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262Y1 - 상품자동판매오락기 - Google Patents

상품자동판매오락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262Y1
KR200237262Y1 KR2020010010882U KR20010010882U KR200237262Y1 KR 200237262 Y1 KR200237262 Y1 KR 200237262Y1 KR 2020010010882 U KR2020010010882 U KR 2020010010882U KR 20010010882 U KR20010010882 U KR 20010010882U KR 200237262 Y1 KR200237262 Y1 KR 200237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game
hole
op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8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기
Original Assignee
장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인기 filed Critical 장인기
Priority to KR2020010010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262Y1/ko

Links

Landscapes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품자동판매오락기에 관한 것으로, 기판 위에 상품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저장박스가 고정되고, 기판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장공에는 저장박스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통공을 갖는 개폐판이 왕복구동수단에 의해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기판의 하면에는 상기 개폐판의 투하위치에서 그의 통공과 연통되도록 통공을 형성한 덧붙임판이 고정되고, 상기 덧붙임판의 통공 하부에는 투하되는 상품을 배출이송슈트로 배출시키는 배출슈트가 결합되며, 상기 각 저장박스의 측면에는 상품이 비어있는 지를 감지하는 상품 감지용 센서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상품배출기가 설치되어, 판형 상품 및 알형 상품을 상기 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일정량씩 배출하여 판매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품자동판매오락기는 게임기능을 수행하는 게임부와, 상품의 판매기능을 수행하는 상품판매부를 동시에 구비하여 게임을 하기전에 상기 상품판매부를 통해 상품을 받은 후, 상기 게임부를 통해 부수적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하므로 소비자의 구매욕구가 촉진되어 상품의 판매효율이 향상됨은 물론소비자의 만족도가 함께 향상되어 이용 효능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상품자동판매오락기{VENDING AND GAME MACHINE}
본 고안은 상품자동판매오락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전을 투입하면 껌, 땅콩과 같은 상품이 배출된 후, 게임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상품의 배출과 게임기능을 부가적으로 함께 제공하는 상품자동판매오락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락기는 왕래가 많은 곳에 설치되어 다양한 오락을 즐길 수 있는 기기이다.
이러한 오락기는 사용자가 동전 또는 지폐로 일정 금액을 투입한 후 게임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오락기는 오락 기능만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자극할 수 없어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촉진시켜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만족도도 함께 충족시키는 구조를 구비한 상품자동판매오락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동전을 투입하면 껌, 땅콩 등의 상품이 배출되고 이어서 게임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소비자에게 상품의 배출과 게임기능을 부가적으로 함께 제공함으로써 상품의 판매효율 및 소비자 만족도가 향상되어 상품자동판매 및 게임기의 효능이 극대화되도록하는 상품자동판매오락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상품자동판매오락기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상품자동판매오락기의 제어 블럭도.
도 2는 상품자동판매오락기의 사시도.
도 3은 상품자동판매오락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a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b는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6은 상품배출기의 사시도.
도 7은 상품 배출작용을 보인 부분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게임부 200' : 상품배출기
200 : 상품판매부 201 : 기판
202 : 덧붙임판 202a : 통공
203 : 장공 210 : 저장박스
211 : 몸체 211a : 홈
212 : 지지구 230 : 왕복구동수단
231 : 개폐판 232 : 모터
233 : 전동레버 233a,234a : 축핀
234 : 회동레버 235 : 통공
235a : 장방형 통공 235b : 타원형 통공
240 : 상품 감지용 센서 250 : 배출슈트
260 : 배출이송슈트 270 : 상품배출구
300 : 콘트롤러 400 : 케이스
600 : 화폐투입기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상품자동판매오락기는 기판 위에 상품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저장박스가 고정되고, 기판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장공에는 저장박스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통공을 갖는 개폐판이 왕복구동수단에 의해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기판의 하면에는 상기 개폐판의 투하위치에서 그의 통공과 연통되도록 통공을 형성한 덧붙임판이 고정되고, 상기 덧붙임판의 통공 하부에는 투하되는 상품을 배출이송슈트로 배출시키는 배출슈트가 결합되며, 상기 각 저장박스의 측면에는 상품이 비어있는 지를 감지하는 상품 감지용 센서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상품배출기가 설치되어, 판형 상품 및 알형 상품을 상기 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일정량씩 배출하여 판매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상품자동판매오락기는 투입되는 화폐의 종류와 개수를 검사하는 화폐투입기와, 상기 상품배출기에 의해 일정량의 상품을 판매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품판매부와, 상기 상품판매부를 통한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면 구매자가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게임기능을 수행하는 게임부와, 상기 화폐투입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품판매부와 게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상품판매부, 게임부, 콘트롤러가 내장되고 상품자동판매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저장박스는 껌 저장용과, 땅콩 저장용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 양쪽 저장박스에 대응되게 형성된 한 쌍의 장공에는 장방형 통공이 형성된 개폐판과 타원형 통공이 형성된 개폐판이 각각 삽입되며, 각 개폐판을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상기 왕복구동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왕복구동수단은 기판의 양단부에 모터가 고정되고, 모터의 축에 회동레버가 고정되며, 상기 개폐판과 회동레버에 전동레버의 양단부가 축핀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품자동판매오락기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품자동판매오락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2의 A-A선 단면도와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상품 배출기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상품 배출작용을 보인 부분 평면도이다.
