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616Y1 - 싱크대 - Google Patents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616Y1
KR200284616Y1 KR2020020013705U KR20020013705U KR200284616Y1 KR 200284616 Y1 KR200284616 Y1 KR 200284616Y1 KR 2020020013705 U KR2020020013705 U KR 2020020013705U KR 20020013705 U KR20020013705 U KR 20020013705U KR 200284616 Y1 KR200284616 Y1 KR 200284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auxiliary
water
drain hole
deplo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7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호
Original Assignee
김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호 filed Critical 김명호
Priority to KR20200200137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616Y1/ko

Links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의 전후 폭을 최소화하고 보조싱크대를 구비하여 이를 사용 시에만 벽면으로부터 전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고, 필요시 용수를 적정 온도로 가온할 수 있는 가온수단도 동시에 구비하여 식기세척 작업 등을 할 시에 편익을 일층 증대시킨 싱크대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싱크대(1)는 전후 폭(t1)이 싱크대(1)의 전후 폭(t) 보다는 크게 구성되며 상하 폭(t2)은 싱크대(1) 상하 폭(t3) 보다는 작게 구성되는 보조싱크대(2)를 힌지(2a)에 의해 각운동하며 벽면(10)상으로 수직절첩 및 싱크대(1) 상부로 수평전개될 수 있도록 설치하며, 보조싱크대(2)에는 전개시 싱크대(1) 상으로 용수가 배수될 수 있는 위치에 배수공(3)을 형성하고, 배수공(3)이 위치한 보조싱크대(2) 바닥면 주변으로는 전열히터(4)를 스위치(5)와 연결설치하여 용수를 가온할 수 있도록 하며, 싱크대(1)의 측면 배수공(8)은 보조싱크대(2) 전개시 바닥면 보다는 아래측에 설치하여 기존 배수관(6)과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싱크대(1)는 식기세척 등과 같은 작업을 할 시에 불편이 없으면서도 주방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보조싱크대(2)에는 용수를 순간가온할 수 있는 전열히터(4)를 부가설치함으로써 기름기 등이 묻은 식기세척 등을 할 시에 용수를 신속하게 가온하여 세척상의 편익을 제공받을 수 있고, 싱크대(1)에 보조싱크대(2)를 전개시켜 세척작업을 할 경우 헹굼작업을 2개의 싱크대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근자에유행하는 원룸 등의 좁은 공간내에서 입주자의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Kitchen countertop}
본 고안은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싱크대의 전후 폭을 최소화하고 보조싱크대를 구비하여 이를 사용 시에만 벽면으로부터 전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하고, 필요시 용수를 적정 온도로 가온할 수 있는 가온수단도 동시에 구비하여 식기세척 작업 등을 할 시에 편익을 일층 증대시킨 싱크대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주방 등에 설치되는 싱크대는 목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벽장 상부에 스테인레스 등으로 제작된 조리대를 안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기존의 싱크대는 목재와 스테인레스 스틸 등을 주재로 하여 구성되는바, 이는 싱크대가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주방의 일정 공간을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주방의 공간 활용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었으며, 특히 근자에 유행하고 있는 원룸 등의 주택에서는 좁은 공간에서 다양한 주거편의시설을 요구하고 있으나, 기존의 싱크대를 사용할 경우는 주방의 공간 활용성이 극히 제한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기존 싱크대의 경우 냉, 온수 선택 급수용 급수콕이 설치되어 있지만, 식기 등에 기름 등이 묻은 것을 세척코자 할 시는 온수가 적정 온도 이상이 되어야만이 세제를 사용하여 세척이 가능하지만, 온수를 사용코자 할 경우 보일러를 가동하여야 하고 온수가 급수되기까지는 적정 시간이 걸리므로 신속하게 용수를 가온할 수 있는 수단 등이 필요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 주방용 싱크대가 갖는 공간점유문제와 설치비용 등의 문제, 온수를 사용한 식기세척 시에 발생하는 문제점 등을 동시에 일소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싱크대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특히 싱크대를 미사용시에는 공간점유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주방의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며,
가온수단을 구비하여 온수세척을 필요로 할 시에 매우 편리하게 용수를 가온할 수 있는 등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는 싱크대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싱크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싱크대의 작용상태를 겸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싱크대 2:보조싱크대
2a:힌지 3:배수공
4:전열히터 5:스위치
6:배수관 7:이물걸름망
8:측면 배수공 9:고정수단
10:고정부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주방용 싱크대(1)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상태를 함께 보인 측단면도 등으로서, 본 고안의 싱크대(1)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여 프레스 성형된 것을 사용하되, 상기 싱크대(1)의 전후 폭(t)을 기존 싱크대 보다는 크게 줄임으로서 주방 등의 공간 활용 폭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전후 폭(t)이 좁아진 싱크대(1)를 사용하여 설거지 등을 행할 시에도 불편이 없도록 싱크대(1) 상부 일측에서 벽면으로 각운동 전개 및 절첩이 될 수 있도록 보조싱크대(2)의 후단을 힌지(2a)로서 결합한다.
