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690Y1 - 낙수 방지용 주차 상판 - Google Patents

낙수 방지용 주차 상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690Y1
KR200238690Y1 KR2020000013742U KR20000013742U KR200238690Y1 KR 200238690 Y1 KR200238690 Y1 KR 200238690Y1 KR 2020000013742 U KR2020000013742 U KR 2020000013742U KR 20000013742 U KR20000013742 U KR 20000013742U KR 200238690 Y1 KR200238690 Y1 KR 200238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flat surface
top plate
deck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대
Original Assignee
원용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용대 filed Critical 원용대
Priority to KR2020000013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6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690Y1/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낙수 방지용 주차상판에 의하면, 주차상판의 폭방향의 절곡보강부상에 다른 낙수방지용 주차상판의 제1 평탄면이 덮여 있음과 동시에, 주차상판의 길이방향으로 하나의 주차상판의 제1 평탄면의 일측 상부에 또 다른 주차상판의 제1 평탄면의 일부가 기와를 쌓듯이 덮여 있으므로 주차장상에 차량이 주행해도 변형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주차장에 물이 흘러도 낙수방지용 주차상판의 표면을 따라 물이 흘러서 배수통으로 수집되어 외부로 배출될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낙수방지용 주차상판의 절곡보강부로 스며들은 물도 역시 도시하지 않은 배수구로 수집되어 외부로 배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주차장의 하부층에 물이 낙수될 염려가 전혀 없고, 또한, 주차장의 철골 구조물상에 체결볼트에 의해서 결합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다른 부자재, 예를 들면 낙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을 주차상판간의 틈새에 도포할 필요도 없어 설비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낙수 방지용 주차 상판{A PARKING PALLET FOR CHECKING WATER DROPS}
본 고안은 주차장의 바닥판으로 설치되어 이음매 사이에서 물의 떨어짐(낙수)을 방지하는 낙수 방지용 주차 상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단의 차량이나, 주차장을 지나 다니는 사람들에게 오수나 낙수의 피해를 막을 수 있는 낙수 방지용 주차 상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 상판(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통로(2)를 형성하기 위하여 주차상판(1)의 좌측벽(3) 하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ㄴ자 형상으로 절곡하고, 주차상판(1)의 우측벽(4) 하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안쪽으로 향해서 절곡한 날개부(5)로 구성되어 있기기 때문에, 상기 주차 상판(1)의 설치시에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다른 주차상판(1)과 서로 맞대어서 설치하므로 주차상판(1) 사이의 이음새에 형성된 틈을 통해서 낙수가 하부로 떨어져서 하부에 주차된 차량 또는 하부를 지나는 행인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그리고, 종래의 주차상판(1)은 배수통로(2)의 바닥부 및 주차상판(l)의 우측벽부(4)를 안쪽으로 절곡한 날개부(5)에 볼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현장에서 상기 주차상판(1)에 형성된 배수통로(2)의 바닥부 및 주차상판(1)의 우측벽(4)을 안쪽으로 절곡한 날개부(5)에 드릴로 볼트 구멍을 형성하여 도시하지 않은 볼트를 사용하여 H빔(9)상에 주차상판(1)을 설치한 후에 주차상판(1)의 우측벽(4)과 폭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주차상판(1)의 좌측벽(3)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6)의 상부를 용접 등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상기 틈(6)의 하부가 이간되어 있어 차량의 운행시에 많은 소음이 발생한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 심각한 것은 겨울철에 그 낙수가 얼면서 고드름이 생겨나므로 인하여 그 고드름이 차량의 운행으로 인한 주차 상판의 진동에 의하여 떨어져 