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807Y1 - 그라인드휠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그라인드휠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807Y1
KR200237807Y1 KR2020010007761U KR20010007761U KR200237807Y1 KR 200237807 Y1 KR200237807 Y1 KR 200237807Y1 KR 2020010007761 U KR2020010007761 U KR 2020010007761U KR 20010007761 U KR20010007761 U KR 20010007761U KR 200237807 Y1 KR200237807 Y1 KR 2002378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oupling
wheel
coupling portion
grind wheel
spi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기섭
Original Assignee
손기섭
최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기섭, 최영민 filed Critical 손기섭
Priority to KR2020010007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8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8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807Y1/ko

Links

Landscapes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삭날 및 결합용통공을 구비한 그라인드휠과 결합 사용되는 그라인드휠고정결합부를 가지는 그라인드휠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삭날의 마모시 연삭날의 교환이 용이한 그라인드휠고정장치의 형상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그라인드휠고정장치는형상의 판으로 형성된 그라인드휠의 고정홈을 포함함으로써, 이에 결합사용되는형태의 결합용통공이 형성된 그라인드휠을 상기 고정홈에 비틀어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른 공구 없이 연삭날이 부착된 그라인드휠만을 간단히 탈착할 수 있으므로, 연삭날 마모시 그라인드휠 교체작업을 신속하고 단순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라인드휠 고정장치{APPARATUS FOR UNIFING THE GRIND WHEEL}
본 고안은 그라인드휠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결합홈을 구비한 고정결합부를 포함함으로써, 이에 대응하는 결합용통공과 연삭날을 구비한 그라인드휠을 통째로 간단히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그라인드휠의 탈착이 용이한그라인드휠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그라인드휠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는 디스크 그라인더의 디스크휠 고정장치(공개번호:94-12082)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크 그라인더의 디스크휠 고정장치는 '돌출된 스핀들에 디스트휠 및 캡을 차례로 결합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스핀들의 끝부분에 캠부를 형성하고 캡에는 캠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캠부와 같은 형상으로 된 입구부와 캡의 회전시 캠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의 고정홈부가 형성된' 디스크휠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크휠을 교환한 다음 캠에 캡부를 고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디스크휠이 가공물을 연삭하는 경우 캡에 캠부가 꽉 끼이게 되어 디스크휠을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캠부에서 캡을 분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장치는 스캠부나 캡이 마모되는 경우 디스크휠이 스핀들에 밀착ㆍ고정되지 않아 디스크휠이 스핀들방향으로 요동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부 연삭날과 상부 결합용통공으로 형성된 그라인드휠과 결합사용되도록 그라인드휠의 고정결합부를 구비한 그라인드휠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그라인드휠고정장치의 고정결합부에 그라인드휠을 체결할 때, 그라인드휠을 하부고정결합부의 상면에 올려 놓아 상부고정결합부의 지름턱과그라인드휠의 지름턱을 단지 접촉하게 함으로써 그라인드휠이 고정결합부와 압착되지 않는 그라인드휠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그라인드휠이 스핀들의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는 그라인드휠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그라인드휠고정장치와 이에 장착되는 그라인드휠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분해사시도.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그라인드휠고정장치의 정면도.
도3b는 도3a 장치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스핀들 14: 걸림턱 16: 상층원판
18: 중간원판 20: 하층원판 32: 상층고정결합부
34: 하층고정결합부 42: 원판고정판 50: 그라인드휠
52: 결합용통공 54: 연삭날 60: 그라인드휠고정장치
본 고안의 목적은, 동력전달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핀들 끝단에 고정결합부를 포함하는 그라인드휠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는 2개의 반달형 원판이 어긋나게 결합된형태로서 그라인드휠에 토오크를 전달하는 상층고정결합부와, 상층고정결합부와 동일한 형태로서 상층고정결합부와 위상을 달리하여 상층고정결합부의 하부에 위치하되 그라인드휠이 스핀들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층고정결합부를 특징으로 하는 고정결합부에 의해 달성된다.
