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976Y1 - 방진용 철도레일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방진용 철도레일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976Y1
KR200235976Y1 KR2020010005170U KR20010005170U KR200235976Y1 KR 200235976 Y1 KR200235976 Y1 KR 200235976Y1 KR 2020010005170 U KR2020010005170 U KR 2020010005170U KR 20010005170 U KR20010005170 U KR 20010005170U KR 200235976 Y1 KR200235976 Y1 KR 2002359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lip
fastening device
sleeper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건홍
Original Assignee
박건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건홍 filed Critical 박건홍
Priority to KR2020010005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9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9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976Y1/ko

Links

Landscapes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진용 철도레일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일침목(1)의 상면에 설치되며, 본체 중앙에 소정의 넓이로 상,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베이스부재(10)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일체로 부착되는 완충부재(20)와, 레일(2)의 하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펜드롤 클립(32)이 결합되는 클립지지대(31)가 상기 레일(2)을 안착할 수 있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20)가 결합하는 흡음유도구멍(33)이 뚫려져 상기 완충부재(20)가 상면에 소정의 두께로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클립연결부재(30)로 구성되어구성되어 철도 차량이 레일(2)위를 주행할 경우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상기 완충부재(20)로 전달되어 흡수되므로, 상기한 진동과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철도 차량용 레일침목(1) 및 레일, 철도차량의 주요기능부를 외부 충격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레일(2)의 유지 및 보수에 따른 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레일침목(1)이나 방진용 레일 체결장치의 파손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방진용 철도레일 체결 장치{Flexible railroad track locking assembly}
본 고안은 방진용 철도레일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 체결장치의 베이스부재에 탄성재질의 완충부재를 일체로 장착하여 금속재질로 된 베이스부재의 내부부식을 방지하고, 철도 차량이 주행이나 정차할 경우 레일에서 발생되는 소음이나 진동을 흡수 할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레일 체결장치는 철도레일을 철도 차량용 레일 침목에 고정하기 위하여 철도 레일의 분기부등에 레일의 간격 조절 및 견고한 지지를 위하여 철도 차량용 레일 침목 상면에 설치된다.
통상적인 철도레일 체결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에 레일(2')이 안착되는 베이스부재(10')와, 펜드롤 클립(32')이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부재(10') 상면에 상기 레일(2')이 안착되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양측에 장착되는 클립지지대(31')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2의 결합상태 단면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철도 차량용 레일침목(1') 상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10') 상면에 레일(2')을 안착시킨 후 상기 클립지지대(31')에 결합된 펜드롤 클립(32')에 의해 상기 레일(2')의 하부가 지지되어 철도의 분기부에 체결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철도레일 체결장치는 상기한 베이스부재 및 클립지지대가 철재등과 같은 금속재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철도차량이 레일을 주행하거나 정차할 경우 발생되는 진동에 의한 충격이 레일의 하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펜드롤 클립이나 체결장치의 하부에 설치되는 침목에 직접 전달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즉, 레일을 통과하는 철도차량의 심한 진동 등에 따른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펜드롤 클립이 쉽게 파손되어 레일의 체결력이 저하되고, 철도레일 체결장치를 지지하는 레일침목은 오랜 기간 반복하여 사용할 경우 쉽게 파손되어 철도차량의 주행이나 정차중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더욱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철도차량이 운행중 발생되는 진동은 철도차량의 차체에도 전달되어 차체의 주요기능부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철도레일 체결장치와 레일침목의 유지 및 보수에 많은 경비가 소요되며 철도차량 주행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철도레일이 안착되는 철도레일 체결장치의 베이스판에 고무등과 같은 탄성재질의 완충부재를 일체로 장착하여 철도차량 운행시의 진동 및 소음, 하부 충격을 흡수하여 레일 침목과 철도레일 체결장치의 펜드롤 클립 그리고, 차체의 주요기능부의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철도레일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철도레일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철도레일 체결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 - A'단면도.
