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320B1 - 카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카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320B1
KR102437320B1 KR1020220010824A KR20220010824A KR102437320B1 KR 102437320 B1 KR102437320 B1 KR 102437320B1 KR 1020220010824 A KR1020220010824 A KR 1020220010824A KR 20220010824 A KR20220010824 A KR 20220010824A KR 102437320 B1 KR102437320 B1 KR 102437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lit
sidewall
disposed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지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지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지알앤디
Priority to KR1020220010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44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 G07F17/3253Payment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payment schemes, setting payout ratio, bonus or consolation prizes involving articles, e.g. paying in bottles, paying out toy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 디스펜서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에 배치되며, 경사 슬릿을 가지는 한 쌍의 측벽,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에 배치되며, 경사를 가지는 배출 플레이트 및 상기 배출 플레이트에 인접하되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적층된 카드를 상기 배출 플레이트로 안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드 디스펜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카드 디스펜서{Card dispenser for to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CG(Trading Card Game)에 사용되는 카드는 비닐팩에 여러장이 포장되어 판매되어 왔다. 일반 대중에게 많이 알려진 만화, 애니메이션 및 게임이 TCG로 출시, 개발되어 있다.
TCG의 인기가 오래전부터 성장해오며 하나의 장르로 자리잡았으며, 그에 따른 TCG를 하기 위한 카드판매가 이루어 지고 있고, 일반적으로 TCG(Trading Card Game)에 사용되는 카드는 비닐팩에 여러장이 포장되어 판매되어 왔다. 비닐팩의 성질상 자동판매에 애로사항(붙음, 걸림등)이 발생하여 지금까지 대인판매만 이루어졌기에 TCG 카드팩 자동배출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일반대중의 여가활용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오락용 게임기가 널리 보급되어, 유희자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서 일정한 점수에 도달하면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오락 기구의 내측으로 경품 카드를 지급하여 오락의 흥미를 유발하는 카드가 개발되어 있다.
오락용 게임기의 보급으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이 게임을 하고 있고, 따라서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일정한 점수에 도달하면 상품을 제공하거나, 경품을 제공하기 위해서 카드가 배출되거나, 대금을 지급하면 일정한 카드가 배출되고, 카드를 다시 게임기에 삽입하여 게임을 즐기는 등 카드를 이용한 여러 가지 게임기가 많이 제공되고 있다.
카드를 이용한 게임기에는 카드 배출기가 사용되는데, 카드 배출기는 다수의 카드를 적층하여 대기하고 있다가 모터에 의해서 한 장씩 게임기 밖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배출되는 카드가 설정수량보다 여러장 배출되거나 내부에서 유동하려 걸림이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드 디스펜서에 있어 경사 슬릿과 경사각을 가지는 배출 플레이트 및 웨이트 부재를 구비하여 적재된 카드를 설정된 수량만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카드 디스펜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에 배치되며, 경사 슬릿을 가지는 한 쌍의 측벽,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에 배치되며, 경사를 가지는 배출 플레이트 및 상기 배출 플레이트에 인접하되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적층된 카드를 상기 배출 플레이트로 안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드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경사 슬릿의 경사 방향과 상기 배출 플레이트의 경사 방향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 슬릿에 삽입되며, 상기 카드에 접촉하는 돌기를 가지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카드에 하중을 가하는 웨이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측벽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에 삽입되는 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는, 경사 슬릿을 마련하고 가이드 플레이트 및 배출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카드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카드 배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의 가이드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카드 디스펜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구용 카드 배출 시스템(1)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완구용 카드 배출 시스템(1)은 카드 디스펜서(10), 수거함(20), 구동부(300), 카운팅 장치(400), 입력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완구용 카드 배출 시스템(1)에는 상기 구성요소들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 중 일부 구성요소의 기능의 일부는 서로 병합되어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또는 일 구성요소의 기능이 분리되어 여러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완구용 카드 배출 시스템(1)은 사용자가 상품을 선택한 후 해당 상품의 금액을 결제하고 제품이 제공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 디스펜서(10)는 입력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카드 디스펜서(10)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수거함(20)으로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10)는 오락용 카드 배출기로서, 낱개로 포장된 카드(C)를 적재하여 대기하거나, 복수개로 구성된 카드(C)를 내부에 적재할 수 있다. 