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426Y1 - 옥상바닥마감층용 p.c. 집수판 - Google Patents

옥상바닥마감층용 p.c. 집수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426Y1
KR0134426Y1 KR2019960024358U KR19960024358U KR0134426Y1 KR 0134426 Y1 KR0134426 Y1 KR 0134426Y1 KR 2019960024358 U KR2019960024358 U KR 2019960024358U KR 19960024358 U KR19960024358 U KR 19960024358U KR 0134426 Y1 KR0134426 Y1 KR 0134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oftop
longitudinal direction
layer
lightweigh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4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0886U (ko
Inventor
윤우옥
김충엽
Original Assignee
최훈
삼성물산주식회사
김충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삼성물산주식회사, 김충엽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2019960024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426Y1/ko
Publication of KR199800108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08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4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45Drainage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옥상에 떨어지는 빗물을 배수구쪽으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옥상바닥구조의 가장자리부에서 난간벽체 내측에 설치되는 방수층을 보호하는 조적조 또는 보조방수층과의 접합부에서 긴밀히 접착되게 하기 위한 건축물의 옥상 바닥마감층용 P.C. 집수판에 관한 것으로서, 경량골재·시멘트 및 폴리머 등을 혼합한 경량콘크리트판(16)으로 성형되어지며,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집수부(17)와, 상기 바닥집수부(17)의 일측상면에는 다수개의 요철홈(18)들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바닥집수부(17)의 타측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바닥집수부(17)로부터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단턱부(19)가 형성되어진 구성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의 옥상바닥마감층용 P.C. 집수판이다.