상기한 도 1 내지 도 6에서 부호 100은 게임부, 200은 상품판매부, 300은 콘트롤러, 400은 케이스, 500은 경품지급부, 600은 화폐투입기를 각각 보인 것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품자동판매오락기는, 크게 보아 투입되는 화폐의 종류와 개수를 검사하는 화폐투입기(600)와, 상품을 판매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품판매부(200)와, 상기 상품판매부(200)를 통한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면 구매자가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게임기능을 수행하는 게임부(100)와, 상기 화폐투입기(60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품판매부(200)와 게임부(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300)와, 상기 상품판매부(200), 게임부(100), 콘트롤러(300)가 내장되고 상품자동판매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400)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상품판매부(200)는 상품자동판매기로 투입되는 화폐의 종류와 개수를 검사하는 화폐투입기(600)를 통한 투입금액에 따라 상품배출기(200')에서 그에 알맞은 상품(1)이 배출되어 케이스(400)의 전면판에 형성된 상품배출구(270)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품배출기(200')는 기판(基板)(201) 위에 상품(1)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저장박스(210)가 고정되고, 기판(201)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장공(203)에는 저장박스(210)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통공(235)을 갖는 개폐판(231)이 왕복구동수단(230)에 의해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기판(201)의 하면에는 상기 개폐판(231)의 투하위치에서 그의 통공(235)과 연통되도록 통공(202a)을 형성한 덧붙임판(202)이 고정되고, 상기 덧붙임판(202)의 통공(202a) 하부에는 투하되는 상품(1)을 배출이송슈트(270)로 배출시키는 배출슈트(250)가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저장박스(210)는 예를 들어 껌 저장용과, 땅콩 저장용을 구비할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껌 저장박스(210)는 껌이 내부에 가지런하게 적층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고, 땅콩 저장박스(210)는 크기에 제한이 없으므로 껌 저장박스(210)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저장박스(210)는 상품(1)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하고, 그 개수도 임의로 증설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박스(210)는 몸체(211)의 하측부에 내용물이 담겨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상품 감지용 센서(240)가 각각 결합되고, 각 저장박스(210)는 그 하단부가 지지구(212)에 의해 기판(201) 위에 고정된다. 이 상품 감지용 센서(240)에는 광센서가 적합하나 그외 다른 감지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껌 저장박스(210)의 한 면에는 껌을 충전할 때에 쉽게 충전하기 위한 홈(211a)이 중간부에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껌 저장박스(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개폐판(231)에 형성되는 통공(235)은 껌이 통과할 수 있도록 껌 크기 정도의 장방형 통공(235a)으로 형성되고, 땅콩 저장박스(2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통공(235)은 땅콩이 통과할 수 있도록 땅콩 크기 정도의 타원형 통공(235b)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왕복구동수단(230)은 기판(201)의 양단부에 모터(232)가 고정되고, 모터(232)의 축에 회동레버(234)가 고정되며, 상기 개폐판(231)과 회동레버(234)에 전동레버(233)의 양단부가 축핀(233a),(234a)으로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화폐투입기(600)는 케이스(400)의 전면 일측에 형성되어 화폐가 투입되는 화폐투입구(601)와, 상기 케이스(4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화폐투입구(601)를 통해 투입된 화폐의 종류와 개수를 검사하는 동시에 상기한 화폐를 종류별로 저장하는 화폐저장통(610)과, 상기 화폐투입구(601)와 화폐저장통(610)을 연결하는 화폐이동슈트(620)로 구성된다.
상기 게임부(100)는 상품판매부(200)를 통한 상품(1)의 판매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러(300)에 의해 동작되어 게임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게임콘트롤러(110), 게임조작기(120), 게임모니터(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게임조작기(120)는 케이스(400)의 전면부 상측 중간부에 구비되는 조작판(121)과, 상기 조작판(121)의 상면에 복수개의 게임조작버튼(122)이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400)에는 게임부(100)에서의 게임성적에 따라 그에 알맞은 경품을 지급하는 경품지급부(500)가 구비된다.