카드 디스펜서(10)는 복수개의 카드(C)를 적재하는 적재함을 구비하고 내부에 이송 롤러 등을 이용한 이송장치로 적재된 카드(C)를 설정된 수량만큼 배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카드 디스펜서(10)의 내부에 적재되는 카드(C)는 오락용 카드로서, 일반적으로 일면에 임의의 게임 시스템에 따른 도안이 인쇄되어 있거나 게임 정보에 대한 정보가 인쇄되어 있어 다양한 오락용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드 디스펜서(10)가 일부 오락용 게임에 사용되는 카드(C)를 적재하고 배출하는 시스템을 가지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그 사용 용도는 한정되지 않고, 적재되는 카드(C)의 종류 및 장치의 기능은 목적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드 디스펜서(10)는 내부에 카드(C)를 적재하는 영역을 구비하고, 무인 자동화 방식으로 판매하기 위한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카드(C)는 카드 디스펜서(10)에 별도로 연결된 입력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선택되고, 입력 수단과 연동된 별도의 결제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1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10)의 가이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카드 디스펜서(1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수납부(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측에 배치되며, 경사 슬릿을 가지는 한 쌍의 제1 측벽(111), 제2 측벽(112)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판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양측에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2)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2)은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내측에 카드(C)가 적재되는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가 형성하는 적재 영역은 카드(C)의 다양한 형상과 크기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2)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에서 소정의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2)은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2)은 일측에 경사진 슬릿부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측벽(111)에는 제1 슬릿(111A)이 배치되고, 제2 측벽(112)에는 제2 슬릿(112A)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릿(111A) 및 제2 슬릿(112A)은 서로 평행한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릿(111A) 및 제2 슬릿(112A)은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하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제1 슬릿(111A)과 제2 슬릿(112A)의 경사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제1 슬릿(111A)과 제2 슬릿(112A)은 제1 경사(S1)로 정의되는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슬릿(111A)과 제2 슬릿(112A)에는 가이드 플레이트(120)가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제1 슬릿(111A)과 제2 슬릿(112A)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일면에 카드(C)에 접촉하는 돌기(121)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장방형 판넬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1 슬릿(111A)과 제2 슬릿(112A)이 가지는 슬릿의 폭보다 비교적 얇거나 같은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슬릿(111A)과 제2 슬릿(112A)에 매끄럽게 삽입되되, 슬릿에 장착되었을 때 유동하지 않는 정도의 두께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돌기(121)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일면에 구비되는 돌출부, 즉 돌기(121)는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일면에 굴곡을 형성하여 카드(C)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돌기(121)는 가이드 플레이트(120) 일면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고, 제1 높이(H1)를 가지고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돌기(121)의 단면 형상은 반원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카드(C)가 접촉하는 돌기(121) 표면의 형상, 크기, 재질 및 표면처리 등을 달리하여 표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카드 디스펜서(10)에 적재되는 카드(C)는 개별 포장재로 포장되어 적재되는데,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굴곡부를 가지지 않는 면에 외부 포장재가 접촉되면 발생되는 정전기로 카드(C)가 플레이트 면에 부착되어 원활히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카드(C)와 가이드 플레이트(120)가 접촉하면, 마찰력에 의해서 카드(C)가 설정된 개수로 배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돌기(121)는 가이드 플레이트(120)와 카드(C)의 접촉 면적을 줄이므로, 정전기나 마찰력에 의해서 카드(C)가 배출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설정된 개수로 정확하게 카드(C)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제1 경사(S1)를 가지는 제1 슬릿(111A)과 제2 슬릿(112A)이 배치된 경로를 따라 소정의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배치되어,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카드 디스펜서(10)의 내부에 적재되는 카드(C)가 베이스 플레이트(110) 하단의 배출 영역으로 향하도록 배출 경로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다.
