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566Y1 - 액정표시장치용 패널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566Y1
KR200234566Y1 KR2020010005554U KR20010005554U KR200234566Y1 KR 200234566 Y1 KR200234566 Y1 KR 200234566Y1 KR 2020010005554 U KR2020010005554 U KR 2020010005554U KR 20010005554 U KR20010005554 U KR 20010005554U KR 200234566 Y1 KR200234566 Y1 KR 200234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pad
liquid crystal
pane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민
유봉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2020010005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5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566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표시부와; 상,하부 기판을 합착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씨일(seal) 형성부와; 게이트 배선이 연결된 게이트 패드 및 데이타 배선이 연결된 데이타 패드가 배치된 패드 형성부로 이루어진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배선이 연결된 게이트 패드는 데이타 패드 영역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며, 주사선수가 작은 소형 액정패널에서 게이트 패드를 데이타 패드 형성부에 배치시켜 액정패널에서 게이트 패드가 차지하는 공간을 제거하여 패널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용 패널{Panel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사선수가 작은 소형 액정표시장치의 패널에 있어서 게이트 패드를 데이타 패드부에 형성하여 패널에서 게이트 패드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표시부(100)와, 상,하부 기판을 합착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씨일(seal) 형성부(102); 및 게이트 배선(106a)이 연결된 게이트 패드(106)와, 데이타 배선(미도시)이 연결된 데이타 패드(108)가 배치된 꺽쇠구조의 패드 형성부(104)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텔레비젼, 그래픽 디스플레이등의 표시장치를 구성한다. 특히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표시장치는 고속 응답 특성을 갖으며, 높은 화소수에 적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고화질화, 대형화, 컬러 화면화등을 실현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의 크기를 감소시키면 휴대용 텔레비젼이나 핸드폰, 차량 부착용 소형 모듈의 제작등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액정패널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표시부(100)와, 씨일(seal) 형성부(102) 및 패드 형성부(104)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각 부분의 크기를 줄이면 전체적인 액정표시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액정패널은 게이트 패드와 데이타 패드에 각각 게이트 신호부와 데이타신호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각 패드는 패널 형성부내에 각각 독립적인 공간을 차지하여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게이트 패드는 게이트 배선의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데이타 패드는 데이타 배선 말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소형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도 상기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액정패널의 크기는 유효표시부와 씨일(seal) 형성부는 물론 패드부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그러나, 액정패널의 크기를 줄이는 데 있어서, 유효표시부는 패널의 해상도(resolution)와 대각(diagonal)크기에 의해 결정되어지며, 씨일(seal) 형성부는 씨일(seal)폭과 공정마진에 의해 결정되어 패널의 크기를 줄이는 데 제한이 있다.
또한, 칩온글래스(COG; Chip On Glass) 타입에 있어서 패드부의 경우 티,씨.피.(TCP; Tape Carrier Package)와 구동 집적회로(drive IC)와의 본딩(bonding)영역 확보와 배선부 영역 확보로 최소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패드부 공간이 별도로 구성되어 패널의 크기를 줄이는데 제한이 있다. 또한, 여기에에프.피.씨레스(FPCless; Flexible Printed Circuit-less)기술이 적용될 경우 데이타 패드부에서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까지 들어오는 배선때문에 패널 형성부의 폭을 감소시키는 데 더 큰 제한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사선수가 작은 소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게이트 패드를 데이타 패드부에 형성하여 패널에서 게이트 패드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 패널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용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4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액정 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패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유효표시부 202; 씨일(seal) 형성부
204; 패드 형성부 205; 제거된 게이트 패드부
206; 게이트 패드 206a; 게이트 배선
208; 데이타 패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패널은, 소정의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표시부와; 상,하부 기판을 합착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씨일(seal) 형성부와; 게이트 배선이 연결된 게이트 패드 및 데이타 배선이 연결된 데이타 패드가 배치되는 패드 형성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배선이 연결된 게이트 패드는 상기 데이타 패드 형성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패널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패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표시부(200)와; 상,하부 기판을 합착시키기 위한수단이 구비된 씨일(seal) 형성부(202)와; 게이트 배선(206a)이 연결된 게이트 패드(206) 및 데이타 배선(미도시)이 연결된 데이타 패드(208)가 배치되는 데이타 패드 형성부(20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약 7인치 이하의 소형 액정패널의 경우 게이트 배선수 및 데이타 배선수가 많지 않아 게이트 패드의 경우 하나의 외부리드 패드(OLB Pad; Out Lead Bonding Pad)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상기 외부리드 패드는 구동 집적회로가 구비된 티.씨.피(TCP)가 본딩되거나, 씨.오.지(COG) 타입의 경우는 구동 집적회로가 직접 패널에 부착되는데 이때, 게이트 패드에 연결되는 피.씨.비(PCB)를 제거하기 위해 에프.피.씨레스(FPCless)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르면 게이트 패드(206)가 데이타 패드(208) 형성 영역에 배치되므로 상기 게이트 티.씨.피(TCP) 또는 게이트 구동 집적회로는 데이타 패드 형성 영역에 배치된 게이트 패드(206)에 연결된다.
