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682Y1 -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 Google Patents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682Y1
KR200235682Y1 KR2020010006958U KR20010006958U KR200235682Y1 KR 200235682 Y1 KR200235682 Y1 KR 200235682Y1 KR 2020010006958 U KR2020010006958 U KR 2020010006958U KR 20010006958 U KR20010006958 U KR 20010006958U KR 200235682 Y1 KR200235682 Y1 KR 2002356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tank
cold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영
Original Assignee
김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영 filed Critical 김서영
Priority to KR2020010006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6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6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682Y1/ko
Priority to JP2002001362U priority patent/JP3088613U/ja

Links

Landscapes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에 괸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온풍기에 정수장치와 가습발생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정수된 물을 음료용로 사용하던중에 버려지는 물을 가습발생장치로 가습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냉/온풍기에 수돗물을 여과하는 다중 필터를 구비하여 정수를 사용하고, 정수된 물을 음료용으로 사용중에 트레이로 버려지는 물을 가습장치로 가습하여 냉/온풍기와 정수기 및 가습기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발생되는 실내공간의 비효율적인 활용을 방지 할 수 있으며 또한, 정수된 물을 음료용으로 사용하는 중에 버려지는 물로 가습함으로써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고,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가습함으로써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냉/온풍기에 연결된 배관(1)의 소정부분에 위치하며 유입되는 수돗물의 양을 조절하는 제1차단밸브(11)와; 상기 제1차단밸브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돗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3중 필터(22,23,24)와; 상기 3중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제1차단밸브(11)를 제어하는 정수수위감지센서(21)가 내장된 정수탱크(25)와; 상기 정수탱크(25)의 일측과 연결되어 유입된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코일(31)이 내장된 온수통(30)과; 상기 정수탱크(25)의 타측과 연결되어 유입된 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35)가 구비된 냉수통(34)과; 정수의 사용중에 트레이(37)를 거쳐 모이게 되는 정수와 온수공급시스템을 통해 유입된 정수를 저장하는 가습탱크(44)와; 상기 가습탱크(44)의 하부에 구비되어 주위의 공기를 가습시키는 가습발생장치(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온수공급시스템은 상기 가습탱크(44)의 내부에 구비되어 정수량을 감지하는 가습탱크의 수위감지센서(41)와; 상기 가습탱크의 수위감지센서(41)의 감지신호에 따라 온수의 유입을 조정하는 온수유출관(33)의 소정위치에 구비된 제2차단밸브(4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Cold and hot air conditioner with a water purifier and a humidifier}
본 고안은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에 괸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온풍기에 정수장치와 가습발생장치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정수된 물을 음료용로 사용하던중에 버려지는 물을 가습발생장치로 가습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온 정수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전에 먼저, 냉/온풍기에서 이용되고 있는 냉각순환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온풍기의 냉각순환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상태내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액체상태로 냉매의 순환력을 제공하는 압축기(100)와, 외기와 열교환을 이루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여 상온 고압상태로 변화시키는응축기(102)와, 응축된 냉매를 무쇠관을 통과시키며 저온 저압으로 상변환시키는 캐피러리 튜브(104)와,저온 저압의 냉매를 통과시키며 열교환을 이루며 기체상태로 상변환시켜 압축기(100)로 송환하는 증발기(106)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주로 가정용이나 업소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냉/온 정수기는 수돗물또는 약수와 같은 자연수(이하 원수라함)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원수를 다양한 종류의 필터링수단을 통과시킴으로써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되는 음용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정수기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역삼투압방식의 정수기가 그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역삼투압방식의 정수기는 소위 역삼투압필터(일명 멤브레인필터)를 사용하여 원수를 정화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역삼투압필터는 직경이 매우 작은 다수의 기공으로 형성되어서 이물질이나 유해물질을 제거한다.
