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444B1 -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444B1
KR101062444B1 KR1020080098763A KR20080098763A KR101062444B1 KR 101062444 B1 KR101062444 B1 KR 101062444B1 KR 1020080098763 A KR1020080098763 A KR 1020080098763A KR 20080098763 A KR20080098763 A KR 20080098763A KR 101062444 B1 KR101062444 B1 KR 101062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frame
cup
withdrawal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9694A (ko
Inventor
주유덕
Original Assignee
주유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덕 filed Critical 주유덕
Priority to KR1020080098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44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9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07F11/5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horizontal ax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18Recessed draw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자동판매기 내부의 상판(T) 위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된 상부풀리 및 하부풀리와, 상기 두 풀리 사이에 장착된 이송벨트와, 상기 두 풀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벨트구동부와; 상기 이송벨트의 바깥면에 부착되되 그 바닥면이 이송벨트와 예각(銳角)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복수개의 인출컵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컵에 상품(G)이 하나씩 탑재되도록 유도하는 상품탑재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인출컵의 회전을 안내하며, 상단 후방에는 상품인출공이 형성된 인출컵 안내통로와; 상기 인출컵 안내통로의 후방에서 상기 상품인출공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품배출통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품인출장치, 자동판매기

Description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A discharge system of goods for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 사탕이나 껌, 담배 등과 같은 소형 상품을 제공하는 자동판매기에서 구매자가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인출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상품을 하나씩 밖으로 인출하는데 적합한 상품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자동판매기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여러가지 구조의 상품인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판매기들은 통상 구매자가 자동판매기의 쇼케이스(Show case) 내에 비치된 상품을 확인하고, 금전투입구에다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을 투입하면, 자동판매기 내부에 설치된 상품인출장치가 작동하면서 해당상품을 자동판매기 밖으로 배출시켜 준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자동판매기를 구조적으로 대별해 보면, 구매자가 쇼케이스를 통해서 상기 상품인출장치의 구동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도 있고, 구매자가 상품인출장치의 구동과정을 관찰할 수 없도록 구성된 것도 있다. 그런데, 전자의 경우, 즉 구매자가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배출과정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을 때가 그 반대인 경우보다 상품에 대한 신뢰도가 높고, 구매의욕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품인출장치의 구동과정이 새로우면, 구매자의 흥미가 증진되고, 구매효과도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래서 상품의 종류나 형태에 따라 구매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상품인출장치의 개발이 항상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본 발명자는 국내 특허등록 제808227호에는 계단식 상품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품 배출형 게임박스를 제시한 바 있다.
상기 계단식 상품이송장치는 수직으로 대향 설치된 좌우 한쌍의 판재로서 세로방향 일변에 계단식 고정선반이 설치된 업로딩(up-loading) 고정판과, 상기 좌우 고정판 사이에 설치된 한쌍의 판재로서 일변에는 상기 고정선반에 대응하는 운송선반이 설치된 업로딩 회전판과, 상기 좌우 고정판 사이에서 상기 회전판을 일정한 반경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판이 일회전 하면 상기 각 운송선반들이 상기 각 고정선반에 적재된 상품들을 한 계단씩 상향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단식 상품이송장치는 특히 막대사탕(상품명; 츄파춥스)을 제공하는 자동판매기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것으로서, 상기 업로딩 고정판과 업로딩 회전판을 통해서 막대사탕이 한 계단씩 상향 이동하는 과정을 구매자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어서 구매자에게 색다른 흥미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계단식 상품이송장치는 상기 막대사탕이나 구슬, 볼 등과 같은 구형상품에는 적합하지만, 그 외에 껌 등과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상품을 판매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다소 부적합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막대사탕이나 구슬, 볼 등과 같은 구형상품은 물론, 직사각형상으로 포장된 사탕이나 껌, 담배 등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인출컵의 구조만 변경하면 상품의 종류나 형상과 상관없이 효율적으로 상품을 배출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상품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는 