그 아래에 주차되어 있는 차를 손상시키거나, 또는 주차관리자나 행인(차를 타거나 차에서 하차한 모든 사람)의 머리로 떨어져 다치게 한다는 문제점도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에는 더위에 달구어진 주차상판(1)이 열에 견디지 못하고 또 차량의 운행으로 주차상판(1)의 중앙부가 구부러지면서 주차상판(1)사이의 틈(6)을 용접한 용접면이 떨어지거나 또는 주차장을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상기 주차상판(1)사이의 틈(6)을 용접한 용접면이 떨어져서 틈(6)을 에폭시수지 등으로 도포하여야 한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바닥을 철근 콘그리트로 시공하거나 또는 강판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콘크리트 부분의 하중을 견디기 위하여 사용하는 철강재가 많이 소요됨으로 인해 시공단가가 증가되고, 또한 종래의 주차상판으로 주차장을 시공하였을 경우 낙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하는 경우가 있으나, 폴리우레탄 수지의 시공비용이 평당 15만원 이상이 소요되어 주차장의 시공 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철판재에 도포된 폴리우레탄 수지는 태양의 직사광선에 2 내지 3년간 노출되면 경시변화를 일으켜서 갈라지거나 또는 철판재로 부터 들뜨게 되어 주차장의 수명을 열화시킨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주차 상판과 주차 상판을 기와 쌓듯이 겹치게 설치하여 낙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시공비용도 저감시킬 수 있는 낙수 방지용 주차상판을 제공하는데 있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한쪽 외측 코너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L)와 일정 폭(D)을 절결시킨 절결부를 가지며 상기 절결부의 폭방향 반대측에 철판두께()로 일정길이(L) 절곡시킨 오목홈이 형성되고, 또 다수개의 볼트구멍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제1 평탄면과, 길이방향 양측에 볼트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평탄면으로 부터 하부를 향해 철판재()의 두께로 절곡시켜서 형성되는 제2 평탄면과, 상기 제2 평탄면으로 부터 경사지게 절곡되며 바닥면에 대해 일정 각도(θ) 각각 절곡시켜서 내측 및 외측경사벽부를 일체적으로 가지며 내측 및 외측경사벽부에 철판두께()로 일정길이(L) 절곡시킨 단차부가 각각 형성된 대체로 U자 형상의 절곡보강부와, 상기 절곡보강부의 외측경사벽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 평탄면과 같은 높이에서 외측으로 신장되며, 길이방향 일측에 제1 커팅부가 형성된 날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주차 상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주차 상판을 설치한 후 철골 빔 하단에 물 홈통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주차 상판을 설치한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 상판을 일측에서 보고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 상판을 다른쪽에서 보고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 상판을 다수개 결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도 7은 도 6에서 A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주차상판 20:제1 평탄면
22:절결부 24:오목홈26:볼트구멍 30:제2 평탄면36:볼트구멍 40:절곡보강부42:바닥면 44:내측 경사벽부46:외측경사벽부 44a,46a:단차부50:날개부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낙수 방지용 주차상판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 상판을 일측에서 보고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 상판을 다른쪽에서 보고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차 상판을 다수개 결합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A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확대사시도이다.
