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995Y1 - 회전침대 - Google Patents

회전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995Y1
KR200236995Y1 KR2020010009441U KR20010009441U KR200236995Y1 KR 200236995 Y1 KR200236995 Y1 KR 200236995Y1 KR 2020010009441 U KR2020010009441 U KR 2020010009441U KR 20010009441 U KR20010009441 U KR 20010009441U KR 200236995 Y1 KR200236995 Y1 KR 2002369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tress
support
pulley
support plate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9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래
Original Assignee
김현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래 filed Critical 김현래
Priority to KR2020010009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9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9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995Y1/ko

Links

Landscapes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이나 호텔, 여관, 모텔과 같은 각종의 숙박장소에 설치 사용되는 침대의 메트리스를 모터로 회전시켜 유희감을 더욱 배가시킨 회전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메트리스(21)가 회전되는 침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베이스(10)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 받침판(12)의 중앙부로 입설되고, 단차 형성된 지지부(18)를 포함하는 받침축(16)과; 공지의 메트리스(21)가 안착되는 상부베이스(20)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받침판(24)의 하부에 용착 설치되고, 상기 받침축(16)의 지지부(1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어링 어셈블리(28)와; 상기 상부 받침판(24)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풀리(32), 이 풀리(32)에 대하여 동일 경사각으로 설치되고 벨트(34)로 연결된 모터 풀리(36)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어드 모터(38)로 이루어진 메트리스 회전수단(30)으로 구성된 것이며, 또한 상기 받침축(16)의 지지부(18)는 경사 또는 수직 설치하여 이에 장착되는 상부 받침판(24)이 경사 설치되어 편향 회전되거나 수평 설치되어 수평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침대{Rotation bed}
본 고안은 가정이나 호텔, 여관, 모텔과 같은 각종의 숙박장소에 설치 사용되는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트리스를 모터로 회전시켜 유희감을 더욱 배가시킨 회전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침대는 메트리스가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그 형태 또한 대부분 직사각이나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종래의 침대는 주로 그 기능상 안락한 잠자리를 유도하기 위한 메트리스의 쿳션 구조에 대한 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근자에는 침실문화의 개선을 위해 종래 획일적이던 침대 구조의 단순성에서 밧어나 프레임에 물품 수납용 서랍을 형성하거나, 침대 헤드부위로 아름다운 거울 장식을 다양하게 하여 휴식 및 유희 공간으로서의 활용도를 높 여가고 있으며, 이러한 일환으로 종래에는 메트리스 각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메트리스를 상하로 자유로이 승강시키고, 또한 메트리스의 특정부위가 요동되게 하여 특수 기능을 하는 다양한 침대가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침대 구조 개선의 일환으로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고정식으로 정형화된 침대의 메트리스를 평상시에는 고정식으로 함과 동시에 성생활과 같은 특수한 경우 소정의 속도로 편향 또는 수평 회전되게 하여 유희감을 더욱 높이도록 한 회전침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상부 받침판이 받침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대의 측 단면도,
도2는 도1의 Ⅱ-Ⅱ선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침대의 회전상태를 보인 측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상부 받침판이 받침축에 대하여 수평상태로 설치된 제2실시 예에 따른 침대의 측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하부 베이스 12: 하부 받침판
16: 받침축 18: 지지부
20: 상부 베이스 21: 메트리스
22: 침대 바디 24: 상부 받침판
28: 베어링 어셈블리 30: 메트리스 회전수단
32: 풀리 34: 벨트
36: 모터 풀리 38: 기어드 모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회전침대의 특징은, 하부베이스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 받침판의 중앙부로 입설되고, 단차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받침축과; 공지의 메트리스가 안착되는 상부베이스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받침판의 하부에 용착 설치되고 상기 받침축의 지지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어링 어셈블리와; 상기 상부 받침판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풀리, 이 풀리에 대하여 벨트로 연결된 모터 풀리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어드 모터로 이루어진 메트리스 회전수단으로 구성된 점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받침판은 상기 받침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으로 경사 설치되어 편향 회전되도록 구성되거나, 아니면 상기 받침축에 대하여 수평 상태로 설치되어 수평 회전되도록 구성함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상부 받침판이 받침축에 대하여 편향되게 설치된 상태를 보인 침대의 제1실시 예의 측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베이스(10)는 실내 바닥에 놓여져 메트리스가 쓰러지지 않도록 받침하는 것이며, 이는 합판으로 소정의 두께(약 25㎜)와 안정적인 받침을 위해 비교적 큰 넓이(약 1800㎜)를 갖는다.