참고로, 상기 그라인드휠고정장치의 고정결합부에 탈착되는 그라인드휠은 상기 2개의 반달형 원판이 어긋나게 결합된형태의 탈착홈과 연삭날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라야 한다. 왜냐하면 본고안에 따른 그라인드휠고정장치와 상기 그라인드휠은 상호 결합되어야 사용가치를 온전히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결합부가 설치된 그라인드휠고정장치와 본고안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그라인드휠의 사시도를, 도2는 도1의 분해사시도를, 도3a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결합부가 설치된 그라인드휠고정장치의 정면도를, 도3b는 도3a 장치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1, 도2를 참조하면 그라인드휠고정장치(60)는 동력전달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핀들(12)을 포함한다. 스핀들(12)의 하부에는 스핀들홈(13)이 형성된다. 스핀들홈(13)은 보울트가 삽입ㆍ고정되도록 나사홈이 형성된다.
도1, 도2를 참조하면 스핀들(12)에는 걸림턱(14)이 끼워진다. 걸림턱(14)은 스핀들(12)의 지름보다 약간 큰 홈을 가지며 상기 홈을 통하여 스핀들(12)에 끼워진다. 스핀들(12) 및 걸림턱(14)에는 스핀들(12)에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결합구멍 (도면 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멍(도면 미도시)을 통하여 걸림턱고정나사 (15)가 삽입ㆍ고정됨으로써 걸림턱(14)이 스핀들(12)에 결합된다.
도1, 도2를 참조하면 스핀들(12)에는 걸림턱(14) 아래로 상층원판(16), 중간원판(18), 하층원판(20), 상층고정결합부(32), 하층고정결합부(34), 원판고정판(42)이 순서대로 결합된다. 이들의 결합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하층원판(20)의 아래에 본 고안에 따른 상층고정결합부(32)와 하층고정결합부(34)가 결합된다. 하층원판(2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보울트머리자리(22) 및 하부보울트머리자리(도면 미도시)가 각각 가공되고 하층원판(20)의 중심에는 스핀들(12)의 지름보다 약간 큰 홈(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울트머리자리 중심부에는 보울트구멍 (24,26)이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상층고정결합부(32)와 하층고정결합부(34)에도 각각 보울트구멍(33,35)이 형성된다. 하층원판(20)의 하부보울트머리자리(도면 미도시)에 형성된 보울트구멍(26)을 통하여 보울트(28)가 끼워지고, 보울트(28)가 끼워진 하층원판 (20)의 아래에 상층고정결합부(32)와 하층고정결합부(34)가 위치하며, 하층원판(20)과 상층고정결합부(32) 및 하층고정결합부(34)에 형성된 보울트구멍(24,33,35)을 통하여 보울트(27)가 끼워진다. 상기 보울트(27)는 너트(36)와 체결된다.
하층원판(20)의 위에는 중간원판(18)이, 중간원판(18)의 위에는 상층원판 (16)이 하층원판(20)에 형성된 보울트구멍(26)에 끼워진 보울트(28)를 통하여 각각 결합된다. 상기 보울트(28)는 너트(29)와 체결된다.
하층원판(20)의 하부에는 상층고정결합부(32) 및 하층고정결합부(34)에 형성된 상층고정결합부구멍(37) 및 하층고정결합부구멍(38)을 통하여 원판고정판(42)이 위치한다. 원판고정판(42)의 지름은 하층원판(20)에 형성된 홈(21)의 지름보다 크고 상층고정결합부구멍(37) 및 하층고정결합부구멍(38)의 지름보다 작게 한다. 또한, 원판고정판(42)의 중심부에는 보울트구멍(43)이 형성되며, 보울트구멍(43) 및 스핀들홈(13)을 통하여 스핀들보울트(44)가 스핀들(12)에 체결됨으로써, 상층원판 (16), 중간원판(18), 하층원판(20), 상층고정결합부(32), 하층고정결합부 (32), 원판고정판(42)이 스핀들(12)에 체결된다.