도 5는 도 4의 B - B'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저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레일침목 2 - 레일
10 - 베이스부재 12 - 외측고정부
20 - 완충부재 21 - 삽입홈
22 - 결합턱 23 - 흡음돌기
30 - 클립연결부재 31 - 클립지지대
32 - 펜드롤클립 33 - 흡음유도구멍
40 - 돌출부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레일침목(1)의 상면에 설치되며, 본체 중앙에 소정의 넓이로 상,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베이스부재(10)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일체로 부착되는 완충부재(20)와:
레일(2)의 하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펜드롤 클립(32)이 결합되는 클립지지대(31)가 상기 레일(2)을 안착할 수 있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20)가 결합하는 흡음유도구멍(33)이 뚫려져 상기 완충부재(20)가 상면에 소정의 두께로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클립연결부재(3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즉, 철도 차량이 레일(2)위를 주행할 경우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이 상기 완충부재(20)로 전달되어 흡수되므로, 상기한 진동과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철도 차량용 레일침목(1) 및 레일, 철도차량의 주요기능부를 외부 충격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의 전체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3의 A - A' 단면도로서, 완충부재(20) 내부에 클립연결부재(30)가 관통되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20) 상면에는 레일이 안착되어 펜드롤 클립(32)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의 B - B'단면도로서, 완충부재(20) 내부에는 상기 클립연결부재(30)가 관통되어 장착되는 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홈(21)에는 소음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저면도로서, 완충부재(20)의 저면에는 다수의 돌출부가 구비되어 완충부재(20)로 전달된 진동을 분산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도 3 ∼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0)의 상면 양측에는 철도차량의 레일침목(1)에 스크류나 볼트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설치되도록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10)의 중앙 내부에는 후술될 완충부재(20)가 일체형으로 관통 접착할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20)는 하부면이 상기 베이스부재(10)의 하부면과 일치되도록 상기 공간부(11)에 일체형으로 관통접착되어 상기 베이스부재(10)가 철도차량의 레일침목(1)에 설치될 경우 상기 레일침목(1) 상면과 밀착되어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완충부재(20)는 철도차량이 주행할 경우 레일(2)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기 위하여 고무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통상적으로 경도와 신장율, 인장강도등과 같은 기계적성능이 우수한 특수고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20)의 상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펜드롤 클립(32)이 레일(2)하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킨 가압력이 레일(2)을 통과하는 철도차량의 충격 및 진동에 의해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20) 내부에는 레일(2)의 하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펜드롤 클립(32)이 결합되는 클립지지대(31)가 상기 레일(2)을 안착할 수 있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클립연결부재(30)가 끼워지는 삽입홈(21)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삽입홈(21)은 상기 완충부재(20)의 몸체 중앙에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양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21) 사이에 결합턱(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클립연결부재(30)의 중앙에는 상기 완충부재(20)의 삽입홈(21)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턱(22)이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완충부재(20)의 상면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내부로 전달시키는 흡음유도구멍(33)이 뚫려있다.
즉,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20)는 상기 결합턱(22)이 상기 클립연결부재(30)의 중앙에 뚫려진 흡음유도구멍(33)에 끼워지고, 이 클립연결부재(30)의 양측이 상기 완충부재(20) 내부의 삽입홈(21)에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20)가 소정의 두께로 상기 클립연결부재(30)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완충부재(20) 상면에 안착되는 레일(2)을 철도차량이 통과할 경우 발생되는 진동이나 소음이 상기 클립연결부재(30)의 흡음유도구멍(33)에 끼워진 결합턱(22)을 통해 완충부재(20)의 하부로 전달되어 소멸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완충부재(20)의 삽입홈(21) 내에는 소정길이의 흡음돌기(23)를 형성하여 흡수되는 소음을 삽입홈(21)내부에서 상쇄시켜 소음을 더욱 저감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클립연결부재(30)가 완충부재(20) 내에 삽입되어 끼워져 결합될 경우 진동에 의해 탄성재질인 완충부재(20)와 상기 클립연결부재(30)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여 이 클립연결부재(30)가 이탈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베이스부재(10)에는 상기 완충부재(20)의 외측면을 감싸 지지하도록 돌출된 외측고정부(1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20)의 저면에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돌출부(40)를 형성하여 이 완충부재(20)에서 흡수하지 못한 진동을 레일침목(1)에 분산시켜 전달한다.
