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346Y1 -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346Y1
KR200237346Y1 KR20010005835U KR20010005835U KR200237346Y1 KR 200237346 Y1 KR200237346 Y1 KR 200237346Y1 KR 20010005835 U KR20010005835 U KR 20010005835U KR 20010005835 U KR20010005835 U KR 20010005835U KR 200237346 Y1 KR200237346 Y1 KR 200237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unit
incoming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05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윤모
Original Assignee
(주)브이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알시스템 filed Critical (주)브이알시스템
Priority to KR20010005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3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3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8Arrangements providing optical indication of the incoming call, e.g. flasher circuits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를 향하여 보다 더 확실하게 이동형 통신단말기의 착신음을 알리기 위한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보조알람장치는 시각과 청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착신경고부를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착신경고부로부터 발생되는 경고상황을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인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경고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신호를 소정의 이득비율로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불규칙하게 함성된 전기적인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로부터 노이즈가 제거된 감지신호를 인지하여 상기 통신단말기의 착신상황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알람제어명령을 발생하는 알람제어부와, 상기 알람제어부의 알람제어명령에 따라 비교적 주파수가 높고 인지도가 높은 청각적인 보조알람음으로 사용자에게 착신상태를 알리는 보조알람출력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걸려 올 통화에 대하여 거의 정확하게 받을 수 있으므로 정신적인 긴장감으로부터 해방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auxiliary alarm device for the cellular phone of moving}
본 고안은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를 향하여 보다 더 확실하게 이동형 통신단말기의 착신음을 알리기 위한 이동형 통신단말기용보조알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형 통신단말기의 대표적인 것은 는 페이져, 셀롤러폰(이하, 핸드폰이라 함), 개인단말장치(PDA) 등과 같은 통신기기로써, 무선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에서 전화와 같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 중 핸드폰은 그 보급정도가 크고 사용횟수가 잦은 대표적인 장치라 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핸드폰 등의 이동형 단말기의 경우 신호가 착신될 때, 착신점멸장치를 점등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거나, 착신음을 울려 청각적으로 알려준다.
여성의 경우 이동시 핸드백 등의 가방 속에 핸드폰을 넣어가지고 다니므로 전화가 와도 착신신호를 못 들어서 통화를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사용자들의 경우 신호가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단말기를 가방이나 주머니등에 넣고 다니는 경우가 많고, 특히 여성들의 경우 의복에 주머니가 비교적 없는 관계로 핸드폰을 가방에 넣어서 다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가방이나 주머니 등에 의해 착신신호가 밖으로 누출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서 사용자는 착신신호를 인지하지 못하여 낭패를 보는 경우가 다반사이며, 다욱이 주위가 붐비는 여러사람에 의해 시끄럽거나 산만한 장소일 경우(쇼핑이나 물품구매를 위해 백화점이나 시장등에 가게될 경우 이런 곳은 특히 씨끄러워서 거의 착신상태를 알 수 없는 경우)에서는 거의 알아차리지 못하는 한다. 이로 인하여 많은 오해와 불신도 생기게 되면 전화를 못 받을까하는 불안감에 너무 신경을 써서,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이로운 기기가 도리어 더 불편한 상황으로 몰아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동형단말기는 최근에 착신상태를 알리기 위한 보조장치로 단말기의 무선송수신 신호를 감지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점멸시켜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메카니즘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는 무선송수신 신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수신시뿐만 아니라 전화를 걸때도 장치가 작동하는 단점이 있으며,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넣었을때나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착신상태를 거의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단말기에서 착신이 일어난 후 단말기에서 별도의 무선주파수로 떨어져 있는 사용자에게 무선으로 알려주는 장치가 있으나, 이것 또한 별도장치가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있는 