러그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진 몸체가 2개의 동일한 형상의 조립체로 결합되고 그 조립체에 3개의 단자가 삽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몸체는 일측에 개방부가 타측에 몰딩부가 형성되고 그 몸체의 개방부 끝단에 고정링이 삽입되며 그 몸체와 단자를 둘러싸는 케이싱으로 구성되어 제작이 용이한 이어폰 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잭과 플러그 어셈블리는 전자 기기 분야의 음향과 통신기기 등의 이어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어셈블리에 있어서, 플러그를 회로에 전기 접속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수개의 단자를 구비하는 잭에 단자를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과 그에 따라 잭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어폰 잭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 구성은 플러그(100)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몸체(300)에 탄성금속편으로 형성되는 제1단자(500)와 제2단자(501)가 구비되고 금속재의 원통으로 구비되는 제3단자(502)가 상기 몸체(300)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러그(100)가 상기 몸체(300)에 삽입되면 상기 제1단자(500)와 제1플러그단자(101)가 탄성접촉을 이루고 상기 제2단자(501)와 제2플러그단자(102)가 탄성접촉을 이루며 상기 제3단자(502)와 제3플러그단자(103)는 면접촉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어폰 잭은 제1단자와 제2단자의 외부에서 인서트사출성형식 몰딩작업으로 몸체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그 작업이 복잡하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이 떨어지며, 아울러 그와 같은 몸체에 제3단자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되어 전체적으로는 이어폰 잭이 투박한 형상이 되고 그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단자와 제2단자만으로 구성되는 탄성접촉은 일면접촉을 형성하고 제3단자는 탄성접촉이 아닌 면접촉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단자의 전체적인 탄성접촉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탄성접촉이 우수하지 않은 잭에 플러그가 삽입되면 적절히 고정되지 못하여 단자를 통해 전달되는 음향이나 음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플러그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진 몸체가 동일한 형상의 2개의조립체로 구성되고 그 조립체에 제1단자, 제2단자, 제3단자가 삽입되어 구성됨으로서 조립체로 몸체를 형성하고 그 몸체의 내부에 단자를 수용하여 잭의 전체적인 크기가 소형화되고 그 형상이 깔끔해지는 이어폰 잭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조립체에 삽입되는 단자가 대칭을 이루어 플러그가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탄성체와 그 탄성체를 연결하는 고정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됨으로서 이어폰 잭에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와 상기 단자의 탄성접촉이 우수해지는 이어폰 잭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조립체의 외주면 상단에 단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서 단자가 몸체에 쉽게 조립되고 더욱 견고히 고정되는 이어폰 잭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체 하부의 외주면 둘레에 케이싱고정홈을 형성하고 케이싱 하부의 내주면 둘레에 고정턱을 형성함으로서 몸체가 케이싱에 견고히 고정되는 이어폰 잭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체의 상단에 삽입턱을 형성하고 그 삽입턱에 고정링을 삽입함으로서 2개의 조립체를 견고히 고정하는 이어폰 잭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 잭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 잭의 일부 절개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A-A'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따른 B-B'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이어폰 잭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러그 11 : 제1플러그단자
12 : 제2플러그단자 13 : 제3플러그단자
30 : 몸체 31 : 제1조립체
32 : 제2조립체 33 : 개방부
34 : 몰딩부 35 : 내부삽입홈
36 : 외부삽입홈 37 : 상부조립돌기
38 : 상부조립홈 39 : 하부조립돌기
40 : 하부조립홈 41 : 관통홀
42 : 케이싱고정홈 43 : 삽입턱
50 : 제1단자 51 : 제2단자
52 : 제3단자 53 : 고정링
54 : 케이싱 55 : 고정턱
56 : 탄성체 57 : 고정체
58 : U자형탄성체 59 : 하부고정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 잭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 구성은 플러그(10)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30)와 상기몸체(30)에 제1단자(50), 제2단자(51), 제3단자(52)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30)를 둘러싸는 케이싱(54)으로 구성되는 이어폰 잭에 있어서;