즉, 레일(2)을 철도차량이 통과할 경우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은 상기 완충부재(20)에 의해서 저감되고, 흡수되지 못한 진동은 다수의 돌출부(40)에 의해 분산되어 레일침목(1)으로 전달되므로, 레일침목(1)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부재(10)에 탄성재질로 형성된 완충부재(20)를 부착하여 상기 완충부재(20)의 탄성을 이용하여 철도차량이 레일(2) 위를 주행할 경우 발생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진동과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철도 차량용 레일침목(1) 및 레일, 철도차량의 주요기능부를 외부 충격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레일(2)의 유지 및 보수에 따른 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레일침목(1)이나 레일 체결장치의 파손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레일침목(1)의 상면에 설치되며, 본체 중앙에 소정의 넓이로 상, 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베이스부재(10)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삽입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재(10)에 일체로 부착되는 완충부재(20)와:
    레일(2)의 하부를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펜드롤 클립(32)이 결합되는 클립지지대(31)가 상기 레일(2)을 안착할 수 있는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20)가 결합하는 흡음유도구멍(33)이 뚫려져 상기 완충부재(20)가 상면에 소정의 두께로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클립연결부재(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체결장치.
  2. 청구항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20)의 삽입홈(21) 내부에는 소정길이의 흡음돌기(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 체결장치.
KR2020010005170U 2001-02-27 2001-02-27 방진용 철도레일 체결 장치 KR2002359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170U KR200235976Y1 (ko) 2001-02-27 2001-02-27 방진용 철도레일 체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170U KR200235976Y1 (ko) 2001-02-27 2001-02-27 방진용 철도레일 체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976Y1 true KR200235976Y1 (ko) 2001-09-28

Family

ID=73063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170U KR200235976Y1 (ko) 2001-02-27 2001-02-27 방진용 철도레일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9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049B1 (ko) * 2013-12-03 2015-12-11 영중산업 주식회사 크레인 레일 개량형 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7049B1 (ko) * 2013-12-03 2015-12-11 영중산업 주식회사 크레인 레일 개량형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5976Y1 (ko) 방진용 철도레일 체결 장치
KR100680161B1 (ko) 철도교량 레일 방진시설
KR100843321B1 (ko) 궤도 방진장치
KR200312651Y1 (ko) 철도 궤도 방진 방음 체결장치용 와셔 볼트
KR101061078B1 (ko) 콘크리트 궤도 분기기용 탄성패드
KR101358044B1 (ko) 열차신호제어용 발리스 고정장치
KR200212579Y1 (ko) 철도차량용 연결기
KR200149433Y1 (ko) 철도차량 연결기의 완충구조
KR100588225B1 (ko) 철도 레일 이음매용 방진 체결장치
EP1327024B1 (en) A railway wheel/rail noise and wear reduction arrangement
JPH0235102A (ja) 鉄道用防音レール
KR200196904Y1 (ko) 철도용 침목
CN220503570U (zh) 一种轨道固定装置
KR200236034Y1 (ko) 철도선로의 침목 횡 저항력 증강 장치
KR20050081205A (ko) 철도 레일 이음매용 방진 체결장치
KR200152840Y1 (ko) 철도의 레일이음새보완용 보조레일
CN211820500U (zh) 一种轻轨的减震装置
KR200255915Y1 (ko) 자동차 주행 안전을 위한 충격흡수형 철도건널목 구조
KR200356936Y1 (ko) 특수궤도용 베이스플레이트의 방진체결구조
KR900010882Y1 (ko) 철도차량용 안티롤링 버파 스톱장치
KR100627235B1 (ko)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는 완충장치
KR100493400B1 (ko) 철도레일용 소음방지블록
KR101656795B1 (ko) 철도용 흡음블록 구조물
KR101219391B1 (ko) 레일 방진 구조
KR20010051788A (ko) 철도 레일 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