도 6은 종래 사용되는 정수기의 일예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상기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자연수와 같은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밸브(미도시됨)를 통과한 원수중의 비교적 큰 입자의 찌꺼기를 여고하기 위한 고탁도필터(111)와, 상기 고탁도필터(111)를 통과하면서 여과되지 않은 비교적 작은 입자의 찌꺼기를 여과하기 위한 침전필터(112)와, 원수를 고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압펌프(113)와, 원수중의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전카본필터(114)와, 상기 전카본필터(114)를 통과한 원수중에 잔류하는 이온성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역삼투압필터(115)와, 상기 역삼투압필터(115)를 통과하는 원수의 식수대 폐수분리비율을 조정하며 폐수를 방류하는 폐수조절기(116)와, 상기 역삼투압필터(115)를 통과한 식수중에 포함된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다시 제거하기 위한 후카본필터(117)와, 그리고 상기 후카본필터(117)를 통과한 원수중의 세균을 제거하기 위한 살균등(118)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살균등(118)을 통과한 원수는 최종적으로 정수탱크(119)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실내공기를 냉/난방시키는 냉/온풍기와, 겨울철에 실내를 공기를 가습시키는 가습기와, 음용으로 사용하는 정수기는 각각 가지고 있는 기능 이외에는 다른 용도가 없을 뿐 아니라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공간 활용을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돗물을 사용하여 가습하는 가습기는 수돗물에 오염물질이나 세균이 서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습기에서 무화될 때오염물질이나 세균이 공기중으로 토출되고 부유하면서 인체에 흡입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감기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고 인체에 악영향을 초래하였다.
또한, 정수된 물을 음용으로 사용하는 중에 남게되는 물이나 트레이에 고이는 물을 다른곳에 사용하지 않고 버리게 되어 정수를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냉/온풍기에 수돗물을 여과하는 다중 필터를 구비하여 정수를 사용하고, 정수된 물을 음료용으로 사용중에 트레이로 버려지는 물을 가습장치로 가습하여 냉/온풍기와 정수기 및 가습기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발생되는 실내공간의 비효율적인 활용을 방지 할 수 있으며 또한, 정수된 물을 음료용으로 사용하는 중에 버려지는 물로 가습함으로써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고,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가습함으로써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냉/온풍기에 연결된 배관(1)의 소정부분에 위치하며 유입되는 수돗물의 양을 조절하는 제1차단밸브(11)와; 상기 제1차단밸브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돗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3중 필터(22,23,24)와; 상기 3중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제1차단밸브(11)를 제어하는 정수수위감지센서(21)가 내장된 정수탱크(25)와; 상기 정수탱크(25)의 일측과 연결되어 유입된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코일(31)이 내장된 온수통(30)과; 상기 정수탱크(25)의 타측과 연결되어 유입된 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35)가 구비된 냉수통(34)과; 정수의 사용중에 트레이(37)를 거쳐 모이게 되는 정수와 온수공급시스템을 통해 유입된 정수를 저장하는 가습탱크(44)와; 상기 가습탱크(44)의 하부에 구비되어 주위의 공기를 가습시키는 가습발생장치(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온수공급시스템은 상기 가습탱크(44)의 내부에 구비되어 정수량을 감지하는 가습탱크의 수위감지센서(41)와; 상기 가습탱크의 수위감지센서(41)의 감지신호에 따라 온수의 유입을 조정하는 온수유출관(33)의 소정위치에 구비된 제2차단밸브(4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정수장치와 가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풍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풍기에 형성된 정수기와 가습기의 블럭도,
도 5는 냉장고나 에어컨 등의 냉각순환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일반적인 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배관 2 : 압력조절밸브
10 : 주제어부 11 : 제1차단밸브
20 : 정수기제어부 21 : 정수수위감지센서
22 : 전처리필터 23 : 카본필터
24 : 중공사막필터 25 : 정수탱크
26 : 정수유출관 30 : 온수통
31a, 31b : 가열코일 33 : 온수유출관
34 : 냉수통 35 : 냉각장치
36 : 정수유출구 37 : 트레이
40 : 가습기제어부 41 : 가습탱크의 수위감지센서
42 : 온도/습도감지센서 43 : 제2차단밸브
44 : 가습탱크 45 : 가습발생장치
46 : 고속진동자 47 : 가습토출구
50 : 냉/온풍기제어부 51 : 냉/온풍토출구
