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7150Y1 - 드릴기능이 부가된 엔드밀 - Google Patents

드릴기능이 부가된 엔드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7150Y1
KR200237150Y1 KR2020010007860U KR20010007860U KR200237150Y1 KR 200237150 Y1 KR200237150 Y1 KR 200237150Y1 KR 2020010007860 U KR2020010007860 U KR 2020010007860U KR 20010007860 U KR20010007860 U KR 20010007860U KR 200237150 Y1 KR200237150 Y1 KR 2002371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slot
fastening hole
cutting edg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8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이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수 filed Critical 이정수
Priority to KR20200100078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71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71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7150Y1/ko

Links

Landscapes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삭날부재에 절삭팁이 몸체의 플루트로 배출될 수 있게 팁유도홈을 형성하여 엔드밀 가공은 물론이고 드릴링 기능까지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절삭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한편, 슬롯과 대응되는 절삭날부재의 하단부에 끼움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절삭날부재와 끼움부에서 스크류를 이중으로 체결하는 동시에 스크류가 끼움부에 편심되게 체결되도록 하므로서 절삭날부재의 유동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정밀절삭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절삭날부재의 손상을 극소화 할 수 있는 드릴기능이 부가된 엔드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절살날부재가 몸체의 헤드로부터 분리되는 엔드밀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적소에서 헤드(111)까지 나선형상의 플루트(112)를 형성하고, 상기 헤드(111)의 슬롯(113)에 소정깊이의 삽입공(114)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 (111)의 측방향에서 슬롯(113)과 관통되는 제1체결공(115)을 관통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체결공(115)의 하부에 슬롯(113)의 삽입공(114)과 연통되게 제2체결공(11 6)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절삭날부재(120)의 절삭날(121) 정점에서 하방으로 절삭날(121)에 의해 절삭된 절삭팁의 배출을 유도하는 팁유도홈(122)을 형성하고, 상기 절삭날부재(120)의 하부에 슬롯(113)의 삽입공(114)과 대응되는 끼움부(123)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끼움부(123)에 제2체결공(116)을 통해 진입한 스크류 (130)의 단부와 대응되게 일측으로 편심된 테이퍼홈(124)을 형성하며, 상기 절삭날부재(120)의 측방에 제1체결공(115)을 통해 진입한 또 다른 스크류(130)가 관통되는 관통공(12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드릴기능이 부가된 엔드밀{Endmill attachment to drilling}
본 고안은 공작기계에 장착시켜서 가공대상물을 절삭하는 엔드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드밀 가공은 물론이고 드릴링 기능까지 할 수 있는 드릴기능이 부가된 엔드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드밀은 주로 철계, 비철계 금속의 절삭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공작기계에 장착되어 가공대상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절삭공구이며, 상기 엔드밀은 절삭날부재가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것과, 절삭날부재가 몸체와 분리된 두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본 고안과 관련된 절삭날부재와 몸체가 분리된 엔드밀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과 같이 공작기계(미도시)에 종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에 적합한 몸체(12)와, 상기 몸체(12)에 체결되어 철계 또는 비철계금속의 절삭가공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절삭날부재(14), 그리고 절삭날부재(14)를 몸체(12)에 단단히 체결하기 위한 스크류(18)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상기 몸체(12)의 헤드(12a) 내에는 절삭날부재(14)를 수용할 수 있는 슬롯( 12b)이 종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12a)의 선단에는 반원형의 만곡부(12c)가 형성되며, 상기 만곡부(12c)에는 스크류(18)와 대응되는 체결공(12d)이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절삭날부재(1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삭가공을 수행하는 에스자 형상의 절삭날(14a)이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절삭날(14a)의 내측으로는절삭팁을 사방으로 유도하는 팁 유도면(14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삭날부재(1 4)의 측방에는 스크류(18)가 관통되는 관통공(14c)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엔드밀은 헤드(12a)의 슬롯(12b)에 절삭날부재(14)를 삽입시킨 다음, 스크류(18)를 절삭날부재(14)의 관통공(14c)에 관통시켜 헤드(12a)의 체결공(12d)에 체결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슬롯(12b)과 절삭날부재(14)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면 절삭날부재(14)의 유동으로 인하여 정밀한 절삭가공이 수행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유동으로 인하여 절삭날부재(14)의 파손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엔드밀로서는 가공대상물의 표면가공 밖에 할 수 없기 때문에 가공대상물에 드릴작업을 하고자 할 시에는 공작기계로부터 엔드밀을 분리한 다음, 드릴을 설치하여 드릴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교체작업에 따른 시간손실이 초래됨은 물론 절삭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절삭날부재에 절삭팁이 몸체의 플루트로 배출될 수 있게 팁유도홈을 형성하여 엔드밀 가공은 물론이고 드릴링 기능까지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절삭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한편, 슬롯과 대응되는 절삭날부재의 하단부에 끼움부를 형성한 다음, 상기 절삭날부재와 끼움부에서 스크류를 이중으로 체결하는 동시에 스크류가 끼움부에 편심되게 체결되도록 하므로서 절삭날부재의 유동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정밀절삭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절삭날부재의 손상을 극소화 한 드릴기능이 부가된 엔드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의 (a)와 (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엔드밀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엔드밀의 절삭날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엔드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엔드밀의 요부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엔드밀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몸체 111:헤드