도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낙수 방지용 주차상판(10)은 제1 평탄면(20)과, 상기 제1 평탄면(20)으로부터 철판재의 두께만큼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평탄면(30)과, 상기 제2 평탄면(30)으로 부터 경사지게 절곡되며 바닥면(42)에 대해 일정 각도(θ) 각각 절곡시켜서 내측 및 외측경사벽부(44, 46)를 일체적으로 가진 절곡보강부(40)와, 상기 절곡보강부(40)의 외측경사벽부(46)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신장되는 날개부(50)를 구비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낙수 방지용 주차상판(10)에 있어서의 제1 평탄면(20)에는 한쪽 외측 코너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L)와 일정 폭(D)을 절결시킨 사각형 형상의 절결부(22)를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절결부(22)의 폭방향 반대측에 철판두께()로 일정 길이(L) 절곡시킨 오목홈(24)이 형성되어 있고, 다수개의 볼트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평탄면(20)으로 부터 철판재의 두께만큼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평탄면(30)에는 길이방향 양측에 볼트구멍(3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평탄면(30)으로 부터 경사지게 절곡된 절곡보강부(40)는 바닥면(42)과 상기 바닥면(42)에 대해 일정 각도(θ) 각각 절곡시켜서 내측 및 외측경사벽부(44,46)를 일체적으로 가지며, 또한 내측 및 외측경사벽부(44,46)에 철판두께()로 일정 길이(L) 절곡시킨 단차부(44a,46a)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개구부가 넓은 역사 다리 형상 또는 대체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보강부(40)의 외측경사벽부(46)의 상부에서 상기 제2 평탄면(30)과 같은 높이에서 외측으로 신장되는 날개부(50)는 길이방향 일측에 제1 커팅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낙수 방지용 주차상판(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먼저, 본 고안의 낙수 방지용 주차상판(10)(설명의 편의상 하부 주차상판(10a)이라 한다)을 폭방향을 따라 결합시킬려면, 도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주차상판(10a)의 제2 평탄면(30) 및 날개부(50)상에 옆쪽 낙수 방지용 주차상판(10)(설명의 편의상 하부 주차상판(10b)이라 한다)의 제1 평탄면(20)이 재치됨에 따라 옆쪽 낙수 방지용 주차상판(10b)의 제1 평탄면(20)이 상기 하부 주차상판(10a)의 절곡보강부(40)의 개구부를 덮는다.다음에, 상기 하부 주차상판(10a)의 제2 평탄면(20)의 우측 상부에 또 다른 낙수 방지용 주차상판(10)(설명의 편의상 하부 주차상판(10c)이라 한다)의 좌측부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치시켜면서, 옆쪽 낙수 방지용 주차상판(10b)의 제1 평탄면(20)에 형성된 절결부(22)에 상부 주차상판(10c)의 절결보강부(40)의 내측경사벽부(44)의 좌측부를 끼우면, 옆쪽 낙수 방지용 주차상판(10b)의 제1 평탄면(20)의 우측 하부부에 상부 주차상판(10c)의 절결보강부(40) 좌측부를 덮으면서, 상부 주차상판(10c)의 날개부(50)에 형성된 제1 커팅부(52)에 옆쪽 낙수 방지용 주차상판(10b)의 내측경사부(44)에 형성된 단차부(44a)의 상부가 재치됨과 동시에, 상기 내측경사부(44)에 형성된 단차부(44a)의 우측 단부가 상부 주차상판(10c)의 날개부(50)에 형성된 제1 커팅부(52)의 좌측단부와 당접되면서 결합된다.이와 같이 결합한 후, 도시하지 않은 체결볼트를 상기 제1 평탄면(20)에 형성된 볼트구멍(36) 및 상기 제2 평탄면(30)에 형성된 볼트구멍(36)을 결합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주차장의 철골구조물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이와 같이 본 고안의 낙수방지용 주차상판(10)을 조립설치한 상태에서는 본 고안의 낙수방지용 주차상판(10)은 절곡보강부(40)상에 다른 낙수방지용 주차상판 (10)의 제1 평탄면(20)의 일측이 기와를 쌓듯이 덮여 있으므로 주차장상에 차량이 주행해도 변형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낙수방지용 주차상판(10)에 물이 흘러도 낙수방지용 주차상판(10)의 표면을 따라 흘러서 배수통으로 수집되어 외부로 배출되며 본 고안의 낙수방지용 주차상판(10)의 절곡보강부(40)로 스며들은 물도 역시 도시하지 않은 배수구로 수집되어 외부로 배수되므로, 주차장의 하부층에는 낙수될 염려가 전혀 없다.따라서, 본 고안의 낙수방지용 주차상판(10)은 주차장의 철골 구조물상에 체결볼트에 의해서 결합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다른 부자재, 예를 들면 낙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을 주차상판간의 틈새에 도포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비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낙수 방지용 주차상판에 의하면, 주차상판의 폭방향의 절곡보강부상에 다른 낙수방지용 주차상판의 제1 평탄면이 덮여 있음과 동시에, 주차상판의 길이방향으로 하나의 주차상판의 제1 평탄면의 일측 상부에 또 다른 주차상판의 제1 평탄면의 일부가 기와를 쌓듯이 덮여 있으므로 주차장상에 차량이 