52 : 냉각시스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수장치와 가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온풍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온풍기에 형성된 정수기와 가습기의 블럭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냉/온풍기에 겸비된 정수장치와 가습장치의 구성은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1)와, 상기 파이프(1)에서 냉/온풍기 사이에 구비되며 수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밸브(2)와, 상기 압력조절밸브(2)를 지나는 수돗물을 정수기의 필터부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주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제1차단밸브(11)와, 상기 제1차단밸브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돗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3중 필터(22,23,24)와, 상기 3중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정수탱크(25)와, 상기 정수탱크(25)의 내부에 구비되며 정수의 양의 유무를 주제어부(10)에 신호를 보내는 정수감지센서(21)와, 상기 정수탱크(25)의 하부에는 탈취효과와 정수작용을 하는 다수의 맥반석(2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3중필터의 구성은 먼지와 녹색찌꺼기를 제거하는 전처리필터(22)와, 염소유기물과, 유기물냄새를 제거하고 맛을 향상시키는 카본필터(23)와, 곰팡이 세균미립자를 제거하는 중공사막필터(24)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정수탱크와 가습장치의 구성은, 상기 정수탱크(25)의 저부 양측에 형성되어 정수를 배출하는 정수유출관(27)과, 상기 정수유출관(27)의 일측과 연결되어 유입되는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코일(31)이 내장된 온수통(30)과, 상기 정수유출관(27)의 다른 일측과 연결되어 유입되는 정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35)가 연결된 냉수통(34)과, 냉/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정수유출구(36)와, 정수의 사용중에 남게되는 정수가 트레이(37)를 거쳐 모이게 되는 가습탱크(44)와, 상기 가습탱크(44)에 내장되어 있어 정수의 유무를 감지하는 가습탱크의 수위감지센서(41)와, 상기 가습탱크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어 주위의 공기를 가습을 시키는 가습발생장치(45)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습탱크(44)의 정수유무를 감지하는 가습탱크의 수위감지센서(41)가 주제어부(10)에 신호를 보내게 되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10)는 상기 온수통(30)과 연결된 온수유출관(33)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2차단밸브(43)를 개폐하게 되며, 상기 가습탱크의 수위감지센서(41)와 상기 제2차단밸브(43)를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가습탱크(44)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시스템으로 명칭한다.
또한, 주위의 공기가 건조할 때는 온도/습도감지센서(42)에 의해 주제어부(10)로 '습도낮음' 신호를 보내게 되며, 감지된 신호는 다시 가습기제어부(40)로 전달되어 가습발생장치(45)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가습발생장치(45)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고속진동자(46)로 물에 충격을 가해 물을 안개와 같이 미세한 물방울로 만들어 공기중에 뿌리는 초음파식 가습방식이다.
또한, 상기 가습탱크(44)에 가열코일(31b)을 구비하여 정수를 끓여 습기를 방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겨울철에 실내공기를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냉/온풍기의 'on/off' 버튼을 누르면 주제어부(10)에서 냉/온풍기제어부(50)로 제어신호를 보내게 되며,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냉/온풍기구동부(51)를 작동시켜 온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음료수를 먹고자 할때는 냉/온풍기에 구비된 3중필터(22,23,24)로 정수된 물을 마실 수 있으며, 정수기의 정수량이 부족시 정수탱크(25)에 내장된 정수감지센서(21)가 감지하여 주제어장치(10)로 '정수없음'의 감지신호를 보내고, 상기 주제어장치(10)는 다시 제1차단밸브(11)를 개폐하여 정수시스템을 가동시키게 된다.
또한, 냉/온풍기를 작동함에따라 실내공기가 건조해지면 냉/온풍기에 구비되어 있는 온도/습도감지센서(42)가 이를 감지하여 주제어부(10)로 감지신호를 보내게 되면, 상기 주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습기제어부(40)를 통해 가습기발생장치(45)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가습기 발생장치(45)에 연결되어 정수를 제공하는 가습탱크(44)에는 사용자가 정수를 음용으로 사용하는 중에 남게되는 정수가 트레이(37)를 통해 상기 가습탱크(44)에 모이게 되며, 상기 가습탱크(44)의 정수량이 부족시 상기 가습탱크(44)의 내부에 내장된 가습탱크의 수위감지센서(41)가 감지하여 상기 주제어부(10)로 감지된 신호를 보내게 되며, 상기 주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수유출관(33)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2차단밸브(43)가 개폐되어 상기 가습탱크(44)로 정수를 충당하게 된다.
