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449Y1 - 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449Y1
KR200234449Y1 KR2019990004556U KR19990004556U KR200234449Y1 KR 200234449 Y1 KR200234449 Y1 KR 200234449Y1 KR 2019990004556 U KR2019990004556 U KR 2019990004556U KR 19990004556 U KR19990004556 U KR 19990004556U KR 200234449 Y1 KR200234449 Y1 KR 2002344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pipe
groove
insertion hole
clamping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522U (ko
Inventor
김춘일
Original Assignee
김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일 filed Critical 김춘일
Priority to KR2019990004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44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5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5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4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449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과 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기술에 있어서는 수용구에 삽입구를 삽입한 상태로 클램프레버의 작동캠이 캠작동으로 클램핑하는 과정에서 무리한 작동력의 요구로 작동의 어려움과 이 부분에 변형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상기 클램핑레버를 회동 작동 및 기밀유지링의 기밀유지에 의한 작동이 저하되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고안은 클램핑레버(30)의 회동에 의한 작동캠(35)의 캠작동에 의해 클램핑작동이 무리한 작동력이 배제된 상태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공됨은 견고한 클램핑력, 삽입구의 변형등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클램핑레버(30)의 회동작동 및 기밀유지링의 기밀유지가 우수하게 제공되므로 전체적으로 관 연결작업성 및 기밀유지작업성이 극대화되며,
또한 수용구(20)의 형성한 분기관(50)에 별도의 전환밸브수단(80)을 구비하여서 유체의 흐름을 연통, 차단할수 있도록 하므로 그 사용 용도를 다양화하도록 하게 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관 연결장치{PIPE COUPLING DEVICE}
본 고안은 관과 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관과 관을 상호 클램핑하여 연결하는 작동이 용이하게 제공됨은 물론 그 클램핑력에 의한 결합견고성 및 기밀유지성이 우수하게 제공되는 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기체등의 이송을 위해 사용되는 배관은 관과 관을 연결하여 설치하며, 이때 상기 관과 관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관 연결장치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 연결장치는 종래에도 다양한 형태로 알려진바 있는데, 이는 관과 관을 결합하도록 접속부를 각각 형성하는 수용구와 삽입구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구에 기밀유지링과 함께 삽입구를 삽입하고, 상기 수용구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클램프를 회동하는 것에 의해 그 선단의 작동캠이 삽입구의 라운드홈상에서 캠작동하면서 삽입구를 가압하여 클램핑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장치는 상기 클램프레버의 작동캠이 라운드홈에서 마찰하면서 구름작동하는 것에 의해 캠작동하며 가압하게 되므로 큰 작동력이 요구되어 작업자의 작동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레버가 삽입구와 수용구의 길이방향으로 작동하면서 작동캠이 삽입구를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그 가압력에 의해 삽입구가 이그러지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삽입구와 기밀유지링과의 기밀유지가 곤란하여 누수 발생이 우려됨은 물론 삽입구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며, 상기 작동캠을 길이방향으로 고정함에 따라 길이방향의 외력에 대한 견고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게 된다.
이러한 연결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6-2466호로 관 연결장치를 출원한 바 있는데, 이는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삽입구(10)의 선단 외주연에 직각의 단턱부(16)를 갖는 캠작동홈(15)을 형성하고, 수용구(20)는 원주방향으로 작동공(22)을 형성하여 클램핑레버(30)가 원주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클램핑레버(30)의 작동캠(35)에 형성된 라운드곡면(36)이 삽입구(10)의 단턱부(16)를 캠작동으로 가압하면서 작동캠(35)이 캠작동홈(15)에 삽입되어 클램핑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장치는 클램핑레버(30)가 원주방향으로 작동하면서 작동캠(35)의 라운드곡면(36)이 캠작동홈(15)의 단턱부(16)와 선접촉에 의한 캠작동으로 마찰저항을 전술한 기술에 비하여 감소하므로 그 작동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캠(35)은 삽입구(10)의 캠작동홈(15)에 수평으로 삽입되게 지지되어 길이방향의 외력에 대해 삽입구(10)의 밀림을 방지하므로 견고한 클램핑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캠(35)의 작동력이 삽입구(10)의 중앙으로 가압작동하는 것이 아니므로 삽입구(10)의 변형방지는 물론 삽입구(10)와 기밀유지링(40)과의 