상기 몸체(30)의 일측은 개방되어 개방부(23)가 형성되고, 타측은 폐쇄되어 몰딩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30)는 반원통형의 동일한 형상의 제1조립체(31)와 제2조립체(32)가 조립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30)의 몰딩부(34) 하면 사이에 상기 제1단자(50)가 삽입되고, 상기 제1조립체(31)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2단자(5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조립체(32)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제3단자(52)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단자(50)는 상기 플러그(10)의 제1플러그단자(11)가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탄성체(56)와 상기 몸체(30)의 몰딩부(34) 사이에 끼워지는 고정체(57)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단자(51)와 상기 제3단자(52)는 상기 몸체(30)에 관통되어 상기 플러그(10)의 제2플러그단자(12)와 제3플러그단자(13)가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U자형탄성체(58)와 상기 조립체(31, 32)의 몰딩부(34) 외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체(59)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단자(51)와 상기 제2단자(51)의 상부 U자형탄성체(58)가 상기 몸체(30)를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조립체(31)와 제2조립체(32)의 외주면 상단에 관통홀(41)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체(31), (32)의 몰딩부(34) 하면 사이와 상기 조립체(31), (32)의 끝단 사이에 상기 제1단자(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삽입홈(35)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체(31), (32)의 외주면 상단에 상기 제2단자(51)와 상기 제3단자(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삽입홈(36)이 형성되며,
상기 조립체(31), (32)의 하면 개방부(33)에 상부조립돌기(37)와 상부조립홈(38)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체(31), (32)의 하면 몰딩부(34)에 하부조립돌기(39)와 하부조립홈(40)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30) 하부의 외주면 둘레에 케이싱고정홈(42)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54) 하부의 내주면 둘레에 고정턱(55)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30)의 상단 개방부(33)에 삽입턱(4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턱(43)에 고정링(53)이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조립체(31)와 상기 제2조립체(32)는 반원통형의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조립체(31), (32)의 하단의 몰딩부(34)에 상기 제1단자(50)가 삽입되는 상기 내부삽입홈(35)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체(31), (32)의 원통부의 외주면의 상단에 상기 외부삽입홈(36)이 형성되어 상기 제2단자(51)와 상기 제3단자(52)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내부삽입홈(35)은 제1단자(5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작용을 하는 것이고, 상기 외부삽입홈(36)은 제2단자(51)와 제3단자(52)가 삽입되어 견고히 고정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 조립체(31), (32)의 상단에는 삽입턱(43)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링(53)이 삽입되어 상기 조립체(31), (32)가 상기 고정링(53)에 의해 견고히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조립체(31)의 원통면의 상단에서 상기 제2조립체(32)의 원통면의 하단까지 관통홀(41)이 형성되어 상기 제2단자(51)와 제3단자(52)의 상부에 부착되는U자형탄성체(58)가 상기 몸체(30)의 관통홀(4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몸체(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플러그(10)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조립체(31), (32)의 개방부(33)의 하면에 상기 상부조립돌기(37)와 상기 상부조립홈(38)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체(31), (32)의 하면의 몰딩부(34)에 하부조립돌기(39)와 하부조립홈(40)이 형성되어 상기 제1조립체(31)와 상기 제2조립체(32)가 서로 견고히 조립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케이싱고정홈(42)에 지나는 상기 제2단자(51)와 상기 제3단자(52)의 상기 하부고정체(59)는 상기 고정턱(55)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잭의 일부 절개 결합 사시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몸체(30)의 하부의 외주면의 둘레에 케이싱고정홈(42)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54)을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고정홈(42)에 노출되는 상기 제2단자(51)와 상기 제3단자(52)의 하부고정체(59)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고정홈(42)에 노출되는 상기 제1단자(50)의 상기 고정체(57)를 더욱 견고히 고정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 케이싱(54)의 하부의 내주면의 둘레에 상기 고정턱(5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55)이 상기 몸체(30)의 상기 케이싱고정홈(42)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30)가 상기 케이싱(54)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싱(54)은 상기 고정링(53)을 제외한 상기 몸체(30)를 