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225Y1 - 건조기능이 구비된 비누받침대 - Google Patents

건조기능이 구비된 비누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225Y1
KR200237225Y1 KR2020010009660U KR20010009660U KR200237225Y1 KR 200237225 Y1 KR200237225 Y1 KR 200237225Y1 KR 2020010009660 U KR2020010009660 U KR 2020010009660U KR 20010009660 U KR20010009660 U KR 20010009660U KR 200237225 Y1 KR200237225 Y1 KR 200237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hot water
pipe
pedestal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6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근
Original Assignee
박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봉근 filed Critical 박봉근
Priority to KR20200100096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2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225Y1/ko

Links

Landscapes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조기능이 구비된 비누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누받침대를 수도관의 온수 유입관에 연결하여 온수로 비누받침대를 가열시킴으로써 비누를 항상 건조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수분으로 인한 비누의 소모를 억제할 수 있는 건조기능이 구비된 비누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비누받침대를 수도관의 온수유입관에 연결하여 온수의 열량으로 비누를 건조시킴으로써, 비누를 사용한 후 함유된 수분에 의하여 비누가 물러져 빨리 소모되는 것과, 이로 인해 비누의 잔여물이 떨어져 세면대 주위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비누받침대를 냉/온수가 공급되는 싱크대의 급수전에 연결하여 비누가 아닌 그릇을 닦는 수세미를 건조시키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비누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냉/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세면대의 소정부분에 온수관(12)과 냉수관(14)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급수전(10)에 있어서, 상기 급수전(10)의 온수관(12) 소정부분에 연결되어 온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된 온수유입관(21)과; 상기 온수유입관(21)의 상부에 구비되며 비누를 수장할 수 있는 비누받침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누받침대(20)는 비누에 함유된 수분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돌기(23)가 형성된 받침대(22)와; 상기 받침대(22)의 소정위치에 비누에 함유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소정형상의 홈이 형성된 수분유입홀(24)와; 상기받침대(22) 하부에는 온수가 유입되어 상기 받침대(22)에 열량을 전달 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온수저장고(2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Description