상기 보조싱크대(2)의 전후 폭(t1)은 싱크대(1)의 전후 폭(t) 보다는 크게 하여 싱크대(1)에 수평으로 전개되었을 시에는 싱크대(1)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싱크대(2)의 상하 폭(t2)은 싱크대(1)의 상하 폭(t3) 보다 낮게 형성하여 싱크대(1)와 중첩되는 부분에는 배수공(3)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배수공(3)의 주변, 즉 보조싱크대(2)의 바닥면에는 전열히터(4)를 설치하여 일측에 설치되는 스위치(5)에 의해 전원이 단속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열히터(4)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은 일반 가정용 등의 상용전원을 전원공급코드(미도시)로 연결하여 공급받게 되며, 이는 일반적인 관용기술이고 당해 업계 종사자이면 손쉽게 행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예시 등은 생략한다.
그리고 싱크대(1)에 형성되는 배수관(6)에는 통상의 이물걸름망(7)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관(6)과 연통되는 싱크대(1) 측면의 측면 배수공(8)은 보조싱크대(2)가 수평전개시 이의 하단보다는 약간 낮은 높이에 설치되도록 하여 싱크대(1)에 저수되는 용수의 수위가 보조싱크대(2)의 바닥보다는 높게 올라가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조싱크대(2)를 수평전개상태에서 사용하다가 미사용시에는 벽면에 수직으로 절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수단(9)을 벽면의 대응부에 고정시키도록 하고, 상기 고정수단(9)에 보조싱크대(2)의 전측 대응 고정부(10)가 선택적으로 걸림고정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9)은 탄력걸림식 수단, 또는 자력 감응식 수단 등 알려진 기존의 다양한 고정수단(9)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중의 부호 11은 배수공(3)을 개폐할 수 있는 캡, 12는 수도콕, 13은 벽장, 14는 벽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싱크대(1)는 주방 등에 설치되어 싱크대(1)만 사용할 수도 있으며, 보조싱크대(2)를 전개시켜 식기세척 등과 같은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주방 내의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의 설치방법 및 사용예 등을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주방 등의 벽면(14)에 밀착되게 설치된 벽장(13)의 상부에 설치된 싱크대(1) 사용방법은 일반적인 싱크대(1) 사용방법과 동일하며, 이는 기존의 싱크대 보다는 전후 폭(t)이 좁기 때문에 주로 보조싱크대(2)를 힌지(2a)를 기점으로 하여 벽면(14)에서 수평으로 전개시켜 식기세척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바, 보조싱크대(2)를 수평전개코자 할 시는 고정수단(9)을 작동시켜 보조싱크대(2)의 고정부(10)가 고정수단(9)으로부터 걸림해제되도록 한 후 이를 수평전개시킨다.
보조싱크대(2)는 싱크대(1)의 상하 폭(t3) 보다는 낮은 상하 폭(t2)을 갖고 있어 전개시 싱크대(1)의 상부에서 안치되는데, 보조싱크대(2)의 하부는 싱크대(1)의 전측에 지지되어 안정된 상태로 전개되며, 보조싱크대(2)의 전측은 싱크대(1) 보다는 전방으로 돌출형으로 위치하게 된다.(도 2 참조)
이러한 보조싱크대(2) 전개상태에서 수도콕(12)을 개방하여 용수를 급수받아 보조싱크대(2)에서 식기 세척 등을 행하면 용수는 배수공(3)을 통하여 싱크대(1)로 낙하배수된 후 싱크대(1)에 형성된 배수관(6)상의 이물걸름망(7)을 경유하여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보조싱크대(2)에 용수를 받아서 기름기 등이 묻어 있는 식기 등을 세척코자 할 시는 배수공(3)을 캡(11)으로 밀폐하고, 스위치(5)를 ON하면 전열히터(4)가 발열되어 그 열원이 보조싱크대(2)를 가온시켜 저수된 용수가 가온되고, 적정 온도가 되면 스위치(5)를 OFF 로 전화시킨 후 세제를 사용하여 식기 세척 등을 하면 신속하게 용수를 가온하여 세척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싱크대(1)에도 용수를 저수시켜 세척과 동시에 헹굼작업도 병행할 수 있는바, 싱크대(1)에 저수되는 용수는 보조싱크대(2)의 바닥면 이상으로 저수되지 않도록 측면 배수공(8)을 싱크대(1)에 형성하되 보조싱크대(2) 바닥보다는 아래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용수가 적량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측면 배수공(8)을 통하여 오버플로우되어 배수관(6)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보조싱크대(2)를 사용 후에는 힌지(2a)를 기점으로 벽면(14)측으로 상향 절첩하여 고정수단(9)으로 고정시켜 두면 주방의 실내공간은 극대화되어 공간활용도를 기존의 싱크대에 비하여 매우 폭 넓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싱크대(1)는 주방 등에 설치되는 싱크대(1)의 전후 폭(t)을 최소로 하고, 상기 싱크대(1)상에 힌지(2a)에 의해 전개 및 절첩될 수 있는 보조싱크대(2)를 설치하되, 상기 보조싱크대(2)는 전후 폭(t1)을 싱크대(1)의 전후 폭(t) 보다는 크게 하여 식기세척 등과 같은 작업을 할 시에 불편이 없으면서도 주방의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것이며,