한편, 대형 패널의 경우 주사선수가 많으므로 패드와 패널의 연결부, 즉 팬-아웃(fan-out)의 라인 갯수가 많아 상기 씨일(seal) 형성부의 증가와 데이타 패드부의 형성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그러나, 약 7인치 이하의 소형 패널의 경우 주사선수가 많지 않아 단 하나의 구동 집적회로로 구동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팬-아웃(fan-out) 라인 갯수가 많지 않으므로 씨일(seal) 형성부의 폭 증가가 필요치 않으므로 패널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때, 팬-아웃(fan-out) 라인의 길이증가에 의한 저항문제에 있어서, 소형패널은 게이트 지연시간이 매우 작으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게이트 패드(20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 패드(208)가 배치되는 영역인 데이타 패드 형성부(204)에 배치되므로 점선으로 표시된 게이트 패드 형성부(205) 영역이 패널에서 제거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 2 내지 4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 패드(206)는 데이타 패드 형성부(204)내의 어느 일단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게이트 패드(206)와 연결된 다수개의 게이트 배선(206a)이 유효표시부(200)에 행으로 배열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패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2 게이트 패드(306)(307)는 데이타 패드(308)가 배치된 데이타 패드 형성부(304)의 어느 일단측, 예를 들어, 상기 데이타 패드 형성부(304) 양측 단부에 제 1 게이트 패드(306)와 제 2 게이트 패드(307)가 각각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수개의 게이트 배선(306a)(307a)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배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패드(306)와 연결된 게이트 배선(306a)은 상기 유효표시부(300)의 최상행부터 소정의 행까지 배열되며, 상기 제 2 게이트 패드(307)와 연결된 게이트 배선(307a)은 상기 소정의 행의 다음 행부터 최하행까지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데이타 패드 형성부(304)의 어느 일단측의 게이트 패드와 연결된 게이트 배선이,유효표시부(300)를 상하로 이등분하였을 때, 상반부 또는 하반부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배선(306a)(307a)이 총 300라인이라 가정하고 유효표시부의 최상행을 1번 라인이라 하고, 그 이하의 행을 차례로 2, 3, 4......299, 300번 라인이라 가정했을 때, 상기 좌측의 게이트 패드(306)와 연결된 게이트 라인(306a)은 1번 라인부터 150번 라인까지, 상기 우측의 게이트 패드(307)와 연결된 게이트 라인(307a)은 151번부터 300번 라인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패널은,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게이트 패드(406)와 연결된 게이트 배선(406a)은 상기 유효표시부(400)의 홀수행에 배열되며, 상기 제 2 게이트 패드(407)와 연결된 게이트 배선(407a)은 상기 유효표시부(400)의 짝수행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의 예와 같이, 게이트 배선이 총 300라인이라 가정하고 유효표시부의 최상행을 1번 라인이라 하고, 그 이하의 행을 차례로 2, 3, 4......299, 300번 라인이라 가정했을 때, 상기 좌측의 게이트 패드(406)와 연결된 게이트 라인(406a)은 홀수행 즉, 1번 라인부터 시작하여 3, 5,...,295, 297, 299번 라인까지, 상기 우측의 게이트 패드(307)와 연결된 게이트 라인(307a)은 2번 라인부터 시작하여 4, 6,....,296, 298, 300번 라인까지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 4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패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게이트 패드(506)와 연결된 게이트 배선(506a)은 상기 유효표시부(500)의 최상행부터 소정의 행까지 배열되며, 상기 제 2 게이트패드(507)와 연결된 게이트 배선(507a)은 상기 소정의 행의 다음 행부터 어느 일정한 행까지 배열되며, 계속하여 상기 제 1 게이트 패드(506)와 연결된 수개의 게이트 배선(506a)과 상기 제 2 게이트 패드(507)에 연결된 수개의 게이트 배선(507a)이 상기와 같이 교번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의 예와 같이, 게이트 배선이 총 300라인이라 가정하고 유효표시부의 최상행을 1번 라인이라 하고, 그 이하의 행을 차례로 2, 3, 4......299, 300번 라인이라 가정했을 때, 상기 좌측의 게이트 패드(506)와 연결된 게이트 라인(506a)은 1번과 2번 라인에 배열되고, 상기 우측의 게이트 패드(507)와 연결된 게이트 라인(507a)은 3번과 4번 라인에 배열된다. 계속하여 상기 좌측의 게이트 패드(506)와 연결된 게이트 라인(506a)은 5번과 6번 라인에 배열되고, 상기 우측의 게이트 패드(507)와 연결된 게이트 라인(507a)은 7번과 8번 라인에 배열된다. 이러한 행태로 상기 게이트 배선(506a)(507a)이 유효표시부(500)에 배열될 수 있다.