112:플루트 113:슬롯
114:삽입공 115:제1체결공
116:제2체결공 120:절삭날부재
121:절삭날 122:팁유도홈
123:끼움부 124:테이퍼홈
125:관통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절살날부재가 몸체의 헤드로부터 분리되는 엔드밀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적소에서 헤드까지 나선형상의 플루트를 형성하고, 상기 헤드부의 슬롯에 소정깊이의 삽입공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의 측방향에서 슬롯과 관통되는 제1체결공을 관통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체결공의 하부에 슬롯의 삽입공과 연통되게 제2체결공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절삭날부재의 절삭날 정점에서 하방으로 절삭날에 의해 절삭된 절삭팁의 배출을 유도하는 팁유도홈을 형성하고, 상기 절삭날부재의 하부에 슬롯의 삽입공과 대응되는 끼움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끼움부에 제2체결공을 통해 진입한 스크류의 단부와 대응되게 일측으로 편심된 테이퍼홈을 형성하며, 상기 절삭날부재의 측방에 제1체결공을 통해 진입한 또 다른 스크류가 관통되는 관통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엔드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엔드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엔드밀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먼저, 엔드밀의 몸체(110)는 그 중간 상부에서 헤드(111)까지 나선형상의 플루트(112)가 양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헤드(111)의 슬롯(113)에 소정깊이의 삽입공 (114)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111)의 측방향에서 슬롯(113)과 관통되는 제1체결공 (115)을 관통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체결공(115)의 하방에 슬롯(113)의 삽입공 (114)과 연통되게 제2체결공(116)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헤드(1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절삭날부재 (120)는 그 상단의 절삭날(121) 정점에서 하방으로 절삭날(121)에 의해 절삭된 절삭팁의 배출을 유도하는 팁유도홈(122)을 형성하여 몸체(110)의 플루트(112)와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절삭날부재(120)의 하부에 슬롯(113)의 삽입공(114)과 대응되는 끼움부(123)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끼움부(123)에 제2체결공(116)을 통해 진입한 스크류(130)의 단부와 대응되게 일측으로 편심된 테이퍼홈(124)을 형성하며, 상기 절삭날부재(120)의 측방에 제1체결공(115)을 통해 진입한 스크류(130)가 관통되는 관통공(125)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엔드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엔드밀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면, 도 5와 같이 몸체(110)의 헤드(112) 상단에 형성된 슬롯(113)에 절삭날부재(120)를 삽입하는데, 이때 상기 슬롯(113)의 삽입공(114)에 절삭날부재(120)의 끼움부(123)를 끼움결합한다.
그런 다음, 몸체(110)의 제1체결공(115)으로 스크류(130)를 체결하게 되면제1체결공(115)을 진입한 스크류(130)는 슬롯(113) 사이에 설치되어진 절삭날부재 (120)의 관통공(125)을 관통하여 그 후방의 제1체결공(115)에 단단히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체결공(116)에 또 다른 스크류(130)를 체결하게 되는데, 이때 스크류(130)는 슬롯(113)의 삽입공(114)에 편심된 상태로 관통하게 되며, 상기 스크류(130)는 끼움부(123)의 테이퍼홈(124)으로 진입하여 그 단부가 테이퍼홈 (124)과 삽입공(114) 사이에 압압되면서 문드러져 단단히 체결된다.
즉, 제1체결공(115)을 통해 체결된 스크류(130)로서 절삭날부재(120)를 고정한 다음, 제2체결공(116)을 통해 체결된 스크류(130)가 절삭날부재(120) 하단의 끼움부(123)를 재차 고정하므로서 절삭날부재(120)의 유동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합된 엔드밀을 공작기계에 결합시켜 가공대상물의 엔드밀 작업을 수행하는데, 작업 중 가공대상물에 구멍을 천공하고자 할 시에는 엔드밀을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절삭날부재(120)의 절삭날(121)에 의해 절삭된 절삭팁은 절삭날(121)의 양측으로 형성된 팁유도홈(122)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팁유도홈 (122)과 연결된 몸체(110)의 플루트(112)를 통해 자연스럽게 배출되므로서 엔드밀로서 드릴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절삭날부재(120)에 절삭팁이 몸체(110)의 플루트(112)로 배출될 수 있게 팁유도홈(122)을 형성하여 엔드밀 가공은 물론이고 드릴링 기능까지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절삭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한편, 슬롯(113)과 대응되는 절삭날부재(120)의 하단부에 끼움부(123)를 형성한 다음, 상기 절삭날부재(120)와 끼움부(123)에서 스크류(130)를 이중으로 체결하는 동시에 스크류(130)가 끼움부(123)에 편심되게 체결되도록 하므로서 절삭날부재(120)의 유동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정밀절삭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절삭날부재(120)의 손상을 극소화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절살날부재가 몸체의 헤드로부터 분리되는 엔드밀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적소에서 헤드(111)까지 나선형상의 플루트(112)를 형성하고, 상기 헤드(111)의 슬롯(113)에 소정깊이의 삽입공(114)을 형성하며, 상기 헤드(111)의 측방향에서 슬롯(113)과 관통되는 제1체결공(115)을 관통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제1체결공(115)의 하부에 슬롯(113)의 삽입공(114)과 연통되게 제2체결공(116)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절삭날부재(120)의 절삭날(121) 정점에서 하방으로 절삭날(121)에 의해 절삭된 절삭팁의 배출을 유도하는 팁유도홈(122)을 형성하고, 상기 절삭날부재(120)의 하부에 슬롯(113)의 삽입공(114)과 대응되는 끼움부(123)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끼움부(123)에 제2체결공(116)을 통해 진입한 스크류 (130)의 단부와 대응되게 일측으로 편심된 테이퍼홈(124)을 형성하며, 상기 절삭날부재(120)의 측방에 제1체결공(115)을 통해 진입한 또 다른 스크류(130)가 관통되는 관통공(12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드릴기능이 부가된 엔드밀.
KR2020010007860U 2001-03-22 2001-03-22 드릴기능이 부가된 엔드밀 KR2002371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860U KR200237150Y1 (ko) 2001-03-22 2001-03-22 드릴기능이 부가된 엔드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860U KR200237150Y1 (ko) 2001-03-22 2001-03-22 드릴기능이 부가된 엔드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7150Y1 true KR200237150Y1 (ko) 2001-10-08

