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470B1 - 면사상 장치 - Google Patents

면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470B1
KR100216470B1 KR1019960079556A KR19960079556A KR100216470B1 KR 100216470 B1 KR100216470 B1 KR 100216470B1 KR 1019960079556 A KR1019960079556 A KR 1019960079556A KR 19960079556 A KR19960079556 A KR 19960079556A KR 100216470 B1 KR100216470 B1 KR 100216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roller
roller member
tension
bel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9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203A (ko
Inventor
황보창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79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470B1/ko
Publication of KR19980060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06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for special purposes, e.g. for television tubes, car bu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008Machines comprising two or more tools or having several working po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1/00Machines or devices using grinding or polishing belts; Accessories therefor
    • B24B21/18Accessories
    • B24B21/20Accessories for controlling or adjusting the tracking or the tension of the grinding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사출성형이나 진공성형 또는 진공주형품의 면 사상에 따른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작동 스위치 조작으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복수개로 연결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롤러부재와,
상기 주롤러부재로부터 일정 간각 이격 설치되는 종롤러부재와,
상기 종롤러부재와 주롤러부재에 다양한 사포면을 갖고 거치되는 벨트부재와,
상기 벨트부재의 중간에 설치되어 장력 조절과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장력 조절수단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면 사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면 사상장치
본 발명은 면 사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성형이나 진공하기 성형 도는 진공주형으로 제작된 제품의 면 사상에 따른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한 자동 면 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사출 진공 성형이나 진공주형의 공정을 거친 의장품등의 면 고르기 작업은 작업자가 사포를 사용하여 제품의 면을 직접 문질러 사상작업을 하였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제품의 사상작업에 따른 많은 작업인원과 작업시간이 소요됨에 따라 생산성이 저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성형이나 진공성형 또는 진공주형품의 면 사상에 따른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한 자동 면 사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작동 스위치 조작으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복수개로 연결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롤러부재와,
상기 주롤러부재로부터 일정 간각 이격 설치되는 종롤러부재와,
상기 종롤러부재와 주롤러부재에 다앙한 사포면을 갖고 거치되는 벨트부재와,
상기 벨트부재의 중간에 설치되어 장력 조절과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장력조절수단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면 사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장력 조절수단은 주,종 롤러부재 사이에 벨트부재의 폭만큼 간격을 두고 한조로 설치되는 브릿지 프레임과, 이 브릿지 프레임에 벨트부재의 장력 조절시 조절롤러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조정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면 사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브릿지 프레임에는 조정부재와 견고한 치합이 이루어지게 수직으로 조절치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면 사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조정부재는 조절롤러를 설치하면서 양단에 나사부를 형성한 조절롤러축, 이 조절롤러축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로 조여져 조절치홈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기울기를 갖는 외주면에 스플라이 기어를 형성한 조절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면 사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다른 면 사상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A부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면 사상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부를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2)는 면 사상장치를 지칭한다.
상기한 면 사상장치(2)는 구동수단(4)과, 주롤러부재(6), 그리고 종롤러부재(8), 벨트부재(10) 및 장력 조절수단(12)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면 사상장치(2)의 구동수단(4)은 작동 스위치(14) 조작으로 동력을 발생하는 수단이다.
상기한 구동수단(4)은 모타(16)와, 이 모타(16)에 설치된 회전축(18)에 복수개 설치되어 벨트부재(10)에 호전력을 전달하고 있다.
상기한 주롤러부재(6)는 회전축(18)에 조립되는 주롤러(20)와, 이 주롤러(20)가 설치된 회전축(18)은 제1지지 브라켓트(21)로 거치하고 있다.
상기한 제1지지 브라켓트(21)에는 회전축(18)의 베어링(22)을 고정하기 위한 제1홀더(2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면 사상장치(2)의 종롤러부재(8)는 주롤러부재(6)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벨트부재(10)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상기한 종롤러부재(8)는 제1지지브라켓트(21)의 타측에 설치된 제2지지브라겟트(26)와, 이 제2지지브라켓트(26)에 거치되는 종롤러(28)는 롤러축(29)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제2지지브라켓트(26)에 거치되는 롤러축(29)은 제2홀더(30)에 의해 고징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제1, 2홀더(24), (30)에는 베어링의 개재가 이루어지는 개재홈(31)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의 체결을 볼트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면 사상장치(2)의 벨트부재(10)는 종롤러부재(8)와 주롤러부재(6)에 사포의 거칠기를 각각 달리하여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벨트부재(10)는 작업이 작업순서에 따라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즉, 회전하고 있는 타 벨트에 의한 간섭을 딜받게 각각 길이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또는 각각 일정한 길이로 설치할 수 도 있다.
상기한 장력 조절수단(12)은 주,종 롤러부재(6), (8)사이에 벨트부재(10)의 폭 만큼 간격을 두고 브릿지 프레임(32)을 한조로 설치하고 있으며, 이 브릿지 프레임(32)에 벨트부재(10)의 장력 조절시 조절롤러(34)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조정부재(36)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브릿지 프레임(32)에는 조정부재(36)와 견고한 치합이 이루어지게 조절치홈(38)을 수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조정부재(36)는 조절롤러(34)를 설치하면서 양단에 나사부(38)를 조절롤러축(40)에 형성하고 있으며, 이 조절롤러축(40)의 나사부(41)에 조임너트(42)를 체결하여 조절축(44)을 조이고 있다.
상기한 조절축(44)에는 조절치홈(46)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기울기를 갖는 외주면에 스플라인 기어(48)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사출성형이나 진공 주형등의 물품을 사상 작업하기 의하여 작동 스의치(14)를 온 조작하여 구동수단(4)의 모타(16)를 작동시킨다.
상기한 모타(16)의 작동으로 동력은 회전축(18)을 통해 주롤러부재(6)의 주롤러(2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주롤러(20)에 거치뇐 벨트부재(10)는 회전하게 되고, 장력 조절수단(12)에 의해 팽팽한 상태에세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벨트부재(10)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사상할물품을 먼저 거칠기가 심한 벨트부재(10)로부터 거칠기가 미세한 벨트부재(10)로 이동하면서 사상 작업을 한다.
이렇게 하여 사상작업이 완료되면, 사상물품면은 고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벨트부재(10)가 늘어져 있으면 장력 조절수단(12)의 조정부재(36)를 사용하여 브릿지 프레임(32)상에서 높이면 장력이 증대되고, 내리면 장력이 낮아지게 된다.
즉, 상기한 조정부재(36)의 조절롤러축(40) 나사부(41)에 체결된 조임너트(42)를 풀어주고 나서 조절축(44)의 직경이 작은 부분을 조절치홈(38)에 위치시킨 다음 조절롤러(34)상에 위치한 벨트부재(10)를 팽팽한 생태가 되게끔 올린다.
그런 다음 상기한 조임너트(42)를 조이면 조절축(44)은 조절치홈(38)에 유격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벨트부재(10)의 교환시에는 반대로 조임너트(42)를 풀어 느슨하게 한 다음 제1,2지지 브라겟트(21), (26)의 홀더부(24), (30)를 분리하여 롤러축(29)과 회전축(18)을 들어낸 후 교환 작입을 한 후 역순으로 조립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거칠기가 따른 벨트부재를 복수개 장착하여 사상물품을 이동시켜 가면서 작업하기 때문에 신속한 사상 작업이 이루어지는 발명이다.
즉, 면 사상장치를 가동하므로서 작업인원의 절감이 이루어지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발명이다.