도1, 도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그라인드휠고정장치의 고정결합부를 상술하면, 고정결합부는 상층고정결합부(32)와 하층고정결합부(34)를 포함한다. 상층고정결합부(32)는 2개의 반달형 원판이 어긋나게 결합된형태이고, 중심부에는 상층고정결합부구멍(37)이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울트구멍(33)이 형성된다. 상층고정결합부구멍(37)의 지름은 하층원판(20)에 형성된 홈(21)의 지름보다 크게 한다. 한편, 도1, 도2, 도3a, 도3b를 참조하면 하층고정결합부(34)는 상층고정결합부(32)와 동일한 형태로서 상층고정결합(32)부와 위상을 달리하여 상층고정결합부 (32)의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하층고정결합부(34)의 보울트구멍(35)은 상층고정결합부(32)의 보울트구멍(33)의 위치에서 일정각도 회전시킨 위치에 형성한다. 특히, 도3b를 참조하면 상층고정결합부(32)의 반달형원판 지름부가 형성하는 지름턱(32a)은, 하층고정결합부(34)와의 결합시 하층고정결합부(34)의 내부에 위치하여야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보울트구멍(35)의 위치를 결정한다. 다시, 도3b를 참조하면 상층고정결합부(32)를 이루는 반달형 원판의 지름은 하층고정결합부(34)의 반달형 원판의 지름보다 약간 작은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하층고정결합부(34)의 반달형 원판의 지름보다 약간 크거나 같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참고로 도1, 도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그라인드휠(50)은, 그라인드휠(50)의 상층부에는 하층고정결합부(34)를 관통하여 하층고정결합부(34)의 상면 및 상층고정결합부(32)의 지름턱(32a)과 접촉하는 결합용통공(52)이 형성된다. 결합용통공(52)은 상층고정결합부(32) 및 하층고정결합부(34)의 형상과 동일한 2개의 반달형 원판이 어긋나게 결합된형태이다. 결합용통공(52)의 반달형 원판의 지름은 상층고정결합부(32) 및 하층고정결합부(34)의 반달형 원판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하여, 그라인드휠(50)을 고정결합부에 결합하는 경우 그라인드휠(50)이 하층고정결합부(34)에 걸리어 빠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결합용통공(52)이 형성되는 상층부의 두께는 상층고정결합부(32)의 두께와 같거나 작으면 되지만, 상층고정결합부(32)의 두께보다 약간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1, 도2를 참조하면 그라인드휠(50)의 하부에는 1 또는 1이상의 연삭날(54)이 부착된다. 즉, 연삭날(54)은 일체로 이루어져 부착되거나, 여러개의 연삭날(54)이 부분부분 부착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일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도3a, 도3b를 참조하면 스핀들에 끼워지는 하층원판(20) 하부에 고정결합부(32,34)가 부착된다. 고정결합부(32,34)는모양의 상층고정결합부(32)와 하층고정결합부(34)가 서로 위상을 달리하여 결합된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모양의 결합용통공(52)을 갖는 그라인드휠(50)이 결합용통공(52) 내부에 하층고정결합부 (34)와 상층고정결합부(32)를 내포하며 하층원판(20) 하부에 위치한다. 이어서, 그라인드휠(50)의 지름턱(52a)이 상층고정결합부(32)의 지름턱(32a)과 접촉하도록 그라인드휠(50)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그라인드휠(50)은 하층고정결합부(34)의 상면 및 상층고정결합부(32)의 지름턱(32a)과 접촉하게 된다.
즉, 그라인드휠(50)은 하층고정결합부(34)의 상면 위에서 상층고정결합부 (32)의 지름턱(32a)과 접촉하므로, 스핀들(12)이 회전하면 상층고정결합부(32)의 지름턱(32a)에 의해 그라인드휠(50)의 지름턱(52a)에 회전력이 가해진다. 따라서,그라인드휠(50)이 스핀들(12)과 함께 회전하고, 그라인드휠(50) 하부의 연삭날(54)이 회전하여 연삭날(54)과 접촉하는 가공물을 연삭하게 된다.
