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085Y1 - 이송강판표면의이물제거용유동브러쉬롤 - Google Patents

이송강판표면의이물제거용유동브러쉬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085Y1
KR200238085Y1 KR2019960056462U KR19960056462U KR200238085Y1 KR 200238085 Y1 KR200238085 Y1 KR 200238085Y1 KR 2019960056462 U KR2019960056462 U KR 2019960056462U KR 19960056462 U KR19960056462 U KR 19960056462U KR 200238085 Y1 KR200238085 Y1 KR 200238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brush
flow
fixed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6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3349U (ko
Inventor
박순복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60056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085Y1/ko
Publication of KR19980043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0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78Cleaning devices remov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날카로운 박판 단부측에 의하여 브러쉬가 마모되는 경우에도 박판 양단부에 부착된 이물질제거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송강판표면의 이물제거용 유동브러시롤에 관한 것으로, 외표면에 칩이 촘촘하고 균일하게 설치된 고정브러쉬부(101);와, 상기 고정브러쉬부(101)의 양측단부에 고정되는 외부축(113)(113′)의 하나는 구동모터(103)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베어링블럭(107)에 장착되며, 상기 외부축(113)(113′)의 외측에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외표면에 칩(114)을 촘촘하게 설치한 칩지지부(111a)(111b)(111c)(111d)를 갖추고, 상기 칩지지부 각각의 내표면에 고정된 유동부(112)(112′)의 내측 단부의 머리부는, 상기 외부축(113)(113′)의 내측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된 내부축(110)(110′)의 외표면부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캠형 곡선턱(108)에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외부축(113)(113′)에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인장스프링(116)(116′)과 압축스프링(115)(115′) 삽입홈이 원주방향으로 서로 교대로 다수개 갖추어지며, 상기 내부축(110)(110′)의 일측 저부에는 브레이크 라이너(105)(105′)가 각각 에어 실린더(106)(106′)에 의해 접촉할 수 있도록 한 유동브러쉬부(102)(10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송강판표면의 이물제거용 유동브러쉬롤
본 고안은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규소박판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날카로운 박판 단부측에 의하여 브러쉬가 마모되는 경우에도 박판 양단부에 부착된 이물질제거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송강판표면의 이물제거용 유동브러쉬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규소강판에는 냉간 압연 작업중에 압연유가 도포되어지고, 이러한 압연유는, 알카리(Alkali) 수용액을 분사하고 그 강판의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된, 브러쉬롤을 강판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고속 회전시켜 세정하게 된다. 이러한 강판 표면의 이물질 제거작업에 있어서는 브러쉬롤의 외표면에 촘촘하게 형성된 칩이 강판의 폭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상태로 유지하고 있어야만 그 브러쉬롤을 강판의 표면에 적정한 압력으로 접촉하게 되는 경우 강판의 폭방향에 걸쳐 균일한 이물질 제거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강판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는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강판(S)의 상하부면에 각각 접촉하여 회전하는 브러쉬롤(6)(6′)을 설치하고, 이러한 브러쉬롤(6)(6′)이 설치된 부분에는 보조롤(7)을 각각 설치함으로서 상기 브러쉬롤(6)(6′)이 강판에 적정한 압력으로 접촉하는 경우에 변형되는 강판을 지지하여 주도록 한다.