카드 디스펜서(10) 내측에 적재된 카드(C)는 가이드 플레이트(120)가 형성하는 경사각에 따라 적치된 형상의 무게중심이 하부측으로 향할 수 있다. 카드(C)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적재되며, 이에 따라, 일 방향으로 정렬되는 형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선택적인 실시예로, 카드 디스펜서(10)는 웨이트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트 부재(130)는 장치 내부에 적재된 카드(C)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웨이트 부재(130)는 가이드 플레이트(120)와 베이스 플레이트(110) 사이에 배치되어, 적재된 카드(C)의 무게중심의 위치를 하측으로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웨이트 부재(130)는 적재된 카드(C)가 장치 내부에서 유동하지 않고 일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설정된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웨이트 부재(130)는 카드 디스펜서(10)에서 카드(C)가 1회씩 배출될 때, 적재된 카드(C)의 적재량이 줄어드는 경우에도 웨이트 부재(130)의 무게를 별도로 조정하지 않아도 설정된 웨이트 부재(130) 자체적인 무게로 무게중심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웨이트 부재(130)가 카드(C)에 가하는 하중으로 인하여 카드(C)는 하단의 배출구(200) 및 구동부(300)로 밀려갈 수 있다.
카드 디스펜서(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하단에 배치되며, 경사를 가지는 배출 플레이트(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플레이트(2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제1 측벽(111), 제2 측벽(112)이 가지는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배출 플레이트(210)는 제2 경사(S2)를 가지고 설정된 기울기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2 경사(S2)의 경사 방향과 제1 경사(S1)의 경사 방향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출 플레이트(210)는 제2 경사(S2)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배출되는 카드(C)의 배출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카드(C)는 배출 플레이트(210)의 경사면을 따라 배출될 수 있다. 카드(C)는 배출 플레이트(210)가 형성하는 경사면에 접하여 슬라이딩되고, 카드(C)는 마찰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여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카드 디스펜서(10)는 배출 플레이트(210)에 인접하되,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2)사이에 배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 적층된 카드를 배출 플레이트(210)로 안내하는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동부(300)는 구동 모터(310), 회전 샤프트(320), 롤러(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310)로는 주로 전기 모터가 이용되며, BDC(brushed DC) 모터, BLDC(brushless DC) 모터, AC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31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연결된 한쌍의 측벽의 일측에 배치되며, 회전 샤프트(320)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 모터(310)는 회전 샤프트(3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카드 디스펜서(10)는 구동 모터(310)에 대한 요구 회전 토크에 따라 구동 모터(3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 수단(미도시)은 토크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어 수단(미도시)에 접속된 구동 모터(310)는 구동력을 회전 샤프트(32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구동 모터(310)는 연동 기어(미도시)와 연결되어 회전 샤프트(32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동 기어(미도시)는 복수개의 피동 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샤프트(3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내부에 배치되도록 제1 측벽(111) 및 제2 측벽(112)에 회전 샤프트(320)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일측이 연동 기어(미도시)와 고정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320)는 구동 모터(31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32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0)는 회전 샤프트(320)에 삽입되는 롤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롤러(330)사이에 적재된 하부의 카드(C) 한 장이 놓일 수 있을 정도의 카드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롤러(330)는 회전 샤프트(320)상에 동일 축으로 연결되며, 회전 샤프트(3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러(330)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33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와 롤러(330) 사이에 위치하는 카드(C)를 설정된 수량만큼 이송하도록 마찰력을 가질 수 있다. 롤러(330)는 적재된 카드(C) 중 가장 하단의 카드(C)의 표면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하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롤러(330)는 일반적으로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등의 고무 재질로 제조된 형태일 수 있다.
카드 디스펜서(10)는 구동부(300)를 통한 회전 위치 제어 방법으로 회전하는 제어 대상의 회전 위치, 즉 회전각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300)에서 제어하는 실제 제어 변수들은 회전각, 또는 회전 속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300)는 롤러(330)에 감기는 카드(C)를 감지하고, 배출 플레이트(210)로 이송하기까지 걸린 시간 또는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구동부(300)는 계산된 시간 또는 거리 등을 근거로 회전 속도 및 회전각을 제어할 수 있다.
