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412Y1 -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 - Google Patents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412Y1
KR200228412Y1 KR2020000034279U KR20000034279U KR200228412Y1 KR 200228412 Y1 KR200228412 Y1 KR 200228412Y1 KR 2020000034279 U KR2020000034279 U KR 2020000034279U KR 20000034279 U KR20000034279 U KR 20000034279U KR 200228412 Y1 KR200228412 Y1 KR 200228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al
motor
arm
game machine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대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니코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니코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니코전자
Priority to KR2020000034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4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412Y1/ko

Links

Landscapes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 상에 탑재되어 소정 각도 선회운동 하면서 테이플 상에 떨어진 메달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밀판, 밀판의 선회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모터,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동되고 끝단에 롤러가 설치된 모터 암 및 모터 암의 회동에 의해 소정 반경으로 원운동 하는 롤러가 결합되는 롤러 홈을 구비하여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롤러의 원운동을 선회운동으로 변환하여 밀판에 전달하기 위한 스윙 암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게임자가 메달 게임기 내에서 메달이 이동되어 작동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더욱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해주며, 또 한 개의 모터만으로도 여러 개의 밀판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어 게임기의 제작단가뿐만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도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medal pusher apparatus for medal game machine}
본 고안은 메달 게임기(medal game machine)의 메달 푸셔(medal pusher)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달을 이용하는 게임기에서 내부 테이블(table)에 떨어져 있는 메달을 소정의 스위치 쪽으로 밀어서 메달이 스위치 쪽으로 떨어지면서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메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달 게임기는 게임자가 메달을 투입하고 게임 버튼을 누르면 내부 특정 회로로 전원이 공급되고, 그에 따라 기억장치에 저장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기기가 작동하며, 그 작동결과에 따라 메달을 게임자에게 되돌려주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메달 게임기에서는 내부로 투입된 메달의 동작을 전혀 관찰할 수 없어 메달 게임의 흥미가 반감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게임자가 내부 메달의 동작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메달 게임의 흥미를 배가시켜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메달 게임기에 필요한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가 적용되는 메달 게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메달 푸셔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밀판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모터의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모터와 이 모터에 결합되는 모터 암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메달 푸셔 장치 110 : 밀판
120 : 팔부재 130 : 베어링 기구
132 : 베어링 베이스 134 : 베어링
136 : 브래킷 140 : 스윙 암
142 : 롤러 홈 150 : 모터 암
152 : 롤러 160 : 모터
162 : 모터 축
본 고안의 목적은 메달 게임기의 소정 테이블 상에 떨어진 메달을 필요한 위치로 밀어주기 위한 메달 푸셔 장치에 있어서, 테이블 상에 탑재되어 소정 각도 선회운동 하면서 테이블 상에 떨어진 메달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밀판, 밀판의 선회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모터,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동되고 끝단에 롤러가 설치된 모터 암 및 모터 암의 회동에 의해 소정 반경으로 원운동 하는 롤러가 결합되는 롤러 홈을 구비하여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롤러의 원운동을 선회운동으로 변환하여 밀판에 전달하기 위한 스윙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밀판은 소정 각도 간격으로 2이상 설치되고, 각 밀판과 스윙 암 사이에는 방사 상으로 배치되어 바깥쪽 끝단이 밀판에 각각 결합된 2이상의 팔부재와 2이상 팔부재의 안쪽 끝단을 스윙 암에 일체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베어링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위 베어링기구는 스윙 암에 결합되는 베어링과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베이스와 베어링을 베어링 베이스에 결합하기 위한 브래킷과 나사들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가 적용되는 메달 게임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메달 푸셔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메달 게임기(1000)는 게임기 둘레에 6명이 둘러앉아서 게임을 할 수 있는 것으로, 게임방식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메달 게임기(1000)의 몸체(1100) 일측에 설치된 메달투입구(1102)로 메달을 투입하면 이는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테이블 상에 떨어지고, 이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메달 푸셔 장치(100)가 메달을 밀어서 소정의 스위치가 설치된 곳으로 떨어뜨린다. 이에 따라 스위치가 작동되면서 소정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그 결과가 디스플레이(display, 미도시)에 표시되고, 또 그 결과에 따라 중앙에 설치된 메달방출장치를 통해 메달이 방출된다. 방출된 메달은 중앙부의 회전판이나 테이블 상에 떨어진 후 해당 게임자의 호퍼(hopper, 1104)로 공급된다. 회전판에 떨어진 메달은 회전판의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나와 테이블로 떨어지거나 호퍼(1104)로 공급된다. 이러한 메달 게임기(1000)에서 테이블 상으로 떨어진 메달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이는 도 2를 보면 알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100)는 밀판(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밀판(110)은 메달을 직접 밀어주기 위한 것으로, 6인용의 경우에 120° 간격으로 3개가 필요하다. 이 밀판(110)은 대략 부채꼴 모양을 하고 있으며, 양측 가장자리가 아래쪽으로 돌출 되어 있는 부분이 테이블의 바닥에 닿은 상태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좌, 우로 선회운동 하는 부분이다.