건조기능이 구비된 비누받침대{Soap case with dryness function}
본 고안은 건조기능이 구비된 비누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누받침대를 수도관의 온수 유입관에 연결하여 온수로 비누받침대를 가열시킴으로써 비누를 항상 건조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수분으로 인한 비누의 소모를 억제할 수 있는 건조기능이 구비된 비누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대에서 사용되는 비누를 건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부착구는, 세면대에서 사용되는 비누가 미끄러운 면을 이루고 있는 세면대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이와 함께 비누의 일면이 세면대로 부터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항시 건조함이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종래의 비누재치대를 도 5에 도시하였는데,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누재치대는 세면대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된 재치대(2)가 양측단부에 괘지판(7a,7b)을 일체로 형성하면서 구성된다.
상기 괘지판(7a,7b) 상단부에는 비누(1)를 결합하고 있는 튜브(5)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지지축이(3a,3b)이 회전될 수 있게 지지홈(6a,6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세면대상에 형성된 비누 보관장소에 상기 재치대(2)를 위치시킨 후, 사용자가 거품을 일으키고자 상기 비누에 물을 적시면서 문지르게 되면, 비누에 결합된 튜브(5)가 외력이 미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튜브 양측단부에 형성된 지지축(3a,3b)이 괘지판(7a,7b)상단부의 지지홈(6a,6b)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비누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는 관계로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또한 재치대를 설치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조물을 제작하거나 세면대에 별도의 모양을 형성시켜야 함으로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다른 문제점으로는 세면대에 놓여 사용되는 비누의 경우에는 물이 항시 묻어 있는 관계로, 비누가 녹아내려 손실이 크게 나타나고, 이와 함께 세면대가 항시 청결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6에 비누부착구를 도시하였는데, 상기 비누부착구는 판 형상을 하는 판체(8)가 구성되고, 이 판체(8)에는 비누의 일면에 밀착하면서 고정역할을 하는 다수개의 흡반(9)이 소정의 간격을 두면서 양측면에 수직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한 판체(8)에 사용하고자 하는 비누를 흡반(9)에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비누와 흡반 사이에는 진공상태가발생함에 따라 유동됨이 없이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비누가 고정되면 판체의 다른면에 형성된 흡반(9b)을 세면대 또는 타일에 밀착시켜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거품을 일으키고자 비누의 일면에 물을 적시면서 비비게 되면, 상기 비누는 일정한 양이 소모되면서 거품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비누는 판체(8)에 의하여 고정된 관계로 본래의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거품을 일으키고자 비누에 무리한 힘을 가하게 되면, 흡반(9)과 비누 사이에서 발생한 진공력이 약해지면서 종종 분리 되는데, 이로 인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판체(8)와 비누를 고정시키기 위한 흡반(9)이 불필요하게 다수개가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제작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누받침대를 수도관의 온수유입관에 연결하여 온수의 열량으로 비누를 건조시킴으로써, 비누를 사용한 후 함유된 수분에 의하여 비누가 물러져 빨리 소모되는 것과, 이로 인해 비누의 잔여물이 떨어져 세면대 주위가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비누받침대를 냉/온수가 공급되는 싱크대의 급수전에 연결하여 비누가 아닌 그릇을 닦는 수세미를 건조시키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비누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냉/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세면대의 소정부분에 온수관(12)과 냉수관(14)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급수전(10)에 있어서, 상기 급수전(10)의 온수관(12) 소정부분에 연결되어 온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된 온수유입관(21)과; 상기 온수유입관(21)의 상부에 구비되며 비누를 수장할 수 있는 비누받침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누받침대(20)는 비누에 함유된 수분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돌기(23)가 형성된 받침대(22)와; 상기 받침대(22)의 소정위치에 비누에 함유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소정형상의 홈이 형성된 수분유입홀(24)와; 상기 받침대(22) 하부에는 온수가 유입되어 상기 받침대(22)에 열량을 전달 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온수저장고(2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전에 연결된 비누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누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비누재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비누부착구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급수전 11 : 급수손잡이
12 : 온수관 13a,13b : 드라이버홈
14 : 냉수관 15 : 바디부
16 : 급수관 17 : 급수토출구
21 : 온수유입관 22 : 받침대
23 : 돌기 24 : 수분유입홀
25 : 온수저장고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조기능이 구비된 비누받침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전에 연결된 비누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누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급수전(10)은 중앙에 냉/온수관(12,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15)와, 상기 바디부(15)의 상측에 구비되며 좌/우로 회동하여 냉/온수를 급수할 수 있는 급수손잡이(11)와, 상기 급수손잡이(11)의 작동에 의해 용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15)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는 급수관(16)과, 상기 급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용수가 토출되는 급수토출구(17)와, 상기 냉/온수관(12,14)의 통로를 개폐하는 드라이버 홈(13a,13b)으로 구성되며, 상기 급수전(10)의 일측에는 건조기능이 구비된 비누받침대(2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냉/온수관(12,14)을 폐쇄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드라이버 홈(13a,13b)에 동전이나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돌리면(보통 시계 방향) 미도시 된 스핀들이 전진하여 통로를 폐쇄시킬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폐쇄시키는 정도에 따라 상기 냉/온수관(12,14)으로 유입되는 냉/온수의 양을 조절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특징 부분인 건조기능이 구비된 상기 비누받침대(20)는 비누를 고정하며 비누에 포함된 수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돌기(23)가 형성된 금속성의 받침대(22)와, 상기 금속성의 받침대(22) 중앙부분에는 비누에서 유출된 수분이 모일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수분유입홈(24)과, 상기 금속성의 받침대의 하부에는 온수가 유입되어 머무를 수 있도록 형성된 온수저장고(25)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온수저장고(25)의 중앙부분에는 온수가 유입될 수 있게 구비된 온수유입관(21)의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온수유입관(21)의 타측은 상기 급수전의 온수관(12)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온수유입관(21)의 일측과 상기 급수전의 온수관(12)의 연결은 용접이나 나사선을 형성하여 상호 결합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온수유입관(21)의 일측을 상기 온수유입관을 개폐하는 상기 드라이버 홈(13a,13b)의 위치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비누받침대(20)의 내부에 수장된 비누를 건조시키는 방법은 상기 급수전의 온수관(12)으로 부터 유입된 온수가 상기 비누받침대(20)의 하부에 머무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온수의 열량이 상기 금속성의 받침대(22)로 전열되고, 상기 전열된 열량에 의해 상기 받침대(22)의 상부에 놓인 비누가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세면을 하기 위해 상기 급수전(10)의 급수손잡이(11)를 좌/우로 회동한 후 적정의 수온을 선택하여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사용자는 공급된 급수를 통해 세면을 하게 되고, 상기 급수전(10)의 온수관(12)과 연결되어 있는 비누받침대(20)에 거취되어 있는 비누를 사용한 후, 수분이 함유된 비누를 다시 상기 비누받침대(20)로 놓게된다.
이때, 상기 비누받침대(20)의 하부는 상기 급수전의 온수관(12)과 연결되어 있어, 상기 온수관(12)으로 부터 유입된 온수에 의해 적당한 온도를 유지한 상태이다.
상기 수분이 함유된 비누는 상기 비누받침대(20)의 하부에 유입된 온수의 열량이 전열되어 받침대(22)의 상부에 놓인 비누가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급수전(10)에 유입되는 온수를 이용해 상기 비누받침대(20)에 건조수단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비누를 사용한 후에도 수분에 의해 비누가 물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수단을 비누를 건조시키는 상기 비누받침대(20)에 사용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냉/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싱크대의 급수전에 연결하여 비누가 아닌 그릇을 닦는 수세미를 건조시킬 수 있는 받침대에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비누받침대를 수도관의 온수유입관에 연결하여 온수의 열량에 의하여 비누를 건조시킴으로써 비누를 사용한 후 수분으로인한 비누 잔여물이 주위에 떨어져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세면대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비누받침대에 의해 비누에 함유된 수분을 건조시킬 수 있어, 수분으로 인한 비누의 물러짐을 방지하여 비누의 소모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의 비누받침대를 냉/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싱크대의 급수전에 연결하여 비누가 아닌 그릇을 닦는 수세미를 건조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냉/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세면대의 소정부분에 온수관(12)과 냉수관(14)이 일체형으로 구비된 급수전(10)에 있어서,
    상기 급수전(10)의 온수관(12) 소정부분에 연결되어 온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된 온수유입관(21)과;
    상기 온수유입관(21)의 상부에 구비되며 비누를 수장할 수 있는 비누받침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이 구비된 비누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누받침대(20)는,
    비누에 함유된 수분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돌기(23)가 형성된 받침대(22)와;
    상기 받침대(22)의 소정위치에 비누에 함유된 수분이 유입될 수 있도록 소정형상의 홈이 형성된 수분유입홀(24)와;
    상기 받침대(22) 하부에는 온수가 유입되어 상기 받침대(22)에 열량을 전달 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온수저장고(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능이 구비된 비누받침대.
KR2020010009660U 2001-04-06 2001-04-06 건조기능이 구비된 비누받침대 KR200237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660U KR200237225Y1 (ko) 2001-04-06 2001-04-06 건조기능이 구비된 비누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660U KR200237225Y1 (ko) 2001-04-06 2001-04-06 건조기능이 구비된 비누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225Y1 true KR200237225Y1 (ko) 2001-10-11

