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343B1 - 기계식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 - Google Patents

기계식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343B1
KR100915343B1 KR1020070127938A KR20070127938A KR100915343B1 KR 100915343 B1 KR100915343 B1 KR 100915343B1 KR 1020070127938 A KR1020070127938 A KR 1020070127938A KR 20070127938 A KR20070127938 A KR 20070127938A KR 100915343 B1 KR100915343 B1 KR 10091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det
toilet seat
wash water
reservoir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094A (ko
Inventor
문주영
문주성
Original Assignee
문주영
문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주영, 문주성 filed Critical 문주영
Priority to KR1020070127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343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식 비데에 사용되는 세척수를 임시 보관하기 위한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일정용량의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좌우대칭의 통형태로서; 좌변기(D)의 상단 후방 또는 상기 좌변기(D)의 상단에 설치되는 비데(B)의 상단 후방에 안착 될 수 있도록 저면에 좌변기안착부(4)가 마련되고; 세척수 공급을 위해 건물 내벽으로부터 인출되는 물내림배관(P)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부(10)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좌변기(D)에 설치되는 비데(B)의 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비데연결부(14)가 타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계식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chamber for wash water of bidet}
본 발명은 비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데에 사용되는 세척수를 임시 보관하기 위한 기계식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에 관한 것이다.
비데는 좌변기에 앉아 용변을 본 후 신체를 부분적으로 세척하기 위해 근래 널리 보급되고 있는 편이 장치이다. 현재 여러 공급자에 의해 다양한 형식으로 비데가 제공되고 있으며 날로 고급화되고 있다. 보급되는 대부분의 비데는 세척수를 가열함으로써 신체의 예민한 부위에 찬물이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세척수가열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이 이외에도 여러 가지의 편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편이수단을 구비한 통상의 비데는 가격이 비싸고 고장의 우려가 많기 때문에 오피스텔, 병원, 공공기관 등 업무용 건물의 공중화장실에는 설치하기가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현재 보급되는 대부분의 비데는 가정 또는 호텔 등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업무용 건물에도 널리 보급할 수 있도록 보급형 비데가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비데는 기계식으로서 고장의 우려가 적으며 가격이 저렴하여 공중화장실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한편, 이러한 기계식 비데는 건물의 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직접 분사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 세척수가 신체에 바로 접하기에는 차갑기 때문이다. 따라서 세척수가열수단의 필요성이 대두되는데, 이를 위해 전기에너지를 이용하게 되면 기계식 비데의 유용성이 퇴색된다. 그러므로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이 제안되는 것이다.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은 실내에 설치되는데, 상온인 실내와의 열교환을 통해 세척수의 온도를 거의 상온에 가깝게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다. 열교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저장통의 단면적을 늘려야 한다. 그러나 비좁은 공중화장실에서 저장통을 크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따른다. 저장통을 위치시키는 장소 또한 마땅치 않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식 비데에 사용되는 세척수 저장통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세척수의 저장용량과 단면적을 늘림으로써 실내와의 열교환이 장시간에 걸쳐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며; 사용함에 거치적거리지 않고 대용량의 세척수를 안정적이고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어 배관연결부위의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화장실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며; 화장실 바닥청소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은, 일정용량의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좌우대칭의 통형태로서; 좌변기의 상단 후방 또는 상기 좌변기의 상단에 설치되는 비데의 상단 후방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저면에 좌변기안착부가 마련되고; 세척수 공급을 위해 건물내벽으로부터 인출되는 배관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부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좌변기에 설치되는 비데의 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비데연결부가 타측에 마련되는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장통은 열교환의 용이성을 위해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박판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은 안장과 같이 좌변기 위에 걸쳐질 수 있도록 저면 중간 부분이 움푹 패임으로써 정면에서 볼 때 "∩"와 같은 형태를 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이 좌변기 상단에 올려진 채로, 즉 화장실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이에 의하면 대용량의 세척수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여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온도까지 충분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화장실 바닥을 청소하는데 방해가 되지 아니하며, 사용자에 의해 거치적거림이 없게 된다. 또한, 저장용량과 더불어 단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구조여서 실내 공기와 세척수의 열교환이 더욱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의사용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그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 4 ; 좌변기 안착부
10 ; 배관연결부 14 ; 비데연결부
22 ; 배관끼움홈 24 ; 고정판
D ; 좌변기 B ; (기계식)비데
P ; 물내림배관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분해 사시도이다.
비데용 세척수 저장 통(2, 이하, '저장통'이라 한다)은 일정용량의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좌우대칭의 통형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저장통(2)은 열교환의 용이성을 위해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박판으로 되어 있다.
좌변기안착부(4)가 좌변기(D)의 상단 후방 또는 상기 좌변기의 상단에 설치되는 비데(B)의 상단 후방에 안착 될 수 있도록 저장통(2)의 저면에 마련된다. 즉, 저장통(2)은 좌변기 위에 직접 안착 설치될 수도 있으며, 비데 위에 설치될 수도 있다. 좌변기안착부(4)의 구체적 형태는 비데(B)의 형태에 의해 좌우될 것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도시된 좌변기안착부(4)는 하나의 예시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가정용 좌변기의 경우에는 통상 물내림을 위해 통상 세라믹으로 된 배출수통이 좌변기 후방에 고정 설치되지만, 일반 공공건물의 경우에는 물내림배관 및 밸브만이 노출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저장통은 특히 공공건물에 설치되는 기계식 비데를 위한 것이므로 배출수통이 배제된 형태를 가진다. 참고로 기계식 비데(B)는 노즐개방밸브(V)만이 설치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좌변기안착부(4)는 저장통(2)의 저면 중간 부분이 움푹 패임으로써 정면에서 볼 때 "∩"와 같은 대칭적 형태를 취한다. 즉, 저장통(2)은 마치 말의 안장과 같이 좌변기(D) 위에 걸쳐지게 된다. 이는 세척수가 담긴 저장통(2)의 무게중심을 좌우로 균형적으로 분산하여 안정적으로 좌변기 위에 안착되어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저장통의 단면적 내지 용량을 늘리기 위함이다. 좌변기안착부(4)의 안착면에는 특정의 비데에 또는 좌변기의 상면에 요철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6)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홈(6)은 2개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좌변기(4)의 형태 또는 비데의 형태에 종속하여 결정되므로 충분한 변형이 예상될 수 있다.
세척수 공급을 위해 건물내벽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입관(8)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부(10)가 저장통의 일측에 마련된다. 인입관(8)의 형태는 불문하며 현재 널리 보급되어 있는 형태에 맞도록 하면 된다. 패킹(12)을 개입시킨 상태에서 나사식으로 조여 체결함으로써 수밀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연결방식에 관하여는 후술 되는 비데연결부(14)에 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좌변기에 설치되는 비데, 특히 기계식 비데의 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비데연결부(14)가 저장통(2)의 타측에 마련된다. 비데연결부(14)는 비데(B)에 연결되는 배출관(16)이 연결된다. 비데연결부(14)는 배관연결부(10)와 반대방향에 설치되어 세척수로 하여금 실내 공기와 충분한 열교환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저장통(2)의 전면 상부는 후방으로 경사져 있는데, 이는 미관을 위한 이유도 되지만 좌변기의 덮개가 완전히 뒤로 젖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려이기도 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저장통(2)의 배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배관끼움홈(22)이 마련된다. 이는 통상의 공공건물에 널리 설치되는 물내림배관(P)이 지나갈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는 저장통(2)의 용량을 늘리는 동시에 물내림배관(P)과의 결합을 통해 저장통(2)이 보다 안정적으로 좌변기(D) 위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배려이다. 배관끼움홈(22)에는 기설치된 물내림배관(P)이 끼워지게 되고 고정판(24)은 저장통(2)과 물내림배관(P)을 서로 고정할 수 있도록 저장통(2)의 배면에 나사 등에 의해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저장통은 기계식 비데에 유용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통상의 전기식 비데에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3)