상기 보조싱크대(2)에는 용수를 순간가온할 수 있는 전열히터(4)를 부가설치함으로써 기름기 등이 묻은 식기세척 등을 할 시에 용수를 신속하게 가온하여 세척상의 편익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싱크대(1)에 보조싱크대(2)를 전개시켜 세척작업을 할 경우 헹굼작업을 2개의 싱크대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근자에 유행하는 원룸 등의 좁은 공간내에서 입주자의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1)

  1. 주방 등에 벽장(13)과 함께 설치되는 통상의 싱크대(1)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1)의 일측으로는 전후 폭(t1)이 싱크대(1)의 전후 폭(t) 보다는 크게 구성되며 상하 폭(t2)은 싱크대(1) 상하 폭(t3) 보다는 작게 구성되는 보조싱크대(2)를 힌지(2a)에 의해 각운동하며 벽면(10)상으로 수직절첩 및 싱크대(1) 상부로 수평전개될 수 있도록 설치하며,
    상기 보조싱크대(2)에는 전개시 싱크대(1) 상으로 용수가 배수될 수 있는 위치에 배수공(3)을 형성하고, 배수공(3)이 위치한 보조싱크대(2) 바닥면 주변으로는 전열히터(4)를 스위치(5)와 연결설치하여 용수를 가온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싱크대(1)의 측면 배수공(8)은 보조싱크대(2) 전개시 바닥면 보다는 아래측에 설치하여 기존 배수관(6)과 연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KR2020020013705U 2002-05-04 2002-05-04 싱크대 KR200284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705U KR200284616Y1 (ko) 2002-05-04 2002-05-04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705U KR200284616Y1 (ko) 2002-05-04 2002-05-04 싱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616Y1 true KR200284616Y1 (ko) 2002-08-05

Family

ID=7307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705U KR200284616Y1 (ko) 2002-05-04 2002-05-04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61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749B1 (ko) 2013-12-20 2015-01-05 유은서 확장형 싱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749B1 (ko) 2013-12-20 2015-01-05 유은서 확장형 싱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9404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of
US7677239B2 (en) Kitchen-range, an oven and a self-cleaning assembly
CA2743100A1 (en) Dishwasher and a water tank adapted for a dishwasher
KR20090053974A (ko) 싱크대 일체형 식기 세척기
KR100813092B1 (ko) 퇴수의 폐열로 예열되는 업소용 식기세척기
CN209950722U (zh) 一种具有电磁炉的集成水槽及其多功能集成橱柜
KR100758526B1 (ko) 업소용 식기세척기
KR200284616Y1 (ko) 싱크대
CN207739332U (zh) 一种可以双控制出水的医用洗手池
CN2540894Y (zh) 一体式恒温浴缸
JP5421670B2 (ja) 食器洗浄機用ガスブースター
CN108742410B (zh) 一种洗碗机
KR20210085385A (ko) 전기레인지모듈, 식기세척모듈 및 정수필터모듈이 통합된 싱크 어셈블리
KR101636621B1 (ko) 난방수를 이용한 난방 기능을 갖는 온수통과 결합된 세면 샤워대
CA2383667A1 (en) Kitchenware washing apparatus
GB2206039A (en) Dishwashing apparatus
CN109965803A (zh) 一种洗碗机
CN216156708U (zh) 一种洗衣盆及洗衣柜
KR200281699Y1 (ko) 업소용 식기 세척기
CN209059092U (zh) 一种独立式可移动的水槽洗碗机
KR200165718Y1 (ko) 식기세척기의 방음방열장치
CN216776977U (zh) 一种清洗机
CN214856029U (zh) 茶叶萃取装置
CN210871378U (zh) 具有洗碗蒸烤功能的厨房用具
JP4038096B2 (ja) 食器洗い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