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073Y1 -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073Y1
KR200236073Y1 KR2020010010317U KR20010010317U KR200236073Y1 KR 200236073 Y1 KR200236073 Y1 KR 200236073Y1 KR 2020010010317 U KR2020010010317 U KR 2020010010317U KR 20010010317 U KR20010010317 U KR 20010010317U KR 200236073 Y1 KR200236073 Y1 KR 2002360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frequency
output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김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원 filed Critical 김재원
Priority to KR2020010010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0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0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073Y1/ko

Links

Landscapes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애인을 위한 지하철 역 위치 알림 그 장치를 얻기 위한 것인 바,
전동차 통과역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신호를 각 역마다 다른 주파수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역번호송신단계(S1)와.
역번호송신단계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를 재출력하는 역번호수신단계(S2)와;
수신부와 현재의 각 역사의 고유번호를 3자리 또는 4자리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각 역사의 고유번호와 주파수를 기입력하여 메모리한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주파수를 분별하는 주파수선별부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콤을 내장한 각 역사 주파수인식단계(S3)와;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진동기 또는 메로디 및 점멸등으로 출력하는 출력단계(S4)로 이루어짐으로써,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들뿐만 아니라 노약자분들에게 전동차의 하차역을 미리 알려줄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장치{omitted}
본 고안은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을 위한 지하철 역 위치 알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산업이 발전하고 인간의 활동 영역과 활동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통신 및 운송 수단의 발전은 필연적이라고 말할 수 있어 국내의 경우에도 600만대에 이르는 차량이 공급되어 날로 교통 체증이 심각해지고 있어 지하철,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을 장려하고 있어 버스의 경우 각 정류장에 버스도착 안내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지만 가장 큰 교통량을 분담하는 지하철의 경우 하차안내 시스템의 필요성을 종종 느끼게 한다.
또한, 현대인의 삶은 대단히 긴박하고 바쁘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유익한 정보를 통하여 생활의 여유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하철을 탑승하는 도시인들이 낀지 바쁘게 느껴지는 것은 인파의 홍수속에서 차량을 환승하기 위해 바삐 움직이기 때문에 이러한 비인간화 경향이 더욱 절실하게 느껴지는데, 지하철에서 좀더 여유를 가지기 위해서는 하차역을 알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였다.
본 고안자는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지하철 하차역을 안내해주는 시스템의 중요성과 현재 우리나라의 장애인들의 편의시설은 너무 뒤쳐져 있으며, 그 중 지하철은 대중교통 수단의 대표적인 예이다.
어느 지하철을 타든 모든 장애인들에게는 매우 불편하게 되어 있다. 이런 불편한 점을 좀더 덜어주기 위해, 그리고 좀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계획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창안하여 장애인의 불편한 점을 약간이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역위치를 미리 알려줄 수 있는 고안을 하게 되었다.
종래의 지하철 전동차운행 표시장치의 표시판으로서, 전동차의 운행중에 승객으로 하여금 전동차의 운행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토록하여 전동차 이용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전동차의 운행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판을 이용하여 승객으로 하여금 지하공간의 전동차의 이동, 도착시간 및 방향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한다.
지하철 전동차운행 표시장치의 표시판에는 케이스의 좌/우 및 정/배면에 각각 내설되어 일정한방향표시기능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배열된 다수개의 표시수단과, 그 표시수단의 일측 하단에 전동차가 당역에 도착하는 잔여시간을 표시하는 운행시간표시부가 구비된다.
상기 표시판의 케이스내에 내설된 표시수단에는 점멸에 따른 방향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발광소자가 포함되어 있다.
역사의 전/후방의 일측에 부착되어 전동차의 발착과 도착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그 감지센서의 작동으로 운행시간의 경과를 측정하는 타이머가 지하철 선로 주위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타이머의 측정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판의 표시수단 및 운행시간표시부를 작동시키는 구동회로와, 전역과 당역의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표시판의 표시수단에 전달하기 위한 전용신호선이 구비된다.