  1. 일정용량의 액체를 담을 수 있는 좌우대칭의 통형태로서 좌변기(D)의 상단 후방 또는 상기 좌변기(D)의 상단에 설치되는 비데(B)의 상단 후방에 안착 될 수 있도록 저면에 좌변기안착부(4)가 마련되고 세척수 공급을 위해 건물내벽으로부터 인출되는 물내림배관(P)을 연결하기 위한 배관연결부(10)가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좌변기(D)에 설치되는 비데(B)의 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비데연결부(14)가 타측에 마련되는 기계식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
  2. 제1항에 있어서, 안장과 같이 좌변기 위에 걸쳐질 수 있도록 저면 중간부분이 움푹 패임으로써 정면에서 볼 때 "∩"와 같은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
  3. 제1항에 있어서, 배면에 수직방향으로 배관끼움홈(22)이 마련되며, 상기 배관끼움홈(22)에 끼워진 물내림배관(P)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판(24)이 나사결합에 의해 배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
KR1020070127938A 2007-12-11 2007-12-11 기계식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 KR100915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938A KR100915343B1 (ko) 2007-12-11 2007-12-11 기계식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7938A KR100915343B1 (ko) 2007-12-11 2007-12-11 기계식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094A KR20090061094A (ko) 2009-06-16
KR100915343B1 true KR100915343B1 (ko) 2009-09-03

Family

ID=40990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7938A KR100915343B1 (ko) 2007-12-11 2007-12-11 기계식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3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470U (ko) * 1990-06-01 1992-02-13
JPH0547077U (ja) * 1991-11-29 1993-06-22 東陶機器株式会社 便器装置
JPH0782780A (ja) * 1993-09-14 1995-03-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温水洗浄装置付便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470U (ko) * 1990-06-01 1992-02-13
JPH0547077U (ja) * 1991-11-29 1993-06-22 東陶機器株式会社 便器装置
JPH0782780A (ja) * 1993-09-14 1995-03-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温水洗浄装置付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094A (ko) 200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1590B2 (en) Toilet system attached a multi-purpose hand held sprayer
KR100915343B1 (ko) 기계식 비데용 세척수 저장통
CN207260266U (zh) 一体式洁具
JP2002088840A (ja) 排水栓コンセント
CN215669927U (zh) 一种免隐藏式水箱的挂式马桶
CN212939503U (zh) 一种带水龙头泡沫型洗手液装置
CN101260684A (zh) 直立翻转式洗漱盆
US20040148689A1 (en) Portable gravity-flow simple bidet attachment
CN216195215U (zh) 一种智能马桶
CN213741399U (zh) 一体式洗手池及装置
CN220540404U (zh) 一种挂壁式水龙头
CN210507681U (zh) 一种连体式卫具
US20080155740A1 (en) Bidet assembly for toilets
CN214549180U (zh) 一种带有洗手液的水龙头
CN212336192U (zh) 移动式清洗台
CN209891315U (zh) 下沉式水箱智能马桶陶瓷体
JPH0312855Y2 (ko)
JP2002302990A (ja) 大便器ユニット
GB2558737A (en) Sink or bath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01061685A (ja) 洗面化粧台
KR200300769Y1 (ko) 물 교체가 용이한 수족관
JP2000234376A (ja) 水洗式便器本体
CN2581549Y (zh) 可隐藏式坐便器
CN2436864Y (zh) 柜式组合热水供应装置
JP2010125295A (ja) オストメイト用流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