Family

ID=73099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660U KR200237225Y1 (ko) 2001-04-06 2001-04-06 건조기능이 구비된 비누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2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2540A (en) Sink side dishwasher
KR200237225Y1 (ko) 건조기능이 구비된 비누받침대
JP4777135B2 (ja) シンク
KR200423112Y1 (ko) 욕실용 거울유니트
KR200284616Y1 (ko) 싱크대
US10408539B2 (en) Washstand
KR0124757Y1 (ko) 세척용구 수용부를 부설한 수도전
KR200196442Y1 (ko) 세면기
CN213809016U (zh) 出水装置
KR0124756Y1 (ko) 세척용구 수용부를 부설한 수도전
KR20020026345A (ko) 정수기가 내장된 급수대
KR100915343B1 (ko) 기계식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
KR200180395Y1 (ko) 변기 저수조용 청정제 용기
KR200268997Y1 (ko) 냉온수 혼합 수도밸브
KR200259496Y1 (ko) 온수를 이용한 건조대
KR200185082Y1 (ko) 거울의 김서림 제거장치
JP2000139803A (ja) 食器洗浄機
JP2809099B2 (ja) 洗面化粧台
KR20110003797A (ko) 발 세척용 수전
JPH06319658A (ja) 乾燥装置付き洗面台
JPH0630925Y2 (ja) 洗髪器洗面台
KR200341910Y1 (ko) 식기 세척기
JPH0953264A (ja) 二重構造を有するロータンク
SK287955B6 (sk) Washer for manual washing and rinsing of beverage glass, especially beer glass
KR200341871Y1 (ko) 수전금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