상기 전용신호선을 통하여 전역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해 전동차의 이동상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전용신호선은 역간의 거리가 멀고 별도의신호선을 사용할 경우 설치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사용된다.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타이머 및 구동회로를 통하여 표시판의 표시수단 및 운행시간표시부를 구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지하철 전동차운행 표시장치는 전동차의 운행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판을 이용하여 승객으로 하여금 지하공간의 전동차의 이동, 도착시간 및 방향 등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표시장치는 전동차운행에 관하여 승객들에게 단지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전동차내부의 승객들을 위하여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또한 현재 운행중인 지하철에서 도착역의 이름 및 승차할 전동차출입구의 위치 등을 알리는 안내방송이 제공되고있지만,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써 안내방송이 제어되기 때문에 부정확한 문제점이 있다.
단지 시각이나 수동으로 알려주는 방식은 시각 도는 청각장애인에게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하고 알려주어도 혼잡하거나 자세히 경청하지 않으면 놓쳐버리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을 알려주는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지팡이 또는 휠체어 등에 장착하여 보다 편리한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과역 감지센서와 작동신호송신부와 작동신호수신부로 이루어져 역위치 알림장치에 있어서,
전동차 통과역 감지센서(10)에서 감지한 신호를 각 역마다 다른 주파수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역고유주파수송신부(20)와;
역고유주파수송신부(20)로부터 송신된 역사주파수를 수신하고, 수신신호를 전동차내에 출력하는 전동차내 역고유부파 수신 및 출력부(30)와;
역사주파수 수신부(40)와, 각역사의 3자리 또는 4자리의 고유번호 중에 하차역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0)와, 각역사의 고유번호와 주파수를 기입력하여 메모리한 메모리부(60)와, 상기 메모리부에 주파수를 분별하는 주파수선별부로 이루어져 기입력된 신호와 일치되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콤(60)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진동기 또는 메로디 및 점멸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70)를 포함한 하차역알림기(80)로 이루어져 하차역을 미리 알려 주도록 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장치를 도시한 사용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의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장치를 도시한 사용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하차역 6 : 노선도
10 : 감지센서 20 : 역고유주파수송신부
30 : 역고유 주파수 및 출력부
40 : 수신부 50 : 입력부
60 : 마이콤 70 : 출력부
80 : 하차역알림기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의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방법은 전동차 통과역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신호를 각 역마다 다른 주파수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역번호송신단계(S1)와.
역번호송신단게로부터 송신된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신호를 재출력하는역번호수신 및 출력단계(S2)와;
수신부와 현재의 각 역사의 고유번호를 3자리 또는 4자리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각 역사의 고유번호와 주파수를 기입력하여 메모리한 메모리부와 상기 메모리부에 주파수를 분별하는 주파수선별부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콤을 내장한 각 역사 주파수인식단계(S3)와;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진동기 또는 메로디 및 점멸등으로 출력하는 출력단계(S4)로 이루어진다.
먼저, 역번호송신단계(S1)는 전동차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도차역전에 설치하여 전동차를 감지시 무선신호를 송출하되 호선과 역번호를 이미 설정된 신호를 송출하도록 하였다.
다음 역번호수신 및 출력단계(S2)는 전동차에 장착되어 각 칸에 별도로 설치된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하였다.