이러한 브러쉬롤(6)(6′)의 표면에는 나일론 등의 재질로 된 칩이 촘촘하게 박혀져 있어 강판에 적정한 압력으로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그 강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고, 따라서 적정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칩은 마모되어 지고, 특히 양단부측 칩은 연마되어지지 않고 날카로운 강판의 양단부측에 접촉하여 그 마모속도가 다른 부위에 비하여 빠르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통상적인 강판의 이동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그 경로가 폭방향으로 변화되어지는 이른바 편심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경우에는 강판의 양단부 위치가 적정폭으로 이동하면서 브러쉬롤에 접촉하게 되어 결국에는 브러쉬롤(6)(6′)의 양단부의 일정 폭에 해당하는 부분의 칩이 마모되며, 따라서 그러한 부분을 통과하게 되는 강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이물질 제거는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종래의 강판 표면 이물질 제거를 위한 장치를 강판의 편심조정장치와 함께 도시하는바, 이는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투광기(3)의 양측을 감싸도록 “∩”형 좌우센서 가림이동구(11)(11′)를 설치하되 좌우 센서가림 이동구(11)(11′)를 이동축(12)에 연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센서가림 이동구(11′)의 우측에 위치하는 이동축(12) 아래에 아이들롤(13)을 설치하며, 센서가림이동구(11)의 좌측에 위치하는 이동축(12)에는 래크(14)를 설치하여 래크(14)에 맞물리는 기어(15)는 모터(16)에 연결하고, 모터(16)에 타이머(17)를 연결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강판에 편심이 발생되면 그를 센서가 감지하여 스티어링롤(1)을 조정하게 되는바, 강판은 일정한 폭방향 변위를 가진채 브러쉬롤(6)(6′)에 의하여 그 상하부 표면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따라서, 일정한 장력으로 당겨져 박판 상,하부 표면에는 보조롤(7)과 브러쉬롤(6)(6′)이 각각 한조씩 위치하고, 이러한 보조롤(7)은 박판을 지지하게 되며, 브러쉬롤(6)(6′)이 일정한 압하력으로 고속 회전하면서 박판표면에 부착된 압연유나 이물질을 세정하게 되지만, 강판이 폭방향의 좌, 우방향으로 일정한 정도 이동되면서 진행하게 되면 박판의 날카로운 에지(Edge)부로 인해 일정한 범위의 브러쉬롤칩이 절단되어 그 범위에서는 이물질 제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일정시간 브러쉬롤을 사용하다보면 브러쉬롤 양측 에지부가 폭:100mm~150mm, 깊이 : 20~30mm 정도의 깊은 “틈”(칩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생기기 때문에 세정시 박판 상,하면 양측 가장자리부가 탈지되지 않아 후속공정인 절연코팅시 에지부 피막 박리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가동중인 라인을 정지후 교환해야 하는 문제로 인한 생산량 감소에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표면에 나일론등으로 된 칩을 촘촘하게 부착한 브러쉬롤을 이송되는 강판의 상하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함으로서 강판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 강판이 편심에 의하여 좌우측으로 그 경로가 변화하더라도 강판의 전폭에 걸쳐 균일하고 확실한 이물질제거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송강판표면의 이물제거용 유동브러쉬롤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하여 브러쉬롤이 장착된 설비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센서와 그 구성요소를 도시한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에 의한 강판 표면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개략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강판표면의 이물제거용 유동브러쉬롤을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고정 브러쉬부 102, 102′ : 유동브러쉬부
103 : 구동모터 104 : 풀리
105, 105′ : 브레이크 라이너 106, 106′ : 에어실린더
107 : 베어링 블록 108, 108′ : 곡선턱
109, 109′ : 베어링 110, 110′ : 내부축
111a, 111b, 111c, 111d : 칩 지지부 112, 112′ : 유동부재
113, 113′ : 외부축 114 : 칩
115, 115′ : 압축스프링 116, 116′ : 인장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외표면에 칩을 촘촘하게 형성하여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강판의 표면에 첩촉하여 그 강판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된 브러쉬롤에 있어서, 외표면에 칩이 촘촘하고 균일하게 설치된 고정브러쉬부;와, 상기 고정브러쉬부의 양측단부에 고정되는 외부축의 하나는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베어링블럭에 장착되며, 상기 외부축의 외측에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외표면에 칩을 촘촘하게 설치한 칩지지부를 갖추고, 상기 칩지지부 각각의 내표면에 고정된 유동부재의 내측 단부의 머리부는, 상기 외부축의 내측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된 내부축의 외표면부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캠형 곡선턱에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외부축에는 인장스프링과 압축스프링이 다수개 갖추어지며, 상기 내부축의 일측 저부에는 브레이크 라이너가 각각 에어 실린더에 의해 접촉할 수 있도록 한 유동브러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강판표면의 이물제거용 유동브러쉬롤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이송강판표면의 이물제거용 유동브러쉬롤을 도시한 외관사시도이고, 제5도는 측단면도, 제6도는 정단면도로서, 브러쉬롤은 구동모터(103)에 연결되어 회전가능하도록 된 외부축(113)에는 구동풀리(104)가, 반대측 외부축(113′)에는 베어링 블럭(107)이 각각 장착되어 회전가능하고, 중앙부에 중공원통형 고정 브러쉬부(101)가, 양측에는 유동 브러쉬부(102)(102′)가 각각 갖추어진다.