기밀유지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장치는 상기 작동캠(35)이 직각의 단턱부(16)를 가압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삽입구(10)를 기밀유지링(40) 방향으로 어느정도 가압하면서 작업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가압작동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단턱부(16)에 무리한 작동력이 작용하면서 작동의 어려움은 물론 이 부분에 변형, 즉 작동력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변형으로 수용구(10)의 분리, 조립에 다른 재사용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클램핑레버(30)를 회동하는 작동에 있어서도, 작업자가 레버의 고리(31)를 잡아당기며 회동해야 하는데, 상기 고리(31)를 잡아당기는 구조로는 충분한 힘을 가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더우기 전술한 연결장치에서는 기밀유지링(40)이 단순히 사각의 단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기밀유지링(40)이 경화되거나 잘못가공된 경우 관내의 유체압에 의해 누수될 수 밖에 없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 및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클램핑레버 작동캠의 캠작동에 의해 클램핑작동이 무리한 작동력이 배제된 상태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공됨은 물론 상기 클램핑레버의 회동작동 및 기밀유지링의 기밀유지가 우수하게 제공되므로 전체적으로 관 연결작업성 및 기밀유지작업성이 극대화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관연결장치에 형성된 분기관상에 별도의 전환밸브수단을 구비하여서 사용 용도를 다양화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클램핑레버의 외측단에 손잡이부를 돌출형성하고, 기밀유지링은 그 내측이 'V'자형의 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클램핑레버의 작동캠과 삽입구의 캠작동홈에는 상호 대향되는 경사안내면을 형성하여 상기 클램핑레버의 회동작동으로 작동캠이 삽입구의 캠작동홈과 상호 경사안내면에 안내되며 상호 클램핑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수용구의 일측에 형성된 분기관에 유체의 흐름을 연결, 차단하는 전환밸브수단을 구비하므로 달성하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관 연결장치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구성도로서,
도 1은 연결전 상태이고,
도 2는 연결된 상태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을 보여주는 횡단면구성도로서,
도 3은 연결전 상태이고,
도 4는 연결된 상태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을 보여주는 종단면구성도로서,
도 5는 연결전 상태이고,
도 6은 연결된 상태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구성도,
도 8은 도 7의 요부를 보여주는 횡단면구성도,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요부를 보여주는 종단면구성도로서,
도 9는 연결전 상태이고,
도 10은 연결된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삽입구 15; 캠작동홈 17,37; 경사안내면
20; 수용구 22; 작동공 30; 클램핑레버
32; 손잡이단부 35; 작동캠 40; 기밀유지링
42; 홈부 50; 분기관 55; 밸브실
60; 고무밀폐관 67; 요홈 70; 밸브체
77; 돌기 80; 전환밸브수단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용구(20)의 일측 환상홈(21)에 기밀유지링(40)을 삽입한 상태로 삽입구(10)를 삽입하고, 수용구(20)의 양측 클램링레버(30)를 원주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작동캠(35)이 캠작동하면서 수용구(10)의 원주상에 형성된 캠작동홈(15)에 삽입되어 상호 클램핑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지링(40)은 그 내측이 'V'자형의 홈부(42)를 형성하고, 상기 클램핑레버(30)는 외측단에 회동방향에 직교되게 손잡이단부(32)를 돌출형성하며,
상기 클램핑레버(30)의 작동캠(35)과 삽입구(10)의 캠작동홈(15)에는 내측면으로 상호 대향되는 각도의 경사안내면(37),(17)을 형성하여 상기 클램핑레버(30)의 회동작동으로 작동캠(35)의 경사안내면(37)이 삽입구(10)의 캠작동홈(15)에 형성된 경사안내면(17)을 경사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호 클램핑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 내지 도 9는 상기 삽입구(10)의 일측으로 분기관(50)을 형성하고, 상기 분기관(50)에는 중앙의 직교방향으로 양측방에 유통공(51)(52)을 갖는 밸브실(55)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실(55)에는 그 내경과 동일직경을 갖고, 상기 유통공(51)(52)과 동일 유통공(61)(62)을 형성하는 고무밀폐관(60)의 내부에 상기 고무밀폐관(60)의 내경과 동일직경을 갖고, 상기 밸브실(55)과 고무밀폐관(60)의 유통공(51)(52),(61)(62)과 동일 유통공(71)(72)을 형성하는 밸브체(70)를 조립한 상태로 삽입하되, 상기 밸브체(70)를 회전함에 따라 밸브체(70)와 고무밀폐관(60)이 동시에 회전작동하면서 그 유통공(61)(62),(71)(72)이 밸브실(55)의 유통공(51)(52)과 연통, 차단되어 개폐작동하는 전환밸브수단(80)을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실(55)은 내측단에 단차부(53)를 형성하고, 밸브체(70)는 내측단에 걸림요홈(73)을 형성하는 걸림구(75)을 돌출형성하여 상기 걸림구(75)의 걸림요홈(73)이 밸브실(55)의 단차부(53)에 탄발적으로 조립되면서 고정되게 조립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무밀폐관(60)은 내부면의 길이방향으로 요홈(67)을 형성하고,상기 밸브체(70)는 외부면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고무밀페관(60)의 요홈(67)에 대응되는 돌기(77)를 형성하여 상호 조립하므로 고정되게 조립설치된다.