밀판(110) 아래쪽으로 팔부재(12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팔부재(120)는 그 바깥쪽 끝단이 밀판(110)에 결합되어 밀판(110)을 지지하고, 또 밀판(110)이 좌, 우로 선회될 수 있도록 힘을 전달하는 부분이다. 이 팔부재(120)는 중앙에서 각 밀판(110)을 향해 방사 상으로 배치되며, 그 안쪽 끝단은 베어링기구(bearing apparatus, 130)에 결합된다.
베어링기구(130)는 링 모양의 베어링 베이스(bearing base, 132)와 베어링 베이스(132) 상에 설치되는 베어링(134)과 이 베어링(134)을 베어링 베이스(132)에 결합하기 위한 브래킷(bracket, 136)과 나사(138)들로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메달 푸셔 장치(100)는 스윙 암(swing arm, 14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스윙 암(140)은 그 일측이 베어링(134)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이 베어링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좌, 우 회동 가능케 설치된다. 이러한 스윙 암(140)의 끝단 부근에 롤러 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롤러 홈(142)은 뒤에서 설명되는 모터 암(motor arm, 150)에 설치된 롤러(roller, 152)의 원운동을 스윙 암(140)의 선회운동으로 바꾸어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스윙 암(140)은 ㄷ자 형상의 단면모양을 갖는 부재를 사용하면 된다. 이 스윙 암(140)은 팔부재(120)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이 스윙 암(140)은 팔부재(120)와는 별도로 베어링(134)에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메달 푸셔 장치(100)는 모터(1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모터(160)는 밀판(110)을 선회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나타낸 메달 게임기(100)의 내부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데, 이는 도 4를 보면 알 수 있다. 이 모터(160)에는 모터 암(150)이 결합된다. 모터 암(150)은 모터(160)에 결합되어 소정 반경의 원운동을 하는 것으로, 그 끝단에 롤러(152)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152)는 앞에서 설명한 스윙 암(140)의 롤러 홈(142)에 결합된다.
즉, 모터(160)의 구동으로 모터 암(150)이 회전하면 그 끝단에 설치된 롤러(152)도 소정 반경의 원주를 따라 원운동을 한다. 이 롤러(152)의 원운동에 의해 스윙 암(140)은 베어링을 중심으로 좌, 우로 선회운동을 하고, 이 스윙 암(140)의 일측에 연결된 베어링(134)과 베어링(134)에 결합된 팔부재(120)도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좌, 우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팔부재(120)의 끝단에 결합되어 있는 각 밀판(110)도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하여 좌, 우로 선회운동을 하면서 테이블 상의 메달을 밀어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밀판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1106)의 양측 가장자리에 스위치(1108)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테이블(1106) 위에 밀판(110)이 탑재되어 있으며, 밀판(110)에는 팔부재(120)가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메달 푸셔 장치(100)가 작동되면 밀판(110)은 테이블(1106) 상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좌, 우로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즉, 테이블(1106) 상에 메달이 떨어지면 그 메달을 테이블(1106)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밀어내어 스위치(1108)를 작동시킬 수 있게된다.