자동판매기 내부의 상판(T) 위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된 상부풀리 및 하부풀리와, 상기 두 풀리 사이에 장착된 이송벨트와, 상기 두 풀리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벨트구동부와; 상기 이송벨트의 바깥면에 부착되되 그 바닥면이 이송벨트와 예각(銳角)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복수개의 인출컵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출컵에 상품(G)이 하나씩 탑재되도록 유도하는 상품탑재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인출컵의 회전을 안내하며, 상단 후방에는 상품인출공이 형성된 인출컵 안내통로와; 상기 인출컵 안내통로의 후방에서 상기 상품인출공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품배출통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이송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이송벨트장력조절부가 더 설치되되, 상기 이송벨트장력조절부는 양쪽 하단에 상부풀리축이 고정되며 단면이 'Π' 자 형상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며 그 하단이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밀착되는 조절나사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상부풀리축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된 조절장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는 막대사탕이나 구슬, 볼 등과 같은 구형상품은 물론, 직사각형상으로 포장된 사탕이나 껌, 담배 등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인출컵의 구조만 변경하면 상품의 종류나 형상과 상관없이 효율적으로 상품을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는 구매자가 자신이 구매하과 하는 상품의 배출과정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어서, 상품에 대한 신뢰도와 구매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100)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상품탑재부(40)에서 인출컵(30)에 상품(G)이 하나씩 탑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인출컵(30)에서 상품(G)이 이탈하여 상품배출통로(60)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장력조절부(70)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인출장치(100)는 예컨대 사탕이나 껌 등과 같은 소형 상품을 제공하는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벨트구동부(20)와 인출컵(30)과 상품탑재부(40)와 인출컵 안내통로(50) 및 상품배출통로(6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자동판매기 내부의 상판(T) 위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각 봉체로 구성하거나 2개의 판상 봉체를 서로 맞붙여 세워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벨트구동부(2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된 상부풀리(21) 및 하부풀리(22)와, 상기 두 풀리(21,22) 사이에 장착된 이송벨트(23)와, 상기 두 풀리(21,2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구동모터(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벨트(23)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타이밍이송벨트(Timing bel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벨트(23)는 상부풀리(21)를 상사점으로 하고, 하부풀리(22)를 하사점으로 하여 일정한 괘도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이송벨트(23)의 바깥면에는 복수개의 인출컵(30)이 설치된다. 이때, 상 기 인출컵(30)은 바닥면(31)과 이송벨트(23)의 각도(θ)가 예각(銳角), 바람직하기로는 60 ~ 80°의 경사를 이루도록 설치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출컵(30) 바닥면(31)의 각도(θ)는 상품(G)의 안정적인 배출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기능을 하는 바, 이점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상기 인출컵(30)의 형상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도 1과 같이 측면의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품(G)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인출컵(30)에 일정량의 상품(G)이 적재되도록 규격화된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인출컵(30)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자동판매기의 사용목적에 따라 불규칙한 간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하부에는 상품탑재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상품탑재부(50)는 상기 인출컵(30)에 상품(G)이 일정량씩 탑재하는 기능을 갖는다면, 어떤 구조라도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는 도 2과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하부에 인출컵(3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만큼의 간격을 두고 격벽(41)을 설치하고, 상기 격벽(41)의 상단에는 상품(G)이 적재된 경사적재판(42)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는 인출컵 안내통로(50)가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인출컵 안내통로(50)의 상단 후방에는 상품인출공(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컵(30)의 회전과 상품(G)의 배출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인출컵 안내통로(60)의 후방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상품인출공(51)과 연통하는 위치에 상품배출통로(60)가 설치된다. 