Description

옥상바닥마감층용 P.C. 집수판
제1도는 종래의 P.C. 집수판이 옥상바닥에 설치된 상태의 도면으로서,
(a)도는 건축물의 옥상바닥구조의 일부 평면도.
(b)도는 (a)도의 A-A선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경량콘크리트판으로써 이루어진 P.C. 집수판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P.C. 집수판이 옥상바닥에 설치된 상태의 도면으로서,
(a)도는 집수판 상면에 조적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도는 집수판 상면에 보조방수층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제2실시예로서 경량콘크리트판과 단열판이 일체로 성형된 P.C. 집수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크리트슬라브층 2 : 방수층
3 : 누룸콘크리트층 4 : 난간벽체
5 : P.C. 집수판 6 : 배수구
7 : 내측단턱 8 : 외측단턱
9 : 조적조 10 : 몰탈
11 : 루프드레인 12 : 콘크리트슬라브층
13 : 방수층 14 : 누룸콘크리트층
15 : 난간벽체 16,16' : 경량콘크리트판
17,17' : 바닥집수부 18,18' : 요철홈
19,19' : 내측단턱부 20 : 몰탈
21 : 조적조 22 : 신축줄눈
23 : 보조방수층 24 : 단열판
본 고안은 건축물의 옥상에 떨어지는 빗물을 배수구쪽으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옥상바닥구조의 가장자리 주변부에 설치되는 옥상바닥마감층용 P.C. 집수판으로서, 특히 난간벽체 내측에 설치되는 방수보호층의 하부와 긴밀히 접착되게 하기 위한 건축물의 옥상바닥마감층용 P.C. 집수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물의 옥상바닥 마감층용 P.C. 집수판은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평3-101721호에서 공개된 바와 같이, 상기 P.C. 집수판(5)은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되, 상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빗물이 배수되는 일정깊이의 배수구(6)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수구의 바닥상면보다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1쌍의 내,외측단턱(7)(8)들에 대한 옥상바닥 배수구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의 P.C. 집수판(5)은 난간벽체(4)의 하부와 옥상바닥층이 인접하는 옥상바닥의 가장자리 부분의 콘크리트슬라브층(1)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옥상바닥에 떨어지는 빗물을 가장자리부에서 배수구쪽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P.C. 집수판의 중앙부에 배수구(6)를 형성하고, 난간벽체(4)의 내부에 설치된 방수층(2)을 보호하기 위하여 P.C. 집수판의 외측단턱(8)에는 방수층을 보호하는 조적조(9)를 적층시키고, 상기 P.C. 집수판의 내측단턱과 콘크리트를 현장타설하여 성형되는 누룸콘크리트층(3)과의 연결부 사이에는 누룸콘크리트층(3)과 동일한 평면상으로 연결되도록 신축줄눈을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P.C. 집수판(5)은 옥상바닥층에 떨어지는 빗물을 옥상바닥의 일정한 구배를 따라 옥상바닥의 가장자리에 설치된 P.C. 집수판의 내측단턱(7) 상부를 넘어 배수구(6)로 집수시켜서 루프드레인(11)을 통하여 배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의 종래 P.C. 집수판(5)은 옥상바닥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콘크리트슬라브층(1)의 상부에 방수층(2)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로 성형시킨 누룸콘크리트층(3)과 별도로 옥상바닥구조를 부분적으로 P.C.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옥상바닥에 떨어진 빗물을 일정한 곳으로 집수하여 배수시켜 주고, 또한 공사기간단축 등의 효과는 어느 정도 있으나, P.C. 집수판(5)의 방수층(2)을 보호하는 조적조(9)와 접착되는 외측단턱(8)의 상면이 평활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단턱(8)의 상면에 부설되는 몰탈의 부착면적이 좁음으로써 몰탈에 의한 부착력이 견고하지 못하여 열팽창 및 외력에 의한 변형 등으로 인하여 들뜨거나 연결부에 균열이 발생되어 옥상바닥에서 가장자리부로 집수된 빗물이 그 틈사이로 침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방수층보호를 위해 설치되는 조적조 또는 보조방수층과 경량콘크리트판사이의 상기 접합부 상면에 부착면적을 넓혀 부착력을 증대시키도록 경량콘크리트판의 일측상면에 요철홈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경량콘크리트판의 일측상면과 조적조 또는 보조 방수층과의 접합부사이에 접착되는 몰탈의 부착면적을 넓혀 부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방스층내로의 빗물침투를 방지하고, 둘째 경량콘크리트판이 경량골재·시멘트 및 폴리머를 혼합하여 성형됨으로써 운반 및 설치등의 취급이 용이한 P.C. 집수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건축물 옥상마감층용 P.C. 집수판은 제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량골재·시멘트 및 폴리머 등을 혼합한 경량콘크리트판(16)으로 성형되어지되,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집수부(17)와, 상기 바닥집수부(17)의 일측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개의 요철홈(18)들과, 상기 바닥집수부(17)의 타측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바닥집수주(17)로부터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외측단턱부(19)로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P.C. 집수판은 운반 및 설치작업 등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경량 골재·시멘트 및 폴리머 등을 혼합하한 경량콘크리트판(16)으로 만들어지며, 상기 바닥집수부(17)의 일측상면에 다수개의 요철홈(18)들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이유는 들쑥날쑥한 일측표면상에 방수층(13)을 보호하는 조적조(21) 또는 보조방수층(23)사이의 접착면을 넓게함으로써 몰탈 또는 방수재의 접착제가 들뜨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접착강도를 증대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상기 방수층(13)을 보호하는 형태는 2가지의 형태를 보여준다.
즉, 제3도의 (a)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방수층(13)을 보호하는 조적조(21)가 적층될 수 있고, 제3도의 (b)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보조방수층(23)이 일체로 도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적조(21)가 적층될 경우에는 조적조(21) 하부에서 접착되는 몰탈(20)이 경량콘크리트판(16)의 요철홈(18)내로 깔려 부착면적을 넓혀줌으로써 부착력을 증대시켜 주며, 또한 보조방수층(23)이 도포될 경우에도 방수재가 요철홈(18)내로 접착되어 긴밀하게 부착된다.
또한, 제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갖는 제2실시예의 경량콘크리트판(16')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제2실시예에서 상부구조는 바닥집수부(17')와 다수개의 요철홈(18')들과 내측단턱부(19')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경량콘크리트판(16)의 상부구조와 동일한 구조로서 그 두께가 작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구조의 하면에 경량콘크리트판(16)과 동일한 폭과 길이를 가지는 단열판(24)을 상부구조에 일체로 부착시킨 하부구조로 이루어진 옥상바닥단열을 겸한 경량콘크리트판(16')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경량콘크리트판(16')의 저면부에 부착되는 단열판(24)은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로폴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옥상바닥 콘크리트슬라브층(12) 상부에 방수층(13)이 부설된 상태에서 옥상바닥의 가장자리, 즉 난간벽체(15)의 하부와 옥상바닥의 콘크리트슬라브층(12)의 상면에 현장타설한 누룸콘크리트층(14)의 사이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간부에 본 고안 옥상마감층의 경량콘크리트판(16)을 끼워 요철홈(18)이 형성된 일측부분을 난간벽체(15)쪽으로 위치되게 설치하고, 그 요철홈(18)의 상면에 방수층(13)을 보호하는 조적조(21) 또는 보조방수층(23)을 몰탈(20) 또는 방수재로 접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경량콘크리트판(16)의 일측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요철홈(18)들이 형성되어 그 상부에 접착되는 방수층을 보호하는 조적조 또는 보조방수층간에 접착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평활면으로 형성된 종래의 것에 비하여 접착강도가 월등히 높기 때문에 접합부가 들뜨거나 균열발생이 방지되어 외부로 부터의 빗물이 침투되지 않게 된다.
또한, 난간벽체(15)와 옥상바닥의 가장자리에서 바닥집수부(17)(17')에 의한 배수로가 형성되어 옥상바닥에 떨어지는 빗물을 바닥집수부로 유도하여 루프드레인쪽으로 배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첫째, 경량콘크리트판(16)의 일측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요철홈(18)들이 형성되어 그 상부에 접착되는 방수층(13) 보호를 위한 조적조(21) 또는 보조방수층(23)과의 접착면적을 넓게 하여 부착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부착강도를 증대시켜 접착층이 들뜨거나 균열을 방지하여 빗물로부터의 침투를 막는 효과가 있으며, 둘째, 경량콘크리트판(16)을 경량골재·시멘트 및 폴리머를 혼합하여 성형시킴으로써 운반 및 설치 등의 취급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축물 옥상마감층의 P.C. 집수판은 옥상마감층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빗물을 배수구쪽으로 원활하게 배수시켜 주며, 또한 경량콘크리트판 일측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요철홈이 형성되어 그 상부에 접착되는 방수층을 보호하는 조적조 또는 보조방수층간의 부착강도를 증대시키며, 하면에 단열판을 일체로 부착시켜 단열성을 증대시키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경량골재·시멘트 및 폴리머 등을 혼합한 경량콘크리트판(16)으로 성형되어지되,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집수부(17)와, 상기 바닥집수부(17)의 일측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개의 요철홈(18)들과, 상기 바닥집수부(17)의 타측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바닥집수부(17)로부터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되는 내측단턱부(1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바닥마감층용 P.C. 집수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콘크리트판(16')은 경량콘크리트판(16)의 상부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그 두께가 작게 형성되어 단열판(24)을 일체로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바닥마감층용 P.C. 집수판.
KR2019960024358U 1996-08-13 1996-08-13 옥상바닥마감층용 p.c. 집수판 KR0134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358U KR0134426Y1 (ko) 1996-08-13 1996-08-13 옥상바닥마감층용 p.c. 집수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4358U KR0134426Y1 (ko) 1996-08-13 1996-08-13 옥상바닥마감층용 p.c. 집수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886U KR19980010886U (ko) 1998-05-15
KR0134426Y1 true KR0134426Y1 (ko) 1999-02-18