상기 유동 브러쉬부(102)(102′)의 내부구성은 내부축(110)(110′)에 원주방향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캠형 곡선턱(108)(108′)을 형성하고, 이러한 곡선턱(108)(108′)은 유동부재(112)(112′)의 머리부분에 접촉되며, 상기 외부축(113)(113′)에는 인장 스프링(116)(116′)과 압축스프링(115)(115′)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이 가공되고, 칩지지부(111a)(111b)(111c)(111d)는 원주방향으로 “4”등분되어 있으며, 이는 각각 유동부재(112)(112′)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그 사이에는 압축스프링(115)(115′)이 각각 끼워지며, 상기 칩 지지부(111a)(111b)(111c)(111d)의 양측에는 인장스프링(116)(116′)의 일단이 연결되는 견인 고리가 가공되고, 상기 인장스프링(116)(116′)의 타단은 상기 외부축(113)(113′)측 견인고리에 끼워져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칩지지부(111a)(111b)(111c)(111d)의 외표면에는 다수개의 칩(114)이 견고히 심어지게 된다.
상기 내부축(110)(110′) 일측 저부에는 내열재인 패드가 장착된 브레이크 라이너(105)(105′)가 각각 에어 실린더(106)(106′)에 의해 접촉 또는 이격되어 내부축(110)(110′)을 브레이크작용에 의하여 정지시키거나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규소박판 표면에 묻어 있는 압연유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세정설비 내에서 일정시간 브러쉬롤을 사용한 후 양측 에지부가 일정량 마모되어 틈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에어 실린더(106)(106′)를 상승시켜 브레이크 라이너(105)(105′) 내접면이 내부축(110)(110′) 외접부를 그립시켜 정지시키게 된다.
상기 내부축(110)(110′)에 형성된 곡선턱(108)(108′)은 점차적으로 유동부재(112)(112′)를 밀쳐 올리게 된다. 상기 유동부재(112)(112′)와 일체화된 칩지지부(111a)(111b)(111c)(111d)는 서서히 상승됨과 동시에 외부면에 형성된 다수의 칩(114)을 상승시켜 돌출되도록 한다.
한편, 유동부재에 장착된 압축스프링(115)(115′)은 동시에 압축되며, 칩지지부(111a)(111b)(111c)(111d) 양측에 연결되어 견인되는 인장스프링(116)(116′)은 인장된다.
이후 상기 곡선턱(108)(108′)이 완만해지면서 유동부재(112)(112′)는 하강되고 돌출되어 있는 칩(114)이 원위치되는 작용이 반복적으로 발생되게 되다.
이상과 같은 작용으로 인해 마모된 양측 에지(Edge)부를 박판 표면에 돌출 접촉시켜 세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송강판표면의 이물제거용 유동브러쉬롤에 의하면, 규소박판 양 에지부 탈지불량을 근본적으로 해결함으로서 절연코팅시 에지부 박리결함을 제거시킬 수 있고 잦은 브러쉬롤 교환작업에 따른 생산장애 시간을 줄여 생산량증가 및 원가절감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외표면에 칩을 촘촘하게 형성하여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강판의 표면에 접촉하여 그 강판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된 브러쉬롤에 있어서, 외표면에 칩이 촘촘하고 균일하게 설치된 고정브러쉬부(101);와, 상기 고정브러쉬부(101)의 양측단부에 고정되는 외부축(113)(113′)의 하나는 구동모터(103)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베어링블럭(107)에 장착되며, 상기 외부축(113)(113′)의 외측에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외표면에 칩(114)을 촘촘하게 설치한 칩지지부(111a)(111b)(111c)(111d)를 갖추고, 상기 칩지지부 각각의 내표면에 고정된 유동부(112)(112′)의 내측 단부의 머리부는, 상기 외부축(113)(113′)의 내측에 끼워져 회전가능하도록 된 내부축(110)(110′)의 외표면부에 원주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캠형 곡선턱(108)(108′)에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외부축(113)(113′)에는 인장스프링(116)(116′)과 압축스프링(115)(115′)이 다수개 갖추어지며, 상기 내부축(110)(110′)의 일측 저부에는 브레이크 라이너(105)(105′)가 각각 에어 실린더(106)(106′)에 의해 접촉할 수 있도록 한 유동브러쉬부(102)(10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강판표면의 이물제거용 유동브러쉬롤.