미설명부호로서, 39는 축핀, 78은 밸브체(70)의 회전손잡이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용구(20)의 내부 환상홈(21)에 기밀유지링(40)을 삽입하고, 상기 수용구(20)와 삽입구(10)에는 연결코자하는 관을 각각 연결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용구(20)의 환상홈(21)으로 삽입구(10)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삽입구(10)의 캠작동홈(15)은 클램핑레버(30)의 작동캠(35)에 약간 못도달하게 어긋난 상태로 삽입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클램핑레버(30)를 수용구(20)의 원주방향으로 회동시키되 상기 클램핑레버(30)의 외측단에 회동방향에 직교되게 돌출형성된 손잡이단부(32)를 파지한 상태로 용이하게 회동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클램핑레버(30)의 회동조작으로 그 작동캠(35)이 회전하면서 상기 작동캠(35)의 내측단에 형성된 경사안내부(37)가 삽입구(10)의 캠작동홈(15)에 형성된 경사안내부(17)와 상호 맞물리게 미끄러지면서 삽입구(10)를 기밀유지링(40) 방향으로 가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캠(35)은 그 경사안내부(37)가 캠작동홈(15)의 경사안내부(17)와 대향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상호 작동캠(35)의 캠작동이 큰 작동력 없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그 작동이 용이함은 물론 삽입구(10)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상기 수용구(20)내부로 삽입구(10)를 가압하여 삽입구(10)가 기밀유지링(40)에 가압밀착되면서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의 클램핑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본 고안의 관연결장치의 내부로 유체가 통과하게 되면, 그 압력에 의해 기밀유지링(40)의 내부 'V'자형의 홈부(42)가 외부로 벌어지면서 기밀유지를 더욱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에서는 상기 수용구(20)에 분기관(50)을 형성하고, 상기 분기관(50)상에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전환밸브수단(80)을 구비한 것이다.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방상태에서는 상기 수용구(20)에서 분기관(50)으로 유입된 유체가 밸브실(55)의 일측 유통공(51)을 통해 고무밀폐관(60)과 밸브체(70)의 유통공(61)(62),(71)(72)을 통해 밸브실(55)의 타측 유통공(52)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여 폐쇄상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에는 상기 밸브체(70)의 회전손잡이(78)를 파지한 상태로 90°회전조작하게 된다.