상기 상품배출통로(60)에는 추가적 으로 상품(G)의 통과 여부를 인지하는 터치바(61)와, 상기 터치바(61)에 의해서 작동하는 스위치(62)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4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추가적으로 이송벨트(23)의 장력을 조절하는 이송벨트장력조절부(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벨트장력조절부(70)는 'Π' 자 형상의 고정부재(71)와, 상기 고정부재(71)의 상단에 설치는 조절나사(72)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관통된 조절장공(7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71)의 양쪽 하단에는 상부풀리축(25)이 고정되고, 상기 조절나사(72)의 하단은 프레임(10)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조절장공(73)에는 상부풀리축(25)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된다. 그래서, 상기 조절나사(72)를 조여주면, 조절나사(72)의 하단이 프레임(10)의 상면을 밀면서 상부풀리축(25)을 위로 끌어올려서 이송벨트(23)의 장력을 높여 준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는 인출컵(30)의 회전 괘도에 인접한 위치에 걸림판(11)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걸림판(11)은 상기 인출컵(40)에 일정량 이상의 상품(G)이 적재되어 그 상품(G)의 일부가 인출컵(40) 밖으로 돌출된 경우, 인출컵(30)이 상사점에 이르기 전에 상품(G)의 돌출부위가 걸림판(13)에 걸려서 다시 경사적재판(42) 위로 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상품배출통로(60)에는 상품(G)의 통과 여부를 인식하는 터치바(61)와, 상기 터치바(61)의 동작을 확인하고 상기 구동모터(24)를 제어하는 스위치(6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바(61)와 스위치(61)는 배출되는 상품(G)의 개수를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인출장치(100)가 설치된 자동판매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 자동판매기는 하부구조인 본체(200)와, 이 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쇼케이스(300)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인출장치(100)는 상기 쇼케이스(30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쇼케이스(300)는 적어도 1면이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서, 구매자가 쇼케이스(300) 내부에 비치된 상품(G)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상품인출장치(100)의 작동과정을 밖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에는 상기 인출장치(100)의 상품배출통로(6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품(G)을 외부로 인출하는 배출구(210)와, 구매자가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할 수 있는 화폐투입구(220)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화폐투입구(220)에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하면 이를 감지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미리 예정된 회전수 만큼 상기 구동모터(24)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구동모터(24)에 의해 하부풀리(22)가 회전하면서 이송벨트(23)가 상부풀리(21)와 하부풀리(22) 사이를 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송벨트(23)의 회전괘도를 따라 인출컵(30)이 상하로 회전운동하게 된다.
상기 인출컵(30)이 상품탑재부(40)를 통과하면서 도 2와 같이 인출컵(30)에 는 미리 결정된 일정량의 상품(G)이 자연스럽게 탑재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컵(30)과 그 속에 탑재된 상품(G)이 이송벨트(23)의 회전괘도를 따라 상승하는 과정에서 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된 걸림판(11)을 지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출컵(30)에 일정량 이상의 상품(G)이 탑재된 경우, 초과량의 상품(G)은 상기 걸림판(11)에 걸려서 경사적재판(42) 위로 떨어진다.
상기 인출컵(30)과 상품(G)이 상사점에 도달하면, 도 3과 같이 상기 인출컵(30)에 탑재된 상품(G)이 자중에 의해 프레임(10) 후방에 설치된 인출컵 안내통로(50) 속으로 낙하하여 앞서가는 인출컵(30)의 바닥면(31) 뒷쪽으로 떨어진다. 이 때 상기 바닥면(31)은 경사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품(G)이 상품인출공(51)을 지날때 바닥면(31)에서 미끄러져 내려 상품배출통로(60) 속으로 떨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상기 인출컵(30)의 바닥면(31)은 이송벨트(23)와 예각을 갖도록 경사를 이루고 있어서, 인출컵(30)이 상승할 때는 상품(G)이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탑재하며, 인출컵(30)이 하강할 때는 바닥면(31) 뒷쪽에 얹혀 있는 상품(G)이 용이하게 상품인출공(51)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가게 된다.
한편, 상기 상품배출통로(60) 속으로 낙하하는 상품(G)은 상품배출통로(60)속에 설치된 터치바(61)를 건드리게 되고, 이때 스위치(62)가 터치바(61)의 동작을 인식하여 상품(G)의 배출여부 및 개수를 감지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스위치(62)는 구동모터(24)와 연결되어 미리 예정된 수량의 상품(G)이 배출될 때까지 계속 구동모터(24)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품판매기의 용도 및 상품(G)의 종류에 따라 인출컵(30)의 형태와 크기는 물론, 구동모터(24)의 회전수 등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인출컵(30)에는 사탕 1개, 또 어떤 인출컵(30)에는 사탕 2개가 탑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또 어떤 경우에는 인출컵(30) 1개가 상사점을 지나고, 또 어떤 경우에는 인출컵(30) 2개가 상사점을 지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인출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상품탑재부에서 인출컵에 상품이 하나씩 탑재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인출컵에서 상품이 이탈하여 상품배출통로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벨트장력조절부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상품인출장치가 설치된 자동판매기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1: 걸림판
