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367Y1 - 자동차변속기용에어브리더 - Google Patents

자동차변속기용에어브리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367Y1
KR200235367Y1 KR2019970044069U KR19970044069U KR200235367Y1 KR 200235367 Y1 KR200235367 Y1 KR 200235367Y1 KR 2019970044069 U KR2019970044069 U KR 2019970044069U KR 19970044069 U KR19970044069 U KR 19970044069U KR 200235367 Y1 KR200235367 Y1 KR 200235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air breather
rising pressure
case
mo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0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358U (ko
Inventor
홍한기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700440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367Y1/ko
Publication of KR199900313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3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3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7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venting gearboxes, e.g. air breat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43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변속기내의 상승압력에 따라 개폐되면서 상승압력을 배출시키도록 된 자동차 변속기의 에어 브리더에 대해 개시한다. 이 에어 브리더(100)는 그 중앙부에 변속기 케이스(60)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61)이 형성되고 일단에 케이스와 결합되는 결합부(51)가 형성된 고정부재(50)와, 고정부재에 결합되며 그 일면에 배출공(31)이 형성된 캡부재(30)와, 캡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그 상하면을 연결하는 홈(41)이 형성된 이동부재(40)를 구비하여서, 케이스내의 상승압력에 의해서 이동부재가 상승되어 상승압력이 홈 및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에어 브리더는 변속기 내의 상승압력의 세기에 따라 이동부재가 승강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작동하지 않을때에는 이동부재가 고정부재에 부착되어 있게 되어 외부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승압력이 크더라도 상승압력의 배출을 가능하게하여 고용량의 변속기에도 채용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air breather of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변속기내의 압력에 따라 개폐되어 변속기내의 상승압력이 변속기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자동차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변속기에는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변속기어들이 회전을 하게 되므로 기어오일이 비산됨과 동시에 케이스내에는 압력이 상승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내의 상승압력을 케이스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케이스에는 에어 브리더(air breather)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에어 브리더의 일예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에어 브리더(2)는 호스를 이용하여 변속기 케이스(1)에 장착시킨 것으로써, 가격은 저렴하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복잡한 엔진룸에서 기타 장치와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검토 및 장착시키는 데 번거로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자동차용 변속기의 에어 브리더가 한국 실용신안공고번호 97-01997호에 개시되고 도2에 도시되어 있다. 이는 중심공(1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변속기케이스(5)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체결부(12)가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 중심공(11)과 연통되게 원주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홈(13)이 형성된 에어브리더몸체(10)와, 상기 홈(13)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브리더몸체(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캡(2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에어 브리더는 변속기내의 상승압력이 중심공(11)을 경유하여 홈(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에어 브리더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변속기내부와 외부가 항상 연통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외부의 습기가 변속기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간단한 구조로서 변속기 내부로 외부의 습기 유입을 방지시키도록 된 자동차 변속기의 에어 브리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 에어 브러더가 채용된 변속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또 다른 종래 에어 브리더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브리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4a,b는 본 고안 에어 브리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에어 브리더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도5에 채용되는 이동부재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캡부재 31...배출공
40...이동부재 41...홈
50...고정부재 51...결합부
52...관통공 60...케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변속기 케이스내의 상승압력을 배출시키는 자동차 변속기의 에어브리더에 있어서,
그 중앙부에 상기 케이스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며 그 일면에 배출공이 형성된 캡부재와,
상기 캡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그 상하면을 연결하는 홈이 형성된 이동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케이스내의 상승압력에 의해서 상기 이동부재가 상승되어 상승압력이 홈 및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 및 고정부재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자력을 발생하는 자성체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자력의 영향을 받는 부재로 형성되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고정부재에 부착되고 상기 상승압력에 의해서 이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의 상면에 상기 홈과 연결되고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리세스를 형성하여서, 상기 이동부재가 캡부재의 내면에 밀착되더라도 리세스를 통하여 상승압력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에어 브리더는 변속기 내에 상승압력이 작동하지 않을때에는 이동부재가 고정부재에 부착되어 있어서 외부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자동차 변속기내의 상승압력을 케이스(6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브리더(air breather; 100)를 나타낸다.
상기 에어 브리더(100)는 그 중앙부에 케이스(60)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52)이 형성되고 일단에 케이스(60)와 결합되는 결합부(51)가 형성된 고정부재(50)와, 이 고정부재(50)에 결합되며 그 일면에 배출공(31)이 형성된 캡부재(30)와, 이 캡부재(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부재를 일부 절개한 형태의 홈(41)이 형성된 이동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50)의 결합부(51)는 케이스(60)의 결합공(61)에 나사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케이스(60)와의 결합시 기밀에 유리하도록 플랜지(5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40) 및 고정부재(50)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자력을 발생하는 자성체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자력의 영향을 받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모두 자성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50)는 플랜지(53)부분을 자화시킴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60)내에 상승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자력에 의해 이동부재(40)가 고정부재(50)에 부착되어 있게 되며, 상승압력이 작용될 때 그 상승압력에 의하여 이동부재(40)가 고정부재(50)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40)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0a)의 외주면 일측에 부재를 수직한 방향으로 절개한 형태의 홈(41a)과, 이 홈(41a)으로부터 상기 배출공(31)과 연통되는 리세스(recess;42a)가 형성되어서, 변속기의 내부 압력의 상승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40a)가 캡부재(30)의 내면에 밀착되더라도 홈(41a) 및 리세스(42a)를 통하여 상기 캡부재(30)의 배출공(31)을 통해 상승된 압력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3 및 도4에 도시된 이동부재(40)의 경우에는, 이동부재(40)가 캡부재(30)의 내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그 자력의 세기를 조절하여 채용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에어 브리더는, 변속기 케이스(60)내의 압력이 상승되게 되면 상승압력은 고정부재(50)의 관통공(52)을 통해 이동부재(4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그 상승압력이 상기 이동부재(40)와 고정부재(50) 간의 인력(引力)보다 클 경우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0)는 상승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상승압력은 이동부재(40)의 홈(41)을 경유하여 캡부재(30)의 배출공(31)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승압력이 이동부재(40)와 고정부재(50) 간의 인력(引力)보다 작을 경우에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0)는 고정부재(50)에 부착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상승압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외부와는 항상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압력이 높아 이동부재(40)가 캡부재(30)의 내면에 밀착되더라도 상승압력은 홈(41a) 및 리세스(42a)를 경유하여 배출공(31)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에어 브리더는 변속기 내의 상승압력의 세기에 따라 이동부재가 승강되도록 작동시킴으로써, 작동하지 않을때에는 이동부재가 고정부재에 부착되어 있게 되어 외부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간편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상승압력이 크더라도 상승압력의 배출을 가능하게하여 고용량의 변속기에도 채용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3)