하부 베이스(10)의 일 측면으로는 이 보다 크기가 작은 금속재의 하부 받침판(12)이 볼트와 같은 다수의 고정부재(14)에 의해 일체로 받침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 받침판(12)의 중앙부로는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받침축(16)이 일체로 입설(立設)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축(16)의 말 단부로는 이 받침축(16)의 중심센터에 대하여 소정의 각(○°)으로 경사진 지지부(18)가 단턱지게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베이스(20)는 공지의 메트리스(21)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이 역시 하부 베이스(10)와 같은 합판 재질로 그 크기 및 두께가 거의 유사하며, 그 가장자리로는 침대바디(22)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베이스(20)의 일 측면으로는 금속재의 상부 받침판(24)이 볼트와 같은 다수의 고정부재(26)에 의해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그 중앙 하부로는 상부 받침판(24)을 상기 받침축(1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베어링 어셈블리(26)가 용착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어셈블리(28)는 상부 받침판(24)에 용착되는 베어링 홀더(28a)와 그 내부 베어링 홈으로 장착되어 상기 받침축(16)의 경사 지지부(18)에 삽설 고정되는 베어링(28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메트리스(21)가 안착된 상부 받침판(24)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이와 동일한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메트리스 회전수단(30)은, 도3과 같이 상기 베어링 어셈블리(28)의 외주연으로 위치되고 상기 상부 받침판(24)에 고정 설치되는 큰 직경의 풀리(32)와, 상기 풀리(32)에 대하여 밸트(34)로 연결 지지되되 상기한 받침축(16)의 지지부(18)의 동일한 경사각(○°)으로 설치되는 모터 풀리(36) 및 이 모터 풀리(36)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어드 모터(38)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어드 모터(38)는 그 회전 속도의 가감 조절이 가능하며, 이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온/오프 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리모컨 조작에 의해 원격으로 조작될 수 있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면상 미 설명 부호 40은 침대 바디(22)에 고정된 레이스로서, 이는 외부에서 침대 내부의 기계장치가 보이지 않도록 가리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침대는 도3과 같이 상부 받침판(24)의 베어링 어셈블리(28)가 상기 받침축(16)의 경사 지지부(18)에 대하여 소정의 각으로 경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도시되 않은 스위치를 조작하면 기어드 모터(38)의 구동으로 모터 풀리(26)와 벨트(34)로 연결된 큰 직경의 풀리(32)가 연동되어짐에 따라 받침축(16)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받침판(24)과 메트리스(21)가 안착된 상부 베이스(20)가 동시에 소정의 속도로 회전되어진다.
따라서 회전되는 침대의 메트리스(21)는 받침축(16)이 수직 상태로 받침되어 있어 안정적인 받침이 가능할 뿐 아니라 지지부(18)에 의해 일 측으로 경사져 편향 회전되기 때문에 침대 사용자는 빙글빙글 회점 됨과 동시에 높낮이 회전에 의한 요동감을 받게되어 종래 고정식 침대에 비하여 가일층 증대된 유희감과 황홀감을 동시에 느끼게 되는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침대의 상부 받침판(24)이 받침축(16)에 대하여 수평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제2실시 예의 측 단면도로서, 도1 및 도3의 제1실시 예와 비교할 때 도4의 제2실시 예는 받침축(16)의 지지부(18)가 경사지지 않고 수직상태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에 상부 받침판(24)이 수평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메트리스 회전수단(30) 역시 수평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도4의 제2실시 예의 경우 제1실시 예와는 달리 메트리스 회전수단(30)에 의해 메트리스(21)가 안착된 상부 베이스(20)와 상부 받침판(24)이 상기 받침축(16)의 지지부(18)에 삽설 고정된 베어링 어셈블리(28)를 중심으로 수평 회전하게 되어 메트리스(21)의 회전이 안정적이면서도 황홀한 유희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제1 및 제2실시 예에 따르면 메트리스 회전수단(30)은 메트리스(21)의 하중에 의한 과부하가 발생되어 상부 받침판(24)에 고정된 풀리(32)와 모터 풀리(36)의 회전 속도가 맞지 않더라도 기계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벨트 풀리 구조가 가장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나이라 체인 기어방식도 채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메트리스가 받침축에 지지된 상태로 편향 또는수평으로 회전되는 회전 유희감과 황홀감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을 지라도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상, 하부 받침판 사이로 하나 이상의 받침축을 설치하여 안정감을 더욱 추구하고 각 받침축으로는 풀리를 각각 설치하며 각각 풀리로는 하나의 풀리 모터와 벨트로 연결시켜 기어드 모터의 구종에 의해 메트리스가 회전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메트리스(21)가 회전되는 침대를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베이스(10)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하부 받침판(12)의 중앙부로 입설되고, 단차 형성된 지지부(18)를 포함하는 받침축(16)과;
    공지의 메트리스(21)가 안착되는 상부베이스(20)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상부 받침판(24)의 하부에 용착 설치되고, 상기 받침축(16)의 지지부(1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어링 어셈블리(28)와;
    상기 상부 받침판(24)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풀리(32), 이 풀리(32)에 대하여 동일 경사각으로 설치되고 벨트(34)로 연결된 모터 풀리(36)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어드 모터(38)로 이루어진 메트리스 회전수단(3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축(16)의 지지부(18)는 경사 설치하고, 이에 상부 받침판(24)이 경사 설치되어 편향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축(16)의 지지부(18)는 수직 형성하고, 이에 상부 받침판(24)이 수평 설치되어 수평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침대.
KR2020010009441U 2001-04-04 2001-04-04 회전침대 KR2002369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441U KR200236995Y1 (ko) 2001-04-04 2001-04-04 회전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9441U KR200236995Y1 (ko) 2001-04-04 2001-04-04 회전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995Y1 true KR200236995Y1 (ko) 2001-10-10