20: 벨트구동부 21: 상부풀리
22: 하부풀리 23: 이송벨트
30: 인출컵 31: 바닥면
40: 상품탑재부 50: 인출컵안내통로
51: 상품인출공 60: 상품배출통로
61: 터치바(Touch bar) 62: 스위치
100: 상품인출장치 200: 본체
300: 쇼케이스(Show case) T : 상판

Claims (4)

  1. 자동판매기 내부의 상판(T) 위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된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된 상부풀리(21) 및 하부풀리(22)와, 상기 상부풀리(21)와 하부풀리(22) 사이에 장착된 이송벨트(23)와, 상기 상부풀리(21)와 하부풀리(2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구동모터(24)로 이루어진 벨트구동부(20)와;
    상기 이송벨트(23)의 바깥면에 부착되되 그 바닥면(31)이 이송벨트(23)와 예각(銳角)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복수개의 인출컵(30)과;
    상기 프레임(1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된 격벽(41)과, 상기 격벽(41)의 상단에 설치된 경사적재판(42)으로 구성되어 상기 인출컵(30)에 상품(G)이 하나씩 탑재되도록 유도하는 상품탑재부(40)와;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세로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상기 인출컵(30)의 회전을 안내하며, 상단 후방에는 상품인출공(51)이 형성된 인출컵 안내통로(50)와;
    상기 인출컵 안내통로(50)의 후방에서 상기 상품인출공(51)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품배출통로(60)와;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쪽 하단이 상부풀리축(25)에 고정되어 있으며 단면이 'Π' 자 형상인 고정부재(71)와, 상기 고정부재(71)의 상단에 설치되며 그 하단이 상기 프레임(10)의 상면에 밀착되는 조절나사(72)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상기 상부풀리축(25)이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관통된 조절장공(73)으로 이루어지는 이송벨트장력조절부(7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전방에는 인출컵(30)에 일정량 이상 적재된 상품(G)을 인출컵(30)이 상사점에 이르기 전에 인출컵(30)에서 이탈시키는 걸림판(11)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배출통로(60)에는 상품(G)의 통과 여부를 인식하는 터치바(61)와, 상기 터치바(61)의 동작을 확인하고 상기 구동모터(24)를 제어하는 스위치(62)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
KR1020080098763A 2008-10-08 2008-10-08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 KR101062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763A KR101062444B1 (ko) 2008-10-08 2008-10-08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763A KR101062444B1 (ko) 2008-10-08 2008-10-08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694A KR20100039694A (ko) 2010-04-16
KR101062444B1 true KR101062444B1 (ko) 2011-09-06

Family

ID=4221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763A KR101062444B1 (ko) 2008-10-08 2008-10-08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288B1 (ko) * 2016-04-21 2017-07-31 이영숙 승강식 상품반출장치
CN109979091A (zh) * 2019-04-25 2019-07-05 东莞嘉丰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棒棒糖贩卖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376Y1 (ko) 2004-03-09 2004-05-22 양재정 자동판매기의 이송기구
KR200404303Y1 (ko) * 2005-10-10 2005-12-21 주식회사 리맨코 막대사탕 자동판매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1376Y1 (ko) 2004-03-09 2004-05-22 양재정 자동판매기의 이송기구
KR200404303Y1 (ko) * 2005-10-10 2005-12-21 주식회사 리맨코 막대사탕 자동판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694A (ko) 2010-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2267B2 (en) Automated shopping system
US5199598A (en) Dispensing apparatus for tennis ball containers
US8534494B2 (en) Product detection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GB2386734A (en) A receiving and dispensing device for coins
US7367471B1 (en) Vending apparatus
KR102293283B1 (ko) 키오스크 일체형 스마트 자판기
KR101062444B1 (ko) 자동판매기용 상품인출장치
RU149645U1 (ru) Торгово-развлекательный автомат с барабаном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товара
US20140195041A1 (en) Method of sensing a delivered product in a snack vending machine
JP2002092725A (ja) 自動販売機
KR101620609B1 (ko) 동전 계수 장치
RU146522U1 (ru) Торгово-развлекательный автомат
KR20040006928A (ko) 자동상점 시스템
US1697306A (en) Vending apparatus
KR200404303Y1 (ko) 막대사탕 자동판매기
KR100699034B1 (ko) 무인 자동판매기에서의 상품걸림 제거장치 및 방법
KR200257879Y1 (ko) 게임자판기
JP4238738B2 (ja) 自動販売機
CN217024005U (zh) 游艺机及其传送机构
RU117678U1 (ru)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JP7404914B2 (ja) 媒体搬送装置及び媒体取扱装置
US1045514A (en) Vending-machine.
RU188325U1 (ru)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по продаже бутилированной продукции
JPH08315242A (ja) 物品払出装置
WO2020100795A1 (ja) 物品販売機の物品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