Family

ID=7309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860U KR200237150Y1 (ko) 2001-03-22 2001-03-22 드릴기능이 부가된 엔드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71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944B1 (ko) 2020-08-19 2021-02-08 한상오 스펀지 가공용 공구를 이용한 스펀지 가공방법
CN113751778A (zh) * 2021-09-27 2021-12-07 浙江欣兴工具有限公司 采用分体式刀头的旋转加工刀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944B1 (ko) 2020-08-19 2021-02-08 한상오 스펀지 가공용 공구를 이용한 스펀지 가공방법
CN113751778A (zh) * 2021-09-27 2021-12-07 浙江欣兴工具有限公司 采用分体式刀头的旋转加工刀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2159B2 (ja) 深穴のためのドリルシステム
RU2440872C2 (ru) Регулируемое сверло с механическим креплением многогранных режущих пластин
US7735401B2 (en) Boring tool with adjustable chamfer cutter
CN103447591B (zh) 四角形的可转位的钻头镶片
JP4103962B2 (ja) バイトとそれを用いた櫛刃型旋盤
JP3299264B2 (ja) 穿孔工具
CN100595009C (zh) 具有可调切削刀片的用于去屑加工的钻孔刀具
CA2441511C (en) Drill insert geometry having v-notched web
KR20130011958A (ko) 인덱서블 드릴 인서트
KR20140026172A (ko) 내경 가공용 선삭 공구
JPS5833044B2 (ja) 交換可能なインサ−トドリル
US6848869B2 (en) Spot and chamfer drill insert
US4047830A (en) Drilling tool
JPH11129109A (ja) ドリルリーマチップ及びドリルリーマ工具
KR200237150Y1 (ko) 드릴기능이 부가된 엔드밀
JPH11813A (ja) スローアウェイ式エンドミル及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2003503218A (ja) チップ直接搭載切削工具
KR20170020100A (ko) 드릴리머
JP2007038387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CN217070867U (zh) 一种增加子刃带的直槽阶梯钻
KR200240149Y1 (ko) 공작기계용 절삭공구
CN215880760U (zh) 一种带断屑槽的pcd铣刀夹
CN216607272U (zh) 数控成型刀具
JP2004345081A (ja) 回転式切削工具
KR200193291Y1 (ko) 인서트 드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