만일, 게이트 패드와 데이타 패드가 같이 형성될 데이타 패드 형성부의 공간이 부족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패드를 각각 다른 금속재질로 수개의 서브 패드로 구성하여, 상기 게이트 서브패드의 홀수번 패드 (600)와 짝수번 패드(602)를 서로 교번적으로 배열시켜 부족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수개의 게이트 서브패드(600)(602)가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상기 서브패드가 교번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위의 구조는 데이터 패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고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것이지 본 고안을 이에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기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패널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게이트 패드를 데이타 패드부에 형성하여 패널에서 게이트 패드부가 차지하는 공간을 제거시킴으로써 주사선수가 작은 소형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패널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게이트 패드와 데이터 패드의 형성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서브패드를 각기 다른 층에 교번적으로 배열시켜 패드내의 서브패드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아울러 가지고 있다.

Claims (7)

  1. 소정의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표시부와; 상,하부 기판을 합착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씨일(seal) 형성부와; 게이트 배선이 연결된 게이트 패드 및 데이타 배선이 연결된 데이타 패드가 배치되는 패드 형성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배선이 연결된 게이트 패드는 상기 데이타 패드 형성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패드는 데이타 패드가 배치된 영역의 어느 일단측에 하나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패드는 데이타 패드가 배치된 영역의 어느 일단측에 1 게이트 패드, 타 일단측에 제 2 게이트 패드로 구성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패드와 연결된 게이트 배선은 상기 유효표시부의 최상행부터 소정의 행까지 배열되며, 상기 제 2 게이트 패드와 연결된 게이트 배선은 상기소정의 행의 다음 행부터 최하행까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패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패드와 연결된 게이트 배선은 상기 유효표시부의 홀수행에 배열되며, 상기 제 2 게이트 패드와 연결된 게이트 배선은 상기 유효표시부의 짝수행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패널.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패드와 연결된 게이트 배선은 상기 유효표시부의 최상행부터 소정의 행까지 배열되며, 상기 제 2 게이트 패드와 연결된 게이트 배선은 상기 소정의 행의 다음 행부터 어느 일정한 행까지 배열되며, 상기 제 1 게이트 패드와 연결된 수개의 게이트 배선과 상기 제 2 게이트 패드에 연결된 수개의 게이트 배선이 교번적으로 배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패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패드 또는 데이타 패드는 수개의 서브 패드로 구성되고, 상기 게이트 서브패드 또는 데이타 서브패드가 교번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패널.
KR2020010005554U 2001-03-02 2001-03-02 액정표시장치용 패널 KR200234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554U KR200234566Y1 (ko) 2001-03-02 2001-03-02 액정표시장치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554U KR200234566Y1 (ko) 2001-03-02 2001-03-02 액정표시장치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566Y1 true KR200234566Y1 (ko) 2001-09-28

Family

ID=7308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554U KR200234566Y1 (ko) 2001-03-02 2001-03-02 액정표시장치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5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830B1 (ko) * 2004-12-23 2012-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830B1 (ko) * 2004-12-23 2012-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96512B2 (ja) 表示素子駆動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6771258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497047B1 (ko) 표시장치
US20040239655A1 (en) Display drive control system
JPH0954333A (ja) 表示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icチップ
JP4689202B2 (ja) 駆動装置及び表示装置
EP3561801B1 (en) Display panel
JP2004062201A (ja) ゲートpcb及びfpcがない液晶表示装置
KR10035698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293982B1 (ko) 액정패널
JP2005338179A (ja) 表示装置
US6603527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5301239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用ガラス基板
KR100392603B1 (ko) 액정표시장치용 구동 아이씨 연결부
JP2002244585A (ja) 画像表示装置
JP2008309825A (ja) 液晶表示装置
KR20110049094A (ko) 액정표시장치
KR200234566Y1 (ko) 액정표시장치용 패널
KR20040087452A (ko) 액정표시 모듈
JP2004037956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
JP2005266394A (ja) 表示装置
KR10098375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23800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701895B1 (ko) 테이프 케리어 패키지
US20080284968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