카운팅 장치(400)는 구동부(30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카운팅 장치(400)는 구동부(300)의 외측면에 배치되고, 배출된 카드(C)의 개수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카운팅 장치(400)는 카드 디스펜서(10)에서 배출된 카드(C)의 수량을 표시하고, 적재된 카드(C)가 모두 소진되었을 때, 제품 없음을 알리는 시스템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카드(C)의 소진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이하에서는 카드 디스펜서(10)가 주문자의 요청을 받아 카드(C)를 배출하는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 완구용 카드 배출 시스템(1)은 입력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부(500)는 카드 디스펜서(10)의 일측에, 또는 별도로 마련되어 카드 디스펜서(10)와 완구용 카드 배출 시스템(1)을 이루어 연동될 수 있다. 입력부(500)는 디스플레이(510)와 결제 장치(5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510)는 주문자가 화면을 보기 쉽도록 카드 디스펜서(10)의 일측, 또는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510)는 완구용 카드(C)에 관한 데이터 또는 선택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51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또는 키입력부를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500)는 주문자의 과금 수단으로 결제 장치(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제 장치(520)는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과금 수단이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일 예로, 결제 장치(520)에는 과금 수단별로 그 투입구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동전이 투입되는 동전 투입구, 지폐가 투입되는 지폐 투입구, 신용 카드가 투입되는 신용카드 투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카드 디스펜서(10A)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측에 배치된 한쌍의 측벽에 경사 슬릿을 구비하되, 일측이 개방된 형상이 아닌 폐쇄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카드 디스펜서(10A)는 전술한 카드 디스펜서(10)의 실시예특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이점을 위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장방형의 외형을 가지되, 제2 측벽(112')에 구비된 제2 슬릿(112A')의 폭과 높이와 동일한 외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120')가 삽입, 관통되는 제1 측벽(미도시) 및 제2 측벽은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제1 측벽(미도시) 및 제2 측벽(112')에 끼움 결합되어 제1 측벽(미도시)과 제2 측벽(112')을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적재된 카드(C)가 배출됨에 따라 발생하는 불연속적인 진동에도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카드(C) 지지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예컨대, 카드 디스펜서(10A)의 전체적 높이가 낮게 설계되거나, 설치되는 공간의 면적이 제한되어 있을 경우, 비교적 적은 면적을 가지는 가이드 플레이트(120')가 적용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카드 디스펜서(10A)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적으므로, 카드 디스펜서(10A)는 다양한 공간에 설치될 수 있고 면적에 따라 제한 받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10B)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10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카드 디스펜서(10B)는 베이스 플레이트(110B)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측벽에 경사 슬릿을 구비하되, 수납부(100B) 내측에 수용되는 카트리지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카드 디스펜서(10B)는 전술한 카드 디스펜서(10)의 실시예 특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차이점을 위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납부(100B)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양측에 배치되며, 슬릿을 가지는 한 쌍의 제1 측벽(111B), 제2 측벽(112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측벽(111B) 및 제2 측벽(112B)은 일측에 경사진 슬릿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부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측벽(111B)에는 제1 슬릿(111A')과 제1 개구(111B')가 배치되고, 제2 측벽(112B)에는 제2 슬릿(미도시)과 제2 개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릿(111A')은 상기 제2 슬릿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111B')는 상기 제2 개구와 서로 평행한 위치로 배치되며, 서로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1 슬릿(111A')과 제1 개구(111B')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제1 개구(111B')는 제1 측벽(111B)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개구(111B') 는 측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개구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제1 개구(111B') 및 상기 제2 개구는 카트리지 유닛(140)이 장착되며, 카트리지 유닛(14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슬릿(111A')은 제1 측벽(111B)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슬릿()은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되며,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 슬릿(111A')의 개방된 영역을 통해서, 카트리지 유닛(140)이 삽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140)은 카트리지(141), 고정 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14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141)는 높이가 낮은 U자 형상의 판넬로 구비될 수 있다. 카트리지(141)는 적재된 카드(C)를 내부에 정렬하고 카드(C)가 하단부로 낙하하는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카트리지(141)는 좌, 우측에 돌출된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부에는 고정 부재(142)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부재(142)는 카트리지(141)의 양단에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측벽(111B)과 제2 측벽(112B)에 구비된 개구 및 경사 슬릿의 개수와 고정 부재(142)의 개수는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 부재(142)는 카트리지(141) 외부로 돌출되는 나사 헤드(미도시)와 카트리지(141) 내측에서 체결되는 연결부(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 및 나사 헤드는 제1 측벽(111B) 및 제2 측벽(112B)을 관통하여 체결되며, 나사 헤드는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부에 지지될 수 있다.