Family

ID=7309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9441U KR200236995Y1 (ko) 2001-04-04 2001-04-04 회전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9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3201B1 (en) Amusement device with revolving members
JP6709475B2 (ja) 傾動可能なスツールまたはラウンジチェア
US6494849B2 (en) Massage device
KR100531030B1 (ko) 완충기능을 갖는 절첩식 의자
JP3347143B2 (ja) ローラーマッサージ機
EP3527109A1 (en) Base seat for bed, chair or sofa
KR200236995Y1 (ko) 회전침대
CA2375579A1 (en) A stadium seat
US9220988B2 (en) Inclusive rotating play device
EP2242398B1 (en) A rocking chair mechanism
KR200458974Y1 (ko) 파라솔이 구비된 회전식식탁
JP3183680U (ja) 揉み玉及び回転台並びに該揉み玉及び回転台を備えたマッサージ装置
JPH0461576A (ja) ディスプレイ回転台
JP2008200433A (ja) ダイエットマシーン
US7784372B1 (en) Drive mechanism for massaging device
JP4409562B2 (ja) フットレスト、椅子型マッサージ機、及び足マッサージ機
JP4307199B2 (ja) 回転台及び該回転台を具えた画像表示装置ユニット
JPH0617037Y2 (ja) 扇風機
JP3122020B2 (ja) 鉄棒装置
JP3777167B2 (ja) テーブル家具及びテーブル家具集合体
CN217661452U (zh) 一种多功能旋转木马设备
KR100244073B1 (ko) 움직이는 공시계
KR200337538Y1 (ko) 의자의 좌판 및 등받이 지지 및 구동장치
KR200228412Y1 (ko)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
JPH10328423A (ja) ロボット人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