둘러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54)으로 인해 상기 몸체(30)와 상기 단자(50), (51), (52)가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2에 따른 A-A' 단면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의 단면도에서 제1단자(50)와 제2단자(51) 그리고 제3단자(52)를 나타내는 은선은 상기 잭에 상기 플러그(10)가 삽입되기 전에 상기 단자(50), (51), (52)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제1단자(50)에 상기 플러그(10)의 제1플러그단자(11)가 삽입되고 상기 제1단자(50)에 2면이 탄성적으로 상기 제1플러그단자(11)와 맞물리게 되어 상기 제1플러그단자(11)와 상기 제1단자(50)의 탄성접촉률을 높이는 작용을 하고 상기 플러그(10)가 상기 몸체(30)에 견고히 삽입되어 고정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2단자(51)와 상기 제3단자(52)는 상기 플러그(10)의 제2플러그단자(12)와 제3플러그단자(13)에 삽입되고 2면이 상기 제2플러그단자(12)와 상기 제3플러그단자(13)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단자(50)의 상부의 탄성체(56)가 상기 몸체(30)의 플러그(10) 수용공간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단자(51)의 상부와 상기 제3단자(52)의 상부는 상기 몸체(30)의 플러그(10) 수용공간의 상부와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에 따른 B-B' 단면도를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의 단면도에서 상기 제2단자(51)를 나타내는 은선은 상기 잭에 상기 플러그(10)가 삽입되기 전에 상기 제2단자(51)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제2단자(5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U자형탄성체(58)는 상기 제1조립체(31)의 관통홀(41)을 통과하여 상기 U자형탄성체(58)의 끝단이 상기 제2조립체(32)의 상기 관통홀(41)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단자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3단자(52)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U자형탄성체(58)는 상기 제2조립체(32)의 관통홀(41)을 통과하여 그 끝단이 상기 제1조립체(31)의 관통홀(41)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단자(51)와 제3단자(52)의 상기 U자형탄성체(58)는 상기 몸체(30)에 형성되는 플러그(10)의 수용공간에 상기 U자형탄성체(58)가 상기의 관통홀(41)을 통과하여 수평으로 걸치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U자형탄성체(58)가 상기 관통홀(41)에 걸쳐서 구비됨으로서 상기 플러그(10)가 상기 몸체(30)에 삽입할 시 상기 플러그(10)가 상기 제2단자(51)와 제3단자(52)에 견고히 탄성적으로 물리게 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1단자(50)의 상부의 탄성체(56)에 상기 플러그(10)의 제1플러그단자(11)가 삽입되고 상기 제1단자(50)의 상부의 탄성체(56)에 2면이 탄성적으로 상기 제1플러그단자(11)와 맞물리게 되어 상기 제1플러그단자(11)와 상기 제1단자(50)의 탄성접촉률을 높이는 작용을 하고 상기 플러그(10)가 상기 몸체(30)에 견고히 삽입되어 고정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2단자(51)의 상부의 U자형탄성체(58)에 상기 플러그(10)의 제2플러그단자(12)가 삽입되고 상기 U자형탄성체(58)가 상기 제2플러그단자(12)에 의해 굽혀지면서 상기 제2플러그단자(12)에 탄성적으로 물리게 되어 상기 제2플러그단자(12)와 상기 제2단자(51)의 탄성접촉률을 높이는 작용을 하고 상기 플러그(10)가 상기 몸체(30)에 삽입되어 견고히 고정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 제3단자(52)의 상부의 U자형탄성체(58)에 상기 플러그(10)의 제3플러그단자(13)가 삽입되고 상기 U자형탄성체(58)가 상기 제3플러그단자(13)에 의해 굽혀지면서 상기 제3플러그단자(13)에 탄성적으로 물리게 되어 상기 제3플러그단자(13)와 상기 제2단자(51)의 탄성접촉률을 높이는 작용을 하고 상기 플러그(10)가 상기 몸체(30)에 삽입되어 견고히 고정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다시말해서 상기 제1단자(50)와 제2단자(51) 그리고 제3단자(52)가 상기 플러그(10)를 탄성적으로 물어줌으로서 상기 플러그(10)와 상기 단자(50), (51), (52)의 탄성접촉을 우수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10)가 더욱 견고히 상기 몸체(30)에 고정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플러그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진 몸체가 동일한 형상의 2개의 조립체로 구성되고 그 조립체에 제1단자, 제2단자, 제3단자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이어폰 잭을 제공함으로서 몸체를 조립체로 형성하고 그 몸체의 내부에 단자가 수용되어 잭이 소형화되고 그 형상이 단정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몸체에 삽입되는 단자가 대칭을 이루어 플러그가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탄성체와 그 탄성체를 연결하는 고정체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이어폰 잭을 제공함으로서 이어폰 잭에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와 상기 단자의 탄성접촉이 우수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조립체의 외주면의 상단에 단자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어폰 잭을 제공함으로서 단자가 몸체에 쉽게 조립되고 더욱 견고히 고정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조립체의 하부의 외주면의 둘레에 케이싱고정홈이 형성되고 케이싱의 하부의 내주면의 둘레에 고정턱이 형성되는 이어폰 잭을 제공함으로서 몸체가 케이싱에 더욱 견고히 고정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조립체의 상단에 삽입턱이 형성되고 그 삽입턱에 고정링이 삽입되는 이어폰 잭을 제공함으로서 2개의 조립체를 견고히 고정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플러그(10)를 수용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30)와 상기 몸체(30)에 제1단자(50), 제2단자(51), 제3단자(52)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30)를 둘러싸는 케이싱(54)으로 구성되는 이어폰 잭에 있어서;