고정 부재(142)는 제1 측벽(111B) 및 제2 측벽(112B)에 구비된 개구 및 경사 슬릿에 삽입되어 개구 및 경사 슬릿의 형상을 따라 선형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고정 부재(142)와 연결된 카트리지(141)는 고정 부재(142)의 축을 따라 측벽에 삽입되거나 제1 측벽(111B) 및 제2 측벽(112B)에서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소진된 카드(C)를 보충하거나 내부 유지 보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장착 또는 탈착하는 경우, 종래의 카드 배출 장치는 복잡한 탈착 구조로 분해와 조립에 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카드 디스펜서(10B)는 카트리지 유닛(140)을 카드 디스펜서(10B)에서 간단히 분리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손쉽게 열고 닫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드 디스펜서(10B)는 사용자가 카트리지 유닛(140)의 하단을 잡아 밀어 올리는 여닫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140)은 카드 디스펜서(10B) 내부의 적재 공간이 노출되지 않도록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140)은 돌출된 단부가 전면에 배치되도록 수납부(100B)의 내측에 정렬될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140)의 최대 넓이는 제1 측벽(111B)과 제2 측벽(112B)이 형성하는 적재 공간의 넓이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부의 좌측면은 제1 측벽(111B)의 내측면과 면접촉되고, 상기 단부의 우측면은 제2 측벽(112B)의 내측면과 면접촉될 수 있다.
사용자가 카트리지(141) 하단의 일부를 파지하여 들어올릴 경우 측벽과 연결된 카트리지 유닛(140)은 힌지 결합식으로 개폐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이 때, 카트리지 유닛(140)의 이동 반경을 형성하는 힌지 축은 제1 개구(111B')와 연결된 고정 부재(142)일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140)은 사용자의 개폐 동작에 따라 제1 개구(111B') 및 제2 개구, 고정 부재(142)가 이루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90도 보다 큰 각을 형성하는 개방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140)이 들어올려져 최대 회전 각도로 개방될 때, 고정 부재(142)는 각 개구의 길이 방향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41)의 저면이 측벽과 교차하며 내부로 삽입될 때, 고정 부재(142)는 각 개구의 길이 방향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140)은 경사 슬릿을 따라 끼워 넣어 장착할 수 있다. 카트리지 유닛(140)은 경사 슬릿의 상면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며 측벽과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고정 부재(142)는 경사 슬릿의 테이퍼진 형상을 따라 홈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42)가 측벽의 개구에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 유닛(140)은 측벽에서 이탈되지 않고 개구의 길이만큼 가동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이로써, 카드 디스펜서(10B)는 간단한 구조로 카트리지 유닛(140)을 손쉽게 장착 또는 탈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트리지 유닛(140)의 개방 구조로 인해 카드(C)를 보충하거나 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 유닛(140)을 완전히 분리하고 재조립하는 과정을 간단한 구조 변화를 통해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측벽에 배치된 제1 슬릿(111A') 및 제2 슬릿(112A')이 가지는 기울기에 따라 카트리지 유닛(140)이 소정의 경사를 가지게 되므로, 적재된 카드(C)는 배출구(200)로 향하도록 방향성을 가지어 순차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 유닛(140)에 적재된 카드(C)는 안정적으로 배출구(200)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드 디스펜서(10)는, 일 예로, 게임기용 카드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오락이나 게임을 통해 일정한 점수에 도달하면 오락기 본체의 일정한 위치에 설치된 카드 배출 장치에서 한 장의 카드(C)가 인출되는 것으로, 장치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카드(C)의 배출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카드 디스펜서(10)는 경사 슬릿을 가지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카드(C)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 경로를 형성하고, 카드 디스펜서(10)의 하부에 상기 경사 슬릿과 나란한 방향을 가지는 배출 플레이트(210)를 구비함으로써, 카드(C) 배출 경로를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카드 디스펜서(10) 전면에 배치되는 카운팅 장치(400)를 구비하여, 실제 배출된 수량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완구용 카드 배출 시스템
10: 카드 디스펜서
20: 수거함
100: 수납부
200: 배출구
300: 구동부
400: 카운팅 장치
500: 입력부

Claims (5)

  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배치되며, 경사를 가지되 외측으로 개방된 제1 슬릿과, 상기 제1 슬릿의 상단에 배치되며 상하로 연장되는 제1 개구를 가지는 제1 측벽;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며, 경사를 가지되 외측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1 슬릿과 나란한 제2 슬릿과, 상기 제2 슬릿의 상단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와 나란하게 상하로 연장되는 제2 개구를 가지는 제2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에 장착되는 카트리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유닛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마주보도록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으로 절곡된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의 양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슬릿과 상기 제2 슬릿에 장착되는 제1 고정 부재; 및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2 개구에 장착되는 제2 고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 유닛이 들어 올려지면, 상기 제2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를 따라 상승하고, 상기 제1 고정 부재는 상기 제1 슬릿 및 상기 제2 슬릿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카드 디스펜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단에 배치되며, 경사를 가지는 배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릿 및 상기 제2 슬릿의 경사 방향과 상기 배출 플레이트의 경사 방향은 나란하게 배치되는, 카드 디스펜서.