Claims (4)

  1. 작동 스위치 조작으로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복수개로 연결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롤러부재와, 상기 주롤러부재로부터 일정 간각 이격 설치되는 종롤러부재와, 상기 종롤러부재와 주롤러부재에 다양한 사포면을 갖고 거치되는 벨트부재와, 상기 벨트부재의 중간에 설치되어 장력 조절과 교환을 용이하게 하는 장력 조절수단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면 사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장력 조절수단은 주,종 롤러부재 사이에 벨트부재의 폭만큼 간격을 두고 한조로 설치되는 브릿지 프레임과, 이 브릿지 프레임에 벨트부재의 장력 조절시 조절롤러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조정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 지는 면 사상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브릿지 프레임에는 조정부재와 견고한 치합이 이루어지게 수직으로 조절치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면 사상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조정부재는 조절롤러를 설치하면서 양단에 나사부를 형성한 조절롤러축과, 이 조절롤러축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너트로 조여져 조절치홈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기울기를 갖는 외주면에 스플라인 기어를 형성한 조절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면 사상장치.
KR1019960079556A 1996-12-31 1996-12-31 면사상 장치 KR100216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556A KR100216470B1 (ko) 1996-12-31 1996-12-31 면사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556A KR100216470B1 (ko) 1996-12-31 1996-12-31 면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203A KR19980060203A (ko) 1998-10-07
KR100216470B1 true KR100216470B1 (ko) 1999-08-16

Family

ID=1949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9556A KR100216470B1 (ko) 1996-12-31 1996-12-31 면사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514A (ko) * 2018-12-07 2020-06-17 (주) 신형엔지니어링 광폭 벨트그라인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514A (ko) * 2018-12-07 2020-06-17 (주) 신형엔지니어링 광폭 벨트그라인더
KR102194596B1 (ko) * 2018-12-07 2020-12-23 (주) 신형엔지니어링 광폭 벨트그라인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203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5782A (en) Apparatus for printing proofs
CN107225483A (zh) 一种板材双面同步抛光装置
KR100216470B1 (ko) 면사상 장치
US2709000A (en) Tubing pull-out
CN219189050U (zh) 一种激光雕刻辅助切割装置及激光雕刻机
US4085630A (en) Apparatus for adjusting condition of metal of saws
KR20090120191A (ko) 엔진 블록용 터닝장치
KR200238085Y1 (ko) 이송강판표면의이물제거용유동브러쉬롤
CN210360745U (zh) 一种可保证零件精度砂带机
JP2002052457A (ja) ワイヤソー
KR200234301Y1 (ko) 용접용 턴테이블
US4055918A (en) Grinding machine
RU16932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енточного шлифования
KR200393484Y1 (ko) 이송로울러의 오링홈 가공장치
JPH03154768A (ja) ワイヤ式切断機における溝ローラ支持装置
JPH07278968A (ja) 紡機におけるモータの支持構造
CN210996510U (zh) 一种用于回转窑支撑组件的维修装置
CN212735737U (zh) 一种工件夹具同步旋转机构
KR200191409Y1 (ko) 철선 연마장치
CN117564881A (zh) 一种鼓式刹车片弧面打磨装置
JP2916366B2 (ja) サンディングマシン
SU88480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становки и съема деталей
JPH11170152A (ja) ワイヤソー用グルーブローラの緩み止め構造
KR200180613Y1 (ko) 금형교체용 보조장치
KR200218377Y1 (ko) 체크무늬 롤 가공 용더블커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