이와같이 밸브체(70)를 회전 시키면 상기 밸브체(70)는 요홈(67)과 돌기(77)로 상호 고정되게 조립된 고무밀폐링(60)과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기 밸브실(55)의 유통공(51)(52)과 밸브체(70) 및 고무밀폐링(60)의 유통공(71)(72),(61)(62)이 상호 어긋나면서 수용구(20)에서 분기관(50)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클램핑레버의 회동에 의한 작동캠의 캠작동에 의해 클램핑작동이 무리한 작동력이 배제된 상태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공됨은 견고한 클램핑력, 삽입구의 변형등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고,
상기 클램핑레버의 회동작동 및 기밀유지링의 기밀유지가 우수하게 제공되므로 전체적으로 관 연결작업성 및 기밀유지작업성이 극대화되며,
또한 수용구의 형성한 분기관에 별도의 전환밸브수단을 구비하여서 유체의 흐름을 연통, 차단할수 있도록 하므로 그 사용 용도를 다양화하도록 하게 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수용구(20)의 일측 환상홈(21)에 기밀유지링(40)을 삽입한 상태로 삽입구(10)를 삽입하고, 수용구(20)의 양측 클램링레버(30)를 원주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작동캠(35)이 캠작동하면서 수용구(10)의 원주상에 형성된 캠작동홈(15)에 삽입되어 상호 클램핑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기밀유지링(40)은 그 내측이 'V'자형의 홈부(42)를 형성하고, 상기 클램핑레버(30)는 외측단에 회동방향에 직교되게 손잡이단부(32)를 돌출형성하며,
    상기 클램핑레버(30)의 작동캠(35)과 삽입구(10)의 캠작동홈(15)에는 내측면으로 상호 대향되는 각도의 경사안내면(37),(17)을 형성하여 상기 클램핑레버(30)의 회동작동으로 작동캠(35)의 경사안내면(37)이 삽입구(10)의 캠작동홈(15)에 형성된 경사안내면(17)을 경사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호 클램핑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10)의 일측으로 분기관(50)을 형성하고, 상기 분기관(50)에는 중앙의 직교방향으로 양측방에 유통공(51)(52)을 갖는 밸브실(55)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실(55)에는 그 내경과 동일직경을 갖고, 상기 유통공(51)(52)과 동일 유통공(61)(62)을 형성하는 고무밀폐관(60)의 내부에 상기 고무밀폐관(60)의 내경과 동일직경을 갖고, 상기 밸브실(55)과 고무밀폐관(60)의 유통공(51)(52),(61)(62)과동일 유통공(71)(72)을 형성하는 밸브체(70)를 조립한 상태로 삽입하되, 상기 밸브체(70)를 회전함에 따라 밸브체(70)와 고무밀폐관(60)이 동시에 회전작동하면서 그 유통공(61)(62),(71)(72)이 밸브실(55)의 유통공(51)(52)과 연통, 차단되어 개폐작동하는 전환밸브수단(8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KR2019990004556U 1999-03-22 1999-03-22 관 연결장치 KR2002344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556U KR200234449Y1 (ko) 1999-03-22 1999-03-22 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556U KR200234449Y1 (ko) 1999-03-22 1999-03-22 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522U KR20000018522U (ko) 2000-10-16
KR200234449Y1 true KR200234449Y1 (ko) 2001-09-13

Family

ID=5476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556U KR200234449Y1 (ko) 1999-03-22 1999-03-22 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44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218B1 (ko) * 2008-11-12 2011-09-28 이재진 드레인 밸브를 구비하는 캠-록킹형 커플링 조립체
KR20170003215U (ko) 2016-03-07 2017-09-15 김춘일 관 연결장치
KR20200002282U (ko) 2019-04-09 2020-10-19 서한호 호스커플러용 마감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4689B2 (ja) * 2000-08-29 2005-09-14 チョン イル キム 菅継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218B1 (ko) * 2008-11-12 2011-09-28 이재진 드레인 밸브를 구비하는 캠-록킹형 커플링 조립체
KR20170003215U (ko) 2016-03-07 2017-09-15 김춘일 관 연결장치
KR20200002282U (ko) 2019-04-09 2020-10-19 서한호 호스커플러용 마감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522U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8876B1 (en) Quick disconnect coupling
KR200234449Y1 (ko) 관 연결장치
FR2840667A1 (fr) Moyens de connexion de deux elements de conduite
RU2536461C2 (ru) Муфта с активируемым уплотнением
WO1999039125B1 (en) Dry disconnect coupling
KR101756526B1 (ko) 파이프 연결장치
CA3079852C (en) Reversible ball valve
KR200386493Y1 (ko) 관 연결장치
KR200158124Y1 (ko) 관 연결구
JP2577515B2 (ja) 液垂れ防止管継手
KR101368437B1 (ko) 유체이송관용 연결커플러
JP3694689B2 (ja) 菅継手
JPH0328233Y2 (ko)
KR101962939B1 (ko) 커플링 장치
CN217634019U (zh) 一种两位四通换向阀
CN217503004U (zh) 一种弯头管道安装连接装置
KR20180065986A (ko) 파이프 연결장치
JPH0324954Y2 (ko)
KR20030006737A (ko) 농업용 밸브
US20240084939A1 (en) Quick-coupling female element
KR20180001534U (ko) 파이프 연결장치
JP2591101Y2 (ja) 管継手
SK280178B6 (sk) Zasúvateľná spojka tlakového potrubia
JPS5913428Y2 (ja) 継手連結装置
KR200165070Y1 (ko) 가스배송관과가스기기연결용플렉시블호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