KR2019960056462U 1996-12-24 1996-12-24 이송강판표면의이물제거용유동브러쉬롤 KR200238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462U KR200238085Y1 (ko) 1996-12-24 1996-12-24 이송강판표면의이물제거용유동브러쉬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462U KR200238085Y1 (ko) 1996-12-24 1996-12-24 이송강판표면의이물제거용유동브러쉬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349U KR19980043349U (ko) 1998-09-25
KR200238085Y1 true KR200238085Y1 (ko) 2001-11-22

Family

ID=5399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6462U KR200238085Y1 (ko) 1996-12-24 1996-12-24 이송강판표면의이물제거용유동브러쉬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08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171B1 (ko) * 2002-08-29 2009-12-01 주식회사 포스코 탈지설비의 브러쉬롤 폭 조절장치
KR101017620B1 (ko) 2003-08-09 2011-02-28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강판 세척용 브러쉬롤의 편차 마모방지장치
KR101359671B1 (ko) 2013-11-01 2014-02-24 한강중공업주식회사 스트립 절단칩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847B1 (ko) * 2001-11-30 2008-07-04 주식회사 포스코 브러쉬 롤러의 원심력에 의한 용액 자동 조절 장치
KR100822963B1 (ko) * 2002-05-29 2008-04-17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표면의 소제장치
KR100822962B1 (ko) * 2002-05-29 2008-04-17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소제용 브러쉬롤의 국부마모 방지장치
KR100851171B1 (ko) * 2002-06-05 2008-08-08 주식회사 포스코 역세척이 가능한 스케일을 포함한 냉각수 필터링장치
KR100782731B1 (ko) * 2006-07-10 2007-12-05 주식회사 포스코 양면형 강판 세정용 브러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171B1 (ko) * 2002-08-29 2009-12-01 주식회사 포스코 탈지설비의 브러쉬롤 폭 조절장치
KR101017620B1 (ko) 2003-08-09 2011-02-28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강판 세척용 브러쉬롤의 편차 마모방지장치
KR101359671B1 (ko) 2013-11-01 2014-02-24 한강중공업주식회사 스트립 절단칩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349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8085Y1 (ko) 이송강판표면의이물제거용유동브러쉬롤
US5683291A (en) Device for surface machining of workpieces
JPH10249702A (ja) バリ取り装置
CN2066377U (zh) 圆环刀具
EP04796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eling a sheet or layer from a workpiece
US5345865A (en) Hickey removal system
US4418503A (en) Apparatus for continuously polishing the pressure roller of a coiling machine
US6006664A (en) Offset printing device for a rotary printing machine
RU229425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смаз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на внешние поверхности валков прокатных клетей
JPH08208020A (ja) ベルトクリーナ装置
JP3992273B2 (ja) ウェーハエッジ洗浄装置
US5400711A (en) Hickey removal system
CA2418180A1 (en) Apparatus for refurbishing belts
JPH0839411A (ja) ヘアライン加工機
KR100929171B1 (ko) 탈지설비의 브러쉬롤 폭 조절장치
KR100797947B1 (ko) 강판코일의 오일흡수 포장보호지 제거장치
JPH0237773Y2 (ko)
KR19990064552A (ko) 인쇄회로기판 정면기 및 그 드레싱방법
KR200361279Y1 (ko) 롤러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JPS6222498Y2 (ko)
SU156566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шлифовани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заготовок
KR20040036061A (ko) 스트립의 에지버어 제거장치
KR20010001804U (ko) 스킨 패스 압연기의 백업롤 이물질 제거장치
KR100216470B1 (ko) 면사상 장치
KR970004745Y1 (ko) 조질압연기의 백업롤 폴리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