  3. 삭제
  4. 삭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플레이트에 인접하되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적층된 카드를 상기 배출 플레이트로 안내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측벽의 일측에 배치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에 삽입되는 롤러;를 구비하는, 카드 디스펜서.
KR1020220010824A 2022-01-25 2022-01-25 카드 디스펜서 KR102437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824A KR102437320B1 (ko) 2022-01-25 2022-01-25 카드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824A KR102437320B1 (ko) 2022-01-25 2022-01-25 카드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320B1 true KR102437320B1 (ko) 2022-08-30

Family

ID=8311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824A KR102437320B1 (ko) 2022-01-25 2022-01-25 카드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3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7512A (en) * 1981-06-09 1984-07-03 Jax, Ltd. Dealing shoe
JPH04114659U (ja) * 1991-03-22 1992-10-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カード自動供給装置
KR100920753B1 (ko) * 2007-08-21 2009-10-07 (주)어스텝퍼더 카드배출기
WO2014103527A1 (ja) * 2012-12-27 2014-07-03 株式会社エース電研 紙葉類搬送装置および分離回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7512A (en) * 1981-06-09 1984-07-03 Jax, Ltd. Dealing shoe
JPH04114659U (ja) * 1991-03-22 1992-10-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カード自動供給装置
KR100920753B1 (ko) * 2007-08-21 2009-10-07 (주)어스텝퍼더 카드배출기
WO2014103527A1 (ja) * 2012-12-27 2014-07-03 株式会社エース電研 紙葉類搬送装置および分離回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8841A (ko) 코인 호퍼장치 및 자동판매기용 코인 처리장치
US8936173B2 (en) Automatic dispens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AU2020334997A1 (en) Dual wagering game and amusement-style gaming unit and methods and systems for awarding rewards
WO2008026674A1 (ja) 商品払出し装置及び商品陳列棚
KR102437320B1 (ko) 카드 디스펜서
JPH03194692A (ja) 新聞雑誌等の自動販売機
MXPA97007462A (es) Aparato de gran forma y volumen de cuerpos en forma de disco.
US3381694A (en) Coin-handling apparatus
US4047538A (en) Change dispensing apparatus
JP2022000269A (ja) 遊技機
JP2009199555A (ja) 薄物商品販売機
JP3723147B2 (ja) 揚送式メダル送出し装置
JP5083549B2 (ja) 操作テーブル及びゲーム機
KR20100039694A (ko)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
JPS61267188A (ja) コイン払い出し装置
JPH08141207A (ja) 景品払出し機
JPH08224367A (ja) 商品払出しゲーム機
JPH0797419B2 (ja) 硬貨収納繰出装置
KR200237262Y1 (ko) 상품자동판매오락기
JP3305697B2 (ja) 紙幣搬送装置
JP3338521B2 (ja) 遊技機
JPH08173590A (ja) 商品払い出しゲーム機
JPH09231462A (ja) 物品払出装置
CN111063100A (zh) 一种以操作游戏获得奖品的多仓售货机及其售卖方法
US10304286B2 (en) Medal circulation device and amusement machine us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