경우 착신상태를 알 수가 없고 가격이 고가이기에 성능과 가격면에서 구매욕구를 일어키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이동형 통신단말기가 가방이나 주머니등의 반 밀폐된 공간속에 들어 있거나 시끄러운 장소에 있더라도 사용자에게 착신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한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시각과 청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착신경고부를 갖는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 알람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신경고부로부터 발생되는 경고상황을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인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경고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신호를 소정의 이득비율로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불규칙하게 함성된 전기적인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로부터 노이즈가 제거된 감지신호를 인지하여 상기 통신단말기의 착신상황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알람제어명령을 발생하는 알람제어부와, 상기 알람제어부의 알람제어명령에 따라 비교적 주파수가 높고 인지도가 높은 청각적인 보조알람음으로 사용자에게 착신상태를 알리는 보조알람출력부를 포함하는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알람출력부에는 상기 알람음을 높은(볼륨)음으로 조절하기 볼륨조절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창각을 향하여 상기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고감지수단은 상기 착신경고부로부터 시각적인 점멸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센서와, 상기 착신경고부로부터 청각적인 착신음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착신경고부 3 ; 수광센서
5 ; 음향센서 7 ; 증폭부
9 ; 필터부 11 ; 알람제어부
13 ; 보조알람출력부 15 ; 볼류조절부
17 ; 전원공급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라른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먼저, 무선중계국으로부터 호(전화)접속을 위한 호출음신호에 따라 이동형 통신단말기가 청각과 시각으로 동시에 사용자에게 외부 통신단말기의 착신요구상태를 알리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통신단말기는 시각과 청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상기 착신상태를 알리기 위한 착신경고부(미도시)를 가지고 있으며, 가방이나 주머니 속에 닮겨져 있다.
본 보조알람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신경고부 중 착신점멸부(미도시)으로부터 착신용 발광(점멸)현상을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인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수광센서(3)와 상기 착신경고부 중 알람부(미도시)로부터 착신용 알람음을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인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음향센서(5)를 갖는 것으로, 상기 착신경고부로부터 발생되는 경고상황을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인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경고감지부(1)를 가지고 있다. 상기 경고감지부(1)에는 상기 수광센서(3) 및 음향센서(5)의 감지신호를 각각 소정의 이득비율로 증폭하는 한 쌍의 증폭부(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증폭부(7) 각각에는 내부의 증폭과정에서 불규칙하게 함성된 전기적인 노이즈를 제거하는 한 쌍의 필터부(9)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9)에는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감지신호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의해 인지하여 상기 통신단말기의 착신상황을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하여 알람제어명령을 발생하는 알람제어부(11)가 각각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알람제어부(11)는 착신상태를 인지하기 위한 시간지연회로, 비교회로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착신 중 상대방의 전화가 끊겨지거나, 계속 착신되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알람제어부(11)는 상기 알람제어명령에 따라 비교적 주파수가 높고 인지도가 높은 청각적인 보조알람음으로 사용자에게 착신상태를 알리는 보조알람출력부(13)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알람출력부(13)는 상기 보조알람음을 높은(볼륨)음으로 조절하기 위한 볼륨조절부(15)와, 사용자의 창각을 향하여 상기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미도시)를 내장하고 있다. 이 때, 상기 볼류조절부(15)는 사용자에 의해서 그 소리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각각의 구성부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가 연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보조알람장치는 이동형 통신단말기의 착신점멸부로부터 착신용 점멸식으로 발광하고 이동형 통신단말기의 착신음이 발생하면, 상기 수광센서(3)와 음향센서(5) 각각에서 점멸발광과 착신음을 감지하여 착신상태의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이 때, 상기 감지신호는 미세한 전압을 가지고 있으므로 증폭부(7)에 의해서 그의 각각이 소정의 이득비율로 증폭되고 동시에 이와 같은 증폭과정에서 또는 센싱과정에서 발생가능한 즉 합성된 고주파의 노이즈가 필터부(9)를 통하여 제거된다. 상기 필터부(9)는 저주파형 필터이다.