  1. (정정)변속기 케이스내의 상승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자동차 변속기의 에어브리더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케이스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며 그 일면에 배출공이 형성된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내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며 일측 외주면에 부재가 절개된 형태의 홈이 형성된 이동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변속기의 에어 브리더.
  2. (정정)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 및 고정부재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자력을 발생하는 자성체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자력의 영향을 받는 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변속기의 에어 브리더.
  3. (정정)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홈과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캡부재의 배출공과 연통되도록 오목한 형태의 리세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변속기의 에어 브리더.
KR2019970044069U 1997-12-30 1997-12-30 자동차변속기용에어브리더 KR200235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069U KR200235367Y1 (ko) 1997-12-30 1997-12-30 자동차변속기용에어브리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069U KR200235367Y1 (ko) 1997-12-30 1997-12-30 자동차변속기용에어브리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358U KR19990031358U (ko) 1999-07-26
KR200235367Y1 true KR200235367Y1 (ko) 2001-11-16

Family

ID=5389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069U KR200235367Y1 (ko) 1997-12-30 1997-12-30 자동차변속기용에어브리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3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8348A (ko) * 2000-11-17 2002-05-23 이계안 차량용 변속기의 에어브리더
KR20040033585A (ko) * 2002-10-15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에어 브리딩 장치
KR20040040859A (ko) * 2002-11-08 2004-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에어브리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358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2919B2 (en) Mounting structure for engine cover
WO2007076156A3 (en) Brake drum with vent hole and cooling scoop
US20100230907A1 (en) Actuator
CN101126442B (zh) 变速器的开关顶帽
KR200235367Y1 (ko) 자동차변속기용에어브리더
CN101111701A (zh) 密封装置
AU2007247603A1 (en) Joint assembly for a vehicle
CA2327149A1 (en) Blade with optimized vibration behaviour
JP2549887Y2 (ja) エアブリーザ装置
US4916423A (en) Water cover arrangement for a solenoid apparatus
JP4083022B2 (ja) 内燃機関のガス交換弁の軸端部と弁作動装置のスリーブ状の作動ピストンとの間の結合部
US6594858B1 (en) Coupling device for joining a door stop to the hinge of door of a motor vehicle
US4901605A (en) Arrangement for discharging band servo operating hydraulic pressure in automatic transmission
JP3232263B2 (ja) ウォッシャタンク
KR100279972B1 (ko) 수동 변속기의 압력 조절용 에어 브리더
JP2001287521A (ja) リムバルブ
CN109812569B (zh) 一种后置齿轮室机型匹配自动变速箱的结构
JPH0579142U (ja) スプール弁
JP2512721Y2 (ja) ウォ―タポンプ
KR200294991Y1 (ko) 차량용 보력장치
KR200206364Y1 (ko) 유압펌프와 모터의 연결구조
KR970000908Y1 (ko) 차량변속기 내부압력저감용 브리더
KR200299032Y1 (ko) 자동차의파워스티어링용기어박스
KR950006669B1 (ko) 자동차 변속기용 위치제어 실린더장치
KR100476576B1 (ko) 차량용 보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