한편 각역주파수인식단계(S3)는 수신된 신호와 기입력된 역사의 번호가 일치하면 마이콤을 통하여 출력단계(S4)를 거쳐 휴대하고 있는 하차역알림기가 진동, 벨, 점멸등을 통하여 인식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각역사 입력부와 마이콤을 내장한 각역사 주파수인식단계(S3)와 출력단계(S4)를 일체형을 형성하여 장애인 지팡이 또는 휠체어에 장착하여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방법을 통하여 장치는 통과역 감지센서와 작동신호송신부와 작동신호수신부로 이루어져 역위치 알림장치에 있어서,
전동차 통과역 감지센서(10)에서 감지한 신호를 각 역마다 다른 주파수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역고유주파수송신부(20)와; 역고유주파수송신부(20)로부터 송신된 역사주파수를 수신하고, 수신신호를 전동차내에 출력하는 전동차내 역고유부파 수신 및 출력부(30)와; 역사주파수 수신부(40)와, 각역사의 3자리 또는 4자리의 고유번호 중에 하차역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0)와, 각역사의 고유번호와 주파수를 기입력하여 메모리한 메모리부(60)와, 상기 메모리부에 주파수를 분별하는 주파수선별부로 이루어져 기입력된 신호와 일치되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콤(60)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진동기 또는 메로디 및 점멸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70)를 포함한 하차역알림기(80)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전동차를 타기전 또는 승차하여 노선도(6)에 하차역(5)을 입력부(50)에 입력하면 각역사마다 고유의 주파수를 송신하고 주파수를 수신하여 각전동차의 칸마다 재출력함으로써 보관중인 하차역알림기(80)가 수신하여 진동, 벨, 점멸등으로 장애인들이 인식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징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들뿐만 아니라 노약자분들에게 전동차의 하차역을 미리 알려줄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통과역 감지센서와 작동신호송신부와 작동신호수신부로 이루어져 역위치 알림장치에 있어서,
    전동차 통과역 감지센서(10)에서 감지한 신호를 각 역마다 다른 주파수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역고유주파수송신부(20)와;
    역고유주파수송신부(20)로부터 송신된 역사주파수를 수신하고, 수신신호를 전동차내에 출력하는 전동차내 역고유부파 수신 및 출력부(30)와;
    역사주파수 수신부(40)와, 각역사의 3자리 또는 4자리의 고유번호 중에 하차역의 고유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0)와, 각역사의 고유번호와 주파수를 기입력하여 메모리한 메모리부(60)와, 상기 메모리부에 주파수를 분별하는 주파수선별부로 이루어져 기입력된 신호와 일치되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콤(60)과, 상기 마이콤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진동기 또는 메로디 및 점멸등으로 출력하는 출력부(70)를 포함한 하차역알림기(80)로 이루어진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장치.
KR2020010010317U 2001-04-12 2001-04-12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장치 KR2002360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317U KR200236073Y1 (ko) 2001-04-12 2001-04-12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317U KR200236073Y1 (ko) 2001-04-12 2001-04-12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742A Division KR20020074764A (ko) 2001-03-21 2001-03-21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073Y1 true KR200236073Y1 (ko) 2001-10-11

Family

ID=73054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317U KR200236073Y1 (ko) 2001-04-12 2001-04-12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0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937B1 (ko)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JP4797854B2 (ja) 歩行対象検知装置及び衝突事故防止支援システム
KR20150139713A (ko) 엘이디 표시등을 이용한 교통사고 발생 알림 시스템
KR101754603B1 (ko) 어린이를 위한 보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호방법
US20010038344A1 (en) Alarm system responding to presence of an emergency vehicle
US6304174B1 (en) Emergency auto visual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68090A (ko) IoT기반 어린이통학차량 통합안전관리 지원시스템
KR20160008906A (ko) 복지 카드를 이용한 승차 알림 서비스 장치, 승차 알림 차량단말 및 이를 이용한 승차 알림 시스템
ITMO20110226A1 (it) Sistema e metodo per il monitoraggio delle modalita' di guida di un veicolo
KR101819420B1 (ko) 졸음쉼터 진출입 알림 시스템
ES2396688T3 (es) Sistema de interfaz para transportador de pasajeros
KR200236073Y1 (ko)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장치
KR100968017B1 (ko) 버스정차 안내 시스템
KR20020074764A (ko) 시각 또는 청각장애인에게 하차역 인식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12667A (ko) 2차 도로사고 방지를 위한 사고 신호장치
KR20180110909A (ko) 차량 충돌 방지 경보 장치
KR102458287B1 (ko) 택배 트럭 안전제어기
KR20180013076A (ko) 보안프로토콜을 적용한 터널 암순응구간 장애물감지 시스템
KR20190082465A (ko) 터널 및 교량의 교통안전시스템
KR20160008931A (ko) 음성안내 시스템
US6819262B2 (en) Parking indication sign for vehicles for disabled persons
US6661349B1 (en) Automatic door warning system
US20070247332A1 (en) Multiple Emergency Vehicle Alert System
KR200387501Y1 (ko) 빌딩이나 공영주차장의 주차 공간 알림 장치
KR102161239B1 (ko) 어르신 운전 배려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