주행해도 변형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주차장에 물이 흘러도 낙수방지용 주차상판의 표면을 따라 물이 흘러서 배수통으로 수집되어 외부로 배출될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낙수방지용 주차상판의 절곡보강부로 스며들은 물도 역시 도시하지 않은 배수구로 수집되어 외부로 배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주차장의 하부층에 물이 낙수될 염려가 전혀 없고, 또한, 주차장의 철골 구조물상에 체결볼트에 의해서 결합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다른 부자재, 예를 들면 낙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을 주차상판간의 틈새에 도포할 필요도 없어 설비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한쪽 외측 코너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L)와 일정 폭(D)을 절결시킨 사각형 형상의 절결부(22)를 가지며 상기 절결부(22)의 폭방향 반대측에 철판 두께()로 일정 길이(L) 절곡시킨 오목홈(24)이 형성되고, 또 다수개의 볼트구멍(26)이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제1 평탄면(20)과, 길이방향 양측에 볼트구멍(36)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평탄면(20)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철판재의 두께()로 절곡시켜서 형성되는 제2 평탄면(30)과, 상기 제2 평탄면(30)으로부터 경사지게 절곡되며 바닥면(42)에 대해 일정 각도(θ) 각각 절곡 시켜서 내측 및 외측경사벽부(44,46)를 일체적으로 가지며, 상기 내측 및 외측경사벽부(44,46)에 철판두께()를 일정길이(L) 절곡시킨 단차부(44a,46a)가 각각 형성된 대체로 U자 형상의 절곡보강부(40)와, 상기 절곡보강부(40)의 외측경사벽부(46)의 상부에서 상기 제2 평탄면(30)과 같은 높이에서 외측으로 신장되며, 길이방향 일측에 제1 커팅부(52)가 형성된 날개부(5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수 방지용 주차상판.
KR2020000013742U 2000-05-15 2000-05-15 낙수 방지용 주차 상판 KR200238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742U KR200238690Y1 (ko) 2000-05-15 2000-05-15 낙수 방지용 주차 상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742U KR200238690Y1 (ko) 2000-05-15 2000-05-15 낙수 방지용 주차 상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690Y1 true KR200238690Y1 (ko) 2001-09-29

Family

ID=7305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742U KR200238690Y1 (ko) 2000-05-15 2000-05-15 낙수 방지용 주차 상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6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00197A1 (en) Structural decking system
WO2003060257A1 (fr) Materiau antiderapant
KR200238690Y1 (ko) 낙수 방지용 주차 상판
KR101946850B1 (ko)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
JP6546545B2 (ja) デッキプレート及びデッキプレートのエンドクローズ加工方法
WO2002038885A1 (en) Metal decking
KR200216051Y1 (ko) 낙수 방지용 주차 상판
JP2019148156A (ja) 排水溝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JP3605724B2 (ja) U字溝
JP4811631B2 (ja) U字溝
KR200425920Y1 (ko) 조립식 아스콘 복합형 복공판
JP3125818U (ja) 側溝ユニット及びグレーチング蓋の構造
JP3113832U (ja) 耐風性平型瓦
CN219451268U (zh) 一种带天沟板的预应力z型梁
JP2873780B2 (ja) 水路用ブロック
KR100523415B1 (ko) 스틸 그레이팅
JPS6140828Y2 (ko)
KR102305121B1 (ko) 가황식 배수시트 및 방수도포재를 이용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누수방지 신축이음장치
JP3567325B2 (ja) U字溝
KR200232743Y1 (ko) 미끄럼 방지용 복공판
JPH0743324Y2 (ja) 落雪防止具
KR0134426Y1 (ko) 옥상바닥마감층용 p.c. 집수판
FI64970B (fi) Vattentakselement foer en byggnad och foerfarande foer dess tilverkning
KR200312003Y1 (ko) 그레이팅 구조체
KR200392629Y1 (ko) 교량용 우수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