따라서, 건조한 실내를 정수된 물로 무화시켜 뿌려줌으로써 실내공기를 보다상쾌하게 바꿀 수 있으며, 깨끗한 정수를 가습함으로써 인체에도 매우 유익하게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인 냉/온풍기에 수돗물을 여과하는 다중 필터를 부착된 정수기를 구비하여 음료용으로 사용하고, 정수된 물을 음료용으로 사용하면서 버려지는 물을 가습발생장치로 가습하여 냉/온풍기에 정수기와 가습기를 일체형으로 사용함으로써 냉/온풍기와 정수기와 가습기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발생되는 실내공간의 비효율적인 활용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정수된 물을 음료용으로 사용하면서 버려지는 물을 가습발생장치로 가습함으로써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깨끗한 물을 사용하여 가습함으로써 실내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뿐 아니라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는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2)

  1. 냉/온풍기에 연결된 배관(1)의 소정부분에 위치하며 유입되는 수돗물의 양을 조절하는 제1차단밸브(11)와; 상기 제1차단밸브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돗물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3중 필터(22,23,24)와; 상기 3중필터를 통해 정수된 물을 저장하고, 상기 제1차단밸브(11)를 제어하는 정수수위감지센서(21)가 내장된 정수탱크(25)와; 상기 정수탱크(25)의 일측과 연결되어 유입된 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코일(31)이 내장된 온수통(30)과; 상기 정수탱크(25)의 타측과 연결되어 유입된 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장치(35)가 구비된 냉수통(34)과; 정수의 사용중에 트레이(37)를 거쳐 모이게 되는 정수와 온수공급시스템을 통해 유입된 정수를 저장하는 가습탱크(44)와; 상기 가습탱크(44)의 하부에 구비되어 주위의 공기를 가습시키는 가습발생장치(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시스템은
    상기 가습탱크(44)의 내부에 구비되어 정수량을 감지하는 가습탱크의 수위감지센서(41)와; 상기 가습탱크의 수위감지센서(41)의 감지신호에 따라 온수의 유입을 조정하는 온수유출관(33)의 소정위치에 구비된 제2차단밸브(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KR2020010006958U 2001-03-14 2001-03-14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KR2002356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958U KR200235682Y1 (ko) 2001-03-14 2001-03-14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JP2002001362U JP3088613U (ja) 2001-03-14 2002-03-14 浄水器と加湿器を兼ね備えた冷・温風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958U KR200235682Y1 (ko) 2001-03-14 2001-03-14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274A Division KR100466434B1 (ko) 2002-05-17 2002-05-17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682Y1 true KR200235682Y1 (ko) 2001-10-08

Family

ID=4323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958U KR200235682Y1 (ko) 2001-03-14 2001-03-14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88613U (ko)
KR (1) KR2002356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034B1 (ko) * 2009-07-31 2010-08-19 주식회사 다안 복합 환기조화기의 가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3524A (ja) * 2018-01-16 2019-07-25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ウォーターサーバ
JP7339112B2 (ja) * 2019-10-04 2023-09-05 芦森工業株式会社 細霧散布システム、および細霧散布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034B1 (ko) * 2009-07-31 2010-08-19 주식회사 다안 복합 환기조화기의 가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88613U (ja) 200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7151B2 (ja) 循環式飲料水生成装置
EP2507561B1 (en) Multipurpose air conditioning unit for generation of dew drinking water, hot water and hot air
CN103742999A (zh) 一种可优化调节空气质量并具有直饮水功能的设备
TWI679381B (zh) 改進的空調單元
WO2019091422A1 (zh) 基于蒸汽冷凝吸附原理的空气净化器及具有其的空调设备
KR20050031163A (ko) 식수 제조장치
CN102712514A (zh) 大气水发生器
CN203657101U (zh) 一种可优化调节空气质量并具有直饮水功能的设备
KR101130814B1 (ko) 냉온수 정수 기능과 항습 기능을 구비하는 복합 공조기
KR100557239B1 (ko) 이중 식수생성장치
KR100466434B1 (ko)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KR100937906B1 (ko) 에너지절감형 복합 식수제조장치
KR200235682Y1 (ko) 정수기와 가습기가 겸비된 냉/온풍기
KR20060117608A (ko)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응축수 정수기
KR100993891B1 (ko) 정수기
KR100365046B1 (ko) 산소발생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JP2005021428A (ja) サウナ装置およびサウナシステム
KR100541036B1 (ko) 정수필터를 구비한 수분무방식의 가습장치
KR200242680Y1 (ko) 가습기가 부착된 산소발생 냉온정수기
KR20120003141A (ko) 온도 가변 식수 제조장치
WO2005054763A1 (fr) Dispositif de refrigeration combine
KR100205793B1 (ko) 냉각시스템 및 냉정수기
KR200337907Y1 (ko) 이중 식수생성장치
WO2009073134A1 (en) Aqua - air filtration system
KR200377373Y1 (ko) 항온항습기의 가습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