이때, 결합용통공(52)이 형성되는 상층부의 두께는 상층고정결합부(32)의 두께보다 약간 얇게 되어 있으므로 스핀들(12) 방향으로의 요동이 없게 되어 연삭두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일실시예의 경우 상층고정결합부(32)와 하층고정결합부(34)는 별개로 형성되어 스핀들(12)에 결합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층고정결합부(32)와 하층고정결합부(34)는 일체로 형성되어 스핀들(12)에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일실시예의 경우 상층고정결합부(32)와 하층고정결합부(34)는 스핀들 (12)과 별개로 형성되어 스핀들(12)에 체결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핀들(1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연삭날과 결합용통공이 형성된 그라인드휠과 탈착이 용이한 그라인드휠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층고정결합부의 형상을 반달형 원판이 어긋나게 결합된형태로 하여, 반달형 원판지름부가 형성하는 지름턱을 통하여 그라인드휠에 토오크를 전달하므로 큰 토오크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결합용통공이 형성되는 그라인드휠의 상층부의 두께를 상층고정결합부의 두께보다 약간 얇게 형성함으로써, 그라인드휠이 스핀들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게 되어 연삭두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그라인드휠의 결합용통공의 반달형 원판지름을 상층고정결합부의 반달형 원판지름보다 약간 크게 함으로써, 역회전시에도 상층고정결합부가 그라인드휠의 결합용통공과 밀착하게 되어 그라인드휠에 토오크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동력전달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핀들 끝단에 고정결합부를 포함하는 그라인드휠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부는 2개의 반달형 원판이 어긋나게 결합된형태로서 그라인드휠에 토오크를 전달하는 상층고정결합부(32)와, 상층고정결합부와 동일한 형태로서 상층고정결합부와 위상을 달리하여 상층고정결합부의 하부에 위치하되 그라인드휠(50)이 스핀들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층고정결합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드휠 고정장치.
KR2020010007761U 2001-03-21 2001-03-21 그라인드휠 고정장치 KR2002378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761U KR200237807Y1 (ko) 2001-03-21 2001-03-21 그라인드휠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761U KR200237807Y1 (ko) 2001-03-21 2001-03-21 그라인드휠 고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198U Division KR200229678Y1 (ko) 2000-11-17 2000-11-17 결합용통공과 연삭날을 구비한 그라인드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807Y1 true KR200237807Y1 (ko) 2001-10-08

Family

ID=73064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761U KR200237807Y1 (ko) 2001-03-21 2001-03-21 그라인드휠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8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466A (ko) *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실트론 실리콘 웨이퍼 그라인딩 휠
WO2018117436A1 (ko) * 2016-12-21 2018-06-28 이장희 원터치홀더용 고정부를 장착한 연마디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466A (ko) * 2001-12-21 2003-06-27 주식회사 실트론 실리콘 웨이퍼 그라인딩 휠
WO2018117436A1 (ko) * 2016-12-21 2018-06-28 이장희 원터치홀더용 고정부를 장착한 연마디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2435B2 (en) Tool fastenable to a drive shaft of a hand-held power tool driveable in oscillating manner
US8657539B2 (en) Round cutting insert with reverse anti-rotation feature
US20140182873A1 (en) Tool chucking device
JPH081805Y2 (ja) 工具の着脱装置
JP2004261959A (ja) 電動工具用のアングルアタッチメント
EP1616678B1 (en) Clutch assembly and clamp mechanism for rotary tool disc
US20120244788A1 (en) Power tool
JPH08252773A (ja) 円形取付部を備えた砥石チップ嵌込式研磨板
CN110873150B (zh) 具有凸轮的可调冲程装置
JP2005519776A (ja) 回転切削工具
US7131205B2 (en) Electric powered rotary saw
CA2875078A1 (en) Coupling device and cutting tool
EP1211027B1 (en) Clamp mechanism for rotary tool disc
JP2012218091A (ja) 研磨装置
JP2001347414A (ja) 切削体及び切削工具
KR200237807Y1 (ko) 그라인드휠 고정장치
US4251955A (en) Hub assembly
KR200229678Y1 (ko) 결합용통공과 연삭날을 구비한 그라인드휠
JP4833308B2 (ja) 分包機における掻出し装置
JP2005153079A (ja) 回転研削工具の取付装置
JPH09155622A (ja) フライスカッタ
WO2013176217A1 (ja) 作業工具
JP2006205290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ドリル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取付方法
JP2002192409A (ja) 工具の保持構造
WO2013073690A1 (ja) 切削工具及び該切削工具に用いられる切削インサートのクランプ機構のための回転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