    상기 몸체(30)는 반원통형의 동일한 형상의 제1조립체(31)와 제2조립체(32)가 조립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단자(50)는 상기 제1조립체(31)와 제2조립체(32)의 끝단의 하면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제2단자(51)는 상기 몸체(30)의 외주면의 상단에서 하단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기 제3단자(52)는 상기 몸체(30)의 외주면의 하단에서 상단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50)는 상기 플러그(10)의 끝단에 끼워지는 탄성체(56)와 상기 몸체(30)의 끝단에 삽입되는 고정체(57)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2단자(51)와 상기 제3단자(52)는 상기 몸체(30)에 관통되어 상기 플러그(10)가 끼워지는 U자형탄성체(58)와 상기 제1조립체(31)와 제2조립체(32)의 하부의 외면에 고정되는 하부고정체(5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0)의 하부에 상기 제1단자(50)가 삽입될 수 있도록내부삽입홈(35)이 형성되고, 상기 제1조립체(31)와 제2조립체(32)의 외주면 상단에 상기 제2단자(51)와 상기 제3단자(5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삽입홈(3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0)의 하부의 외주면의 둘레에 케이싱고정홈(4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54) 하부의 내주면의 둘레에 고정턱(5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30)의 상단에 삽입턱(43)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턱(43)에 고정링(53)이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잭.
KR2020010012395U 2001-04-28 2001-04-28 이어폰 잭 KR2002388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395U KR200238836Y1 (ko) 2001-04-28 2001-04-28 이어폰 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395U KR200238836Y1 (ko) 2001-04-28 2001-04-28 이어폰 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836Y1 true KR200238836Y1 (ko) 2001-10-12

Family

ID=73065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395U KR200238836Y1 (ko) 2001-04-28 2001-04-28 이어폰 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8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313A (ko) * 2002-01-11 2002-03-28 강효동 플러그 이탈방지구조
KR100483969B1 (ko) * 2002-09-04 2005-04-19 (주)나노텍 플러그를 지지하는 접속편을 구비한 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313A (ko) * 2002-01-11 2002-03-28 강효동 플러그 이탈방지구조
KR100483969B1 (ko) * 2002-09-04 2005-04-19 (주)나노텍 플러그를 지지하는 접속편을 구비한 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1512B1 (en) Plug connector
US6312274B1 (en) Electrical connector
US8465296B1 (en) Electrical connector
JP4152242B2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JP2000113948A (ja) スイッチ付き同軸コネクタ
US5681186A (en) Connector module, connector kit and connector module and panel assembly
EP1128477A3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mpression contacts
CA1077587A (en) Electrical coupler and adapter
US7112099B2 (en) Audio jack connector
JP3852913B2 (ja)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器
KR200238836Y1 (ko) 이어폰 잭
JPH0831521A (ja) 電線用コネクタ
KR20200049603A (ko) 전기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
GB2379556A (en) Antenna assembly
JP3556592B2 (ja) 振動部品用コネクタ
EP0940822A2 (en) Variable resistor
JP3515084B2 (ja) ヒンジ用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に接続される回路基板
JP4427921B2 (ja) マイクロホンの取付構造
KR200212963Y1 (ko) 단일체 케이싱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용 잭
JP2019003724A (ja) コネクタ
JP2000150021A (ja) 保持部材と該保持部材内に鋳込まれた接点ピンとから成るユニット部品
KR200262639Y1 (ko) 몰드 이어폰 잭
KR200338909Y1 (ko) 동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JPH10241815A (ja) ランプソケット装置
JP2024030590A (ja) 多重嵌合するコネクタを備える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