상기 경품지급부(500)는 케이스(400)의 내부에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경품(10)이 진열되는 경품진열실(510)과, 상기 경품진열실(510)에 진열된 경품(10)을 배출하는 경품배출구(520)와, 상기 경품진열실(510)과 경품배출구(520)를 연결하는 경품이동슈트(530)와, 상기 경품진열실(510)의 경품(10)을 상기 경품이동슈트(530)로 투하하는 경품투하수단(5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품투하수단(540)은 스크류형(또는 돼지꼬리형)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경품(10)이 걸리고 상기 경품진열실(5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대(541)와, 상기 지지대(541)에 걸려 있는 경품(10)이 상기 경품이동슈트(530)를 향해 떨어지도록 상기 지지대(54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54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품이동슈트(530)는 경품(10)의 투하 정확도가 높아지도록 상기 경품(10)이 투하되는 입구부분(531)이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경품지급부(500)는 콘트롤러(300)로부터 경품지급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구동모터(542)의 작동으로 지지대(541)가 회전되어 상기 지지대(541)에 걸려 있던 경품(10)이 경품이동슈트(530)의 입구부분(531)을 향해 떨어지고, 이렇게 투하된 경품(10)은 상기 경품이동슈트(530)를 통해 이동되어 경품배출구(520)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400)의 상측에는 상품 또는 경품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투명커버(410)가 설치되는 바, 상기 투명커버(410)는 상품배출기(200')의 저장박스(210)와 경품진열실(510)에 상품과 경품을 배치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커버(410)는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방식 또는 일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여닫는 방식으로 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투명커버(410)에는 상품배출기(200')의 저장박스(210)와 경품진열실(510)에 진열된 상품과 경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400)의 배면에는 케이스(400) 내부를 검사 및 수리하거나 상기 화폐저장통(610)에 저장된 화폐를 꺼낼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400)의 전,후면판에는 도어(4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400)의 하측에는 상품자동판매기의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각 모서리 부분에 구동바퀴(430)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상품자동판매오락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310)이 온되어 상품자동판매오락기가 동작 대기상태로 유지되고, 이 경우, 이용자가 화폐투입기(600)를 통해 화폐를 투입하면 이 화폐가 화폐이동슈트(620)를 통해 화폐저장통(610)으로 유입되어 화폐의 종류와 개수가 검사된 후 상기 화폐저장통(610)에 종류별로 저장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화폐는 50원, 100원, 500원과 같은 동전으로 한다.
이후, 상기 화폐저장통(610)에 의해 검사된 화폐의 종류와 개수를 통해 콘트롤러(300)에서 투입금액이 계산되면 상기 콘트롤러(300)는 상품배출기(200')를 작동시켜 그 투입금액에 알맞은 상품(1)을 상품배출구(270)를 통해 배출한다.
여기서, 상품배출기(200')는 작은 저장박스(210)에 예를 들어 껌과 같은 상품(1)을 담아 일정한 높이로 적층시켜 두면, 최하단의 상품(1)이 개폐판(231)의 장방형 통공(235a)에 삽입되어 있게 된다. 이때 화폐투입기(600)의 감지신호에 의해 모터(232)가 구동되어 회동레버(234)와 전동레버(233)에 의해 개폐판(231)이 도 7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상태에서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7에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 및 도 6의 상태와 같이 개폐판(231)의 장방형 통공(235a)이 그 하부의 덧붙임판(202)에 형성된 통공(202a)과 연통되면, 개폐판(231)의 장방형 통공(235a)에 삽입되어 있던 상품(1)이 배출슈트(250)로 낙하하여 배출되며, 배출이송슈트(260)를 타고 케이스(400)의 전면판에 형성된 상품배출구(270)로 배출된다.
또한, 배출기본체(210)의 저장부(211)에 상품(1)이 떨어진 경우에는 저장박스(210)의 측면판 하단부에 설치된 상품 감지용 센서(240)가 감지하게 되고, 이 감지신호에 의해 콘트롤러(300)가 상품판매부(200)의 모터(230)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게임부(100)의 게임조작기(120)와 게임모니터(130)를 정지시키게 되며, 상품(1)을 충전하는 경우 다시 동작되도록 한다.