Family

ID=19463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4358U KR0134426Y1 (ko) 1996-08-13 1996-08-13 옥상바닥마감층용 p.c. 집수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4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973B1 (ko) 2020-07-03 2021-04-14 대산산업(주) 이탈 방지 방식의 집수판 덮개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8798A (zh) * 2018-10-12 2019-01-15 中国建筑第四工程局有限公司 一种楼板的保温隔声防渗漏施工方法及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973B1 (ko) 2020-07-03 2021-04-14 대산산업(주) 이탈 방지 방식의 집수판 덮개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886U (ko)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7020B1 (ko) 옥상 방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FI91180B (fi) Ennalta valmistettu rakennuksen perustuselementti
US4663909A (en) Outer heat insulating structure on a building roof
US4548003A (en) Prefabricated balcony platform
KR100695325B1 (ko) 미끄럼방지용 배수판
KR0134426Y1 (ko) 옥상바닥마감층용 p.c. 집수판
KR101920704B1 (ko) 무근 일체화 키를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테두리 보호장치
KR0134428Y1 (ko) 옥상바닥마감층용 p.c. 단열집수판
JPH102071A (ja) 建築外装用断熱下地材
JP3886744B2 (ja) 住宅の陸屋根
US5070669A (en) Heat-insulation and water-proofing brick bond
SU977639A1 (ru) Панель перекрыти
JPH09119195A (ja) 屋根構造
KR101042626B1 (ko) 건축용 지붕 단열재
KR200406975Y1 (ko) 루프 드레인
JPS6350338Y2 (ko)
FI64970B (fi) Vattentakselement foer en byggnad och foerfarande foer dess tilverkning
JP5269308B2 (ja) 建物の外部床の床面構造、及び該床面構造の形成方法。
JPS625461Y2 (ko)
JP3059802U (ja) 低層建築物における床部の排水処理構造
JPS623445Y2 (ko)
KR960034619A (ko) 옥상바닥용 포장판 및 옥상바닥 시공방법
JP2521076Y2 (ja) 屋根の壁際の水下側水切り構造
JPH0217057Y2 (ko)
JP4263272B2 (ja) 寄せ棟用窯業系屋根材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