상기 각각의 최종 감지신호는 알람제어부(11)에 전달되고 착신상태를 인지하기 위한 시간지연회로, 비교회로 등을 통하여 착신 중 상대방에 의한 전화가 끊겨지거나 계속된 착신상태인지가 분석되고, 판단된다. 상기 알람제어부(11)에 의해서 착신상태로로 판단된 경우 알람제어명령을 발생하여 보조알람출력부(13)가 저장되어 있는 일정한 멜로디를 발생하거나, 비교적 주파수가 높고 인지도가 높은 청각적인 보조알람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착신상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볼륨조절부(15)를 통하여 사용자의 원하는 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동형 통신단말기가 가방이나 주머니 등의 반 밀폐된 공간속에 들어 있거나 시끄러운 장소에 있더라도 사용자에게 착신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을 더욱더 향상시키며, 걸려 올 통화에 대하여 거의 정확하게 받을 수 있으므로 정신적인 긴장감으로부터 해방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시각과 청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착신경고부를 갖는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 알람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신경고부로부터 발생되는 경고상황을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인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경고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신호를 소정의 이득비율로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불규칙하게 함성된 전기적인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로부터 노이즈가 제거된 감지신호를 인지하여 상기 통신단말기의 착신상황을 판단하고 이에 따라 알람제어명령을 발생하는 알람제어부와;
    상기 알람제어부의 알람제어명령에 따라 비교적 주파수가 높고 인지도가 높은 청각적인 보조알람음으로 사용자에게 착신상태를 알리는 보조알람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알람출력부에는 상기 알람음을 높은(볼륨)음으로 조절하기 볼륨조절부가 내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창각을 향하여 상기 알람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감지수단은,
    상기 착신경고부로부터 시각적인 점멸광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수광센서와;
    상기 착신경고부로부터 청각적인 착신음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
KR20010005835U 2001-03-05 2001-03-05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 KR200237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05835U KR200237346Y1 (ko) 2001-03-05 2001-03-05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05835U KR200237346Y1 (ko) 2001-03-05 2001-03-05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346Y1 true KR200237346Y1 (ko) 2001-10-29

Family

ID=4113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05835U KR200237346Y1 (ko) 2001-03-05 2001-03-05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3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8591A1 (en) * 2007-10-31 2009-05-07 Daniel Bearer Communication device alert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8591A1 (en) * 2007-10-31 2009-05-07 Daniel Bearer Communication device aler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19715A (ko)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위험 알람 방법
US200300430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an electrical device
KR200237346Y1 (ko) 이동형 통신단말기용 보조알람장치
KR1006171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 방법
JP2000286926A (ja) 携帯電話装置
JPH11261712A (ja) インターホン装置
CA2325398C (en) Telephone device mounted in vehicle
KR20060124216A (ko) 분실방지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JPH0669883A (ja) 携帯コードレス電話機の紛失警報器
JPH02186863A (ja) 携帯用自動車電話装置
KR100745259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음량 자동 조절장치 및 방법
KR200198701Y1 (ko) 휴대용 음향기기에 장착하는 휴대폰 착신음 발생장치
JP4013431B2 (ja) 音声通信装置
JP2515077Y2 (ja) 無線電話機用の着信報知装置
JP3069564U (ja) アクセサリ
KR200229962Y1 (ko) 무선 핸즈프리 시스템
KR200190068Y1 (ko) 에프엠 신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핸즈프리장치
KR20060023235A (ko) 외부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JP2560884B2 (ja) 携帯無線電話機
KR1007999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 신호 착신 알림 장치
KR0169323B1 (ko) 전화기의 발신음 발생회로
KR200241019Y1 (ko) 비상벨 기능을 가진 영상 휴대폰
KR200180591Y1 (ko) 휴대용 무선통신 단말기의 이어폰장치
JP3148598B2 (ja) 携帯無線電話機の呼び出し装置
KR200229978Y1 (ko) 핸즈프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