도 4는 모터의 설치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모터와 이 모터에 결합되는 모터 암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는 도 1에 나타낸 게임기(1000)의 하부 몸체(1100)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 몸체(1100)의 가장자리 부근 일측에 모터설치홈(1110)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모터브래킷(164)과 나사(166)들을 통해 모터(160)가 설치된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모터(160)의 축(162)은 그 일측면이 절단되어 있다. 이 모터(160)의 축(162)에 결합공(154)을 통해 모터 암(150)이 결합되며, 그 상태에서 핀(156)을 꽂아 모터 암(150)이 모터 축(162)에 대해 상대 회전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모터 암(150)의 끝단에 롤러(152)가 결합되어 있다. 이 롤러(152)는 앞에서 설명한 스윙 암(140)의 롤러 홈(142)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메달 푸셔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게임자가 메달 게임기 내에서 메달이 이동되어 작동하는 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더욱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또, 한 개의 모터만으로도 여러 개의 밀판을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어 게임기의 제작단가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도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메달 게임기의 소정 테이블 상에 떨어진 메달을 필요한 위치로 밀어주기 위한 메달 푸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상에 탑재되어 소정 각도 선회운동 하면서 상기 테이블 상에 떨어진 메달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밀어주기 위한 밀판;
    상기 밀판의 선회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동되고 끝단에 롤러가 설치된 모터 암; 및
    상기 모터 암의 회동에 의해 소정 반경으로 원운동 하는 상기 롤러가 결합되는 롤러 홈을 구비하여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롤러의 원운동을 선회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밀판에 전달하기 위한 스윙 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판은 소정 각도 간격으로 2이상 설치되고, 상기 각 밀판과 상기 스윙 암 사이에는 방사 상으로 배치되어 바깥쪽 끝단이 상기 밀판에 각각 결합된 2이상의 팔부재와 상기 2이상 팔부재의 안쪽 끝단을 상기 스윙 암에 일체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베어링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기구는 상기 스윙 암에 결합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베이스와 상기 베어링을 상기 베어링 베이스에 결합하기 위한 브래킷과 나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
KR2020000034279U 2000-12-07 2000-12-07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 KR200228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279U KR200228412Y1 (ko) 2000-12-07 2000-12-07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279U KR200228412Y1 (ko) 2000-12-07 2000-12-07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412Y1 true KR200228412Y1 (ko) 2001-06-15

Family

ID=73080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279U KR200228412Y1 (ko) 2000-12-07 2000-12-07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4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364135B (en) Multiple-way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JPH08242840A (ja) 波動形に旋回揺動する振盪機
KR950012622A (ko) 회전식 기판처리장치의 기판회전보지구
JP2010220863A (ja) 可動役物装置
WO2011158940A1 (ja) コマ玩具遊戯台
US20210093981A1 (en) Marble actuated turntable
WO2007049791A3 (en) Game machine
KR200228412Y1 (ko) 메달 게임기의 메달 푸셔 장치
US4838825A (en) Toy kiddieland
JPS62192530U (ko)
US4804192A (en) Movable target for a throwing game
US5555656A (en) Structure of crystal ball providing dynamic phenomenon in the base
US7784372B1 (en) Drive mechanism for massaging device
JPH0541754Y2 (ko)
US5906126A (en) Angle adjusting device of steel bar bending apparatus
KR200228413Y1 (ko) 메달 게임기의 회전판 장치
CN109200592A (zh) 用于促进移动的儿童玩具
JPH0926586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付回転操作型電子部品
JPH0956923A (ja) 景品獲得ゲーム機
JP4351434B2 (ja) 遊技機の回転表示装置
CN102163513B (zh) 摆动型多方向开关装置
JPS6114854B2 (ko)
KR200345679Y1 (ko) 캡슐공급기
JP3891412B2 (ja) 回転型計数分配機
KR200236995Y1 (ko) 회전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