한편, 상품배출기(200')의 큰 저장박스(210)에 땅콩과 같은 상품(1)을 담은 경우에는 상품(1)이 개폐판(231)의 타원형 통공(235b)에 일정하게 삽입되어 위와같은 동작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과정으로 상품(1)이 배출되면 상기 콘트롤러(300)는 게임콘트롤러(110)에 게임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이용자가 게임조작기(120)와 게임모니터(130)를 통해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고안은 이용자가 게임을 하기전에 상품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상품 구매와 게임을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콘트롤러(300)는 게임콘트롤러(11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통해 이용자의 게임성적을 판단하여 게임성적이 기준 이상으로 좋으면 경품투하수단(540)을 작동시켜 각각의 게임성적에 알맞은 경품(10)을 경품배출구(520)를 통해 배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품자동판매오락기는, 게임기능을 수행하는 게임부(100)와, 상품의 판매기능을 수행하는 상품판매부(200)를 동시에 구비하여 게임을 하기전에 상기 상품판매부(200)를 통해 상품을 받은 후, 상기 게임부(100)를 통해 부수적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하므로 소비자의 구매욕구가 촉진되어 상품의 판매효율이 향상됨은 물론소비자의 만족도가 함께 향상되어 이용 효능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기판 위에 상품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저장박스가 고정되고, 기판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장공에는 저장박스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통공을 갖는 개폐판이 왕복구동수단에 의해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기판의 하면에는 상기 개폐판의 투하위치에서 그의 통공과 연통되도록 통공을 형성한 덧붙임판이 고정되고, 상기 덧붙임판의 통공 하부에는 투하되는 상품을 배출이송슈트로 배출시키는 배출슈트가 결합되며, 상기 각 저장박스의 측면에는 상품이 비어있는 지를 감지하는 상품 감지용 센서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상품배출기가 설치되어, 판형 상품 및 알형 상품을 상기 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일정량씩 배출하여 판매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자동판매오락기.
  2. 제 1 항에 있어서, 투입되는 화폐의 종류와 개수를 검사하는 화폐투입기와, 상기 상품배출기에 의해 일정량의 상품을 판매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품판매부와, 상기 상품판매부를 통한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면 구매자가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게임기능을 수행하는 게임부와, 상기 화폐투입기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품판매부와 게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상기 상품판매부, 게임부, 콘트롤러가 내장되고 상품자동판매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자동판매오락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박스는 껌 저장용과, 땅콩 저장용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 양쪽 저장박스에 대응되게 형성된 한 쌍의 장공에는 장방형 통공이 형성된 개폐판과 타원형 통공이 형성된 개폐판이 각각 삽입되며, 각 개폐판을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상기 왕복구동수단이 각각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자동판매오락기.
KR2020010010882U 2001-04-17 2001-04-17 상품자동판매오락기 KR200237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882U KR200237262Y1 (ko) 2001-04-17 2001-04-17 상품자동판매오락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882U KR200237262Y1 (ko) 2001-04-17 2001-04-17 상품자동판매오락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262Y1 true KR200237262Y1 (ko) 2001-10-11

Family

ID=7309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882U KR200237262Y1 (ko) 2001-04-17 2001-04-17 상품자동판매오락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26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5728B1 (en) Money item dispensing apparatus
US5199598A (en) Dispensing apparatus for tennis ball containers
US6609966B1 (en) Coin hopper device
KR100201271B1 (ko) 자동판매기의 연속판매 장치 및 방법
KR200237262Y1 (ko) 상품자동판매오락기
US5775537A (en) Merchandise dispenser
KR200404303Y1 (ko) 막대사탕 자동판매기
KR200190110Y1 (ko) 게임기능을 구비한 상품자동판매기
KR200237263Y1 (ko) 상품자동판매 및 광고용 오락기
KR101062444B1 (ko)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
KR100718657B1 (ko) 자동판매기
KR100362806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수납장치
KR102437320B1 (ko) 카드 디스펜서
KR200215347Y1 (ko) 게임기가 부설된 자판기
JPH11203555A (ja) 精米自動販売機
KR200282458Y1 (ko) 구슬 자동판매기
JP2024521601A (ja) キオスク一体型タバコ自動販売機
JPH08224367A (ja) 商品払出しゲーム機
KR200245374Y1 (ko) 보너스 게임기가 부설된 자동판매기 및 게임회전판회전장치
KR200345609Y1 (ko) 상품권 배출용 전자 게임기
JP2501526B2 (ja) コイン払出機
JPH08173590A (ja) 商品払い出しゲーム機
KR200389962Y1 (ko) 내부 순환식 메달 게임기
KR200269115Y1 (ko) 사탕 자동 판매기
JP2596469Y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