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124Y1 -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124Y1
KR200158124Y1 KR2019960002466U KR19960002466U KR200158124Y1 KR 200158124 Y1 KR200158124 Y1 KR 200158124Y1 KR 2019960002466 U KR2019960002466 U KR 2019960002466U KR 19960002466 U KR19960002466 U KR 19960002466U KR 200158124 Y1 KR200158124 Y1 KR 2001581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insertion hole
lever
pipe
receiving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2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2297U (ko
Inventor
김춘일
Original Assignee
김춘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일 filed Critical 김춘일
Priority to KR2019960002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124Y1/ko
Publication of KR970052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22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1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1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20Joints tightened by toggle-action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과 관을 연결해서 설치하고자 할때 사용되는 관 연결구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관과 관을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클램핑하여 연결하는 종래의 관 연결구는 선단의 라운드홈을 형성한 삽입구와 라운드형상의 편심캠을 갖는 클램프레버를 대향형성하는 수용구로 이루어져 상기 편심캠이 레버의 회동작동으로 수용구에 끼워지는 삽입구의 라운드홈에서 캠작동하여 삽입구를 클램핑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관 연결구는 상기 삽입구를 중심으로 가압하여 클램핑함에 따라 삽입구가 변형되어 우수한 기밀유지가 곤란하여 누수가 발생되게 되고 이에따라 삽입구의 사용수명 또한 단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캠이 삽입구의 라운드홈에서 구름작동에 의한 가압으로 클램핑이 이루어져 클램핑에 따른 힘이 과다하게 요구되므로 설치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단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수용구의 원주방향으로 회동작동하게 클램핑레버를 설치하여 상기 레버 선단의 작동캠이 수용구에 삽입되는 삽입구선단의 단턱을 가압하여 삽입구가 슬라이딩되면서 단턱이 작동캠에 지지되어 클램핑하게 되므로 삽입구는 외측으로 가압되는 힘의 영향을 받지않아 기밀유지가 우수하게 되고 그 사용수명 또한 길게되며 작은 가압력으로 클램핑하게 되어 작업성이 우수하게 되는 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관 연결구
제1도는 종래 관 연결구의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제2도는 종래 관 연결구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로서,
제3도는 분리된 상태이고,
제4도는 결합된 상태이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의 평단면도로서,
제5도는 분리된 상태이고,
제6도는 결합된 상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삽입구 17 : 캠작동홈
19 : 단턱부 20 : 수용구
25 : 클램핑레버 26 : 라운드곡면
28 : 작동캠
본 고안은 관과 관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수용구에 삽입구를 삽입한 상태로 상호 클램핑하여 연결하는 작업이 무리한 작동없이도 간단하게 이루어져 결합작업성이 우수함은 물론 그 결합견고성 및 기밀유지성이 우수하게 제공되는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기체등의 이송을 위해 설치되는 배관은 관과 관이 연결되는 부분의 기밀을 유지하는 상태로 상호 클램핑하여 연결설치하기 위해서 관 연결구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관 연결구는 종래에도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데, 이는 첨부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관(T)을 결합하도록 접속부(5),(5)를 형성하는 수용구(20)와 이 수용구에 삽입연결되는 삽입구(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구(10)는 선단의 삽입부(12) 외주연에 라운드형상의 캠작동홈(15)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구(20)는 삽입구(10)의 삽입부(12)가 삽입되는 환상홈(22)과 이 환상홈(22)에 연통되게 양 측방에서 길이방향으로 작동공(24)을 형성하며 상기 작동공(24)에는 길이방향으로 회동작동하도록 클램프레버(25) 선단의 작동캠(27)이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져 상기 클램프레버(25)의 길이방향 회동작동으로 작동캠(27)이 회전하면서 그 선단의 편심곡면(27a)이 수용구(10)의 라운드형상의 캠작동홈(15)에서 캠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캠(27)은 그 편심곡면(27a)이 삽입구(10)의 캠작동홈(15)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름작동하면서 먼저 캠작동홈(15)을 내측으로 가압하는 작동을 하면서 계속되는 편심곡면(27a)의 구름작동으로 삽입구(10)를 슬라이딩 전진이동시켜 그 선단면이 기밀유지링(30)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작동캠(27)의 회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상기 작동캠(27)이 삽입구(10)의 라운드형상의 캠작동홈(15)에 가압지지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호 클램핑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 연결구는 상기 작동캠(27)의 편심곡면(27a)이 삽입구(10)의 라운드형상의 캠작동홈(15)을 내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전진시켜 클램핑하게 됨에 따라 가압력이 작용하는 삽입구(10)의 외주면이 원주형상에서 이그러지게 되고, 결국 그 선단면이 환상홈(22)내에 구비된 기밀유지링(30)과의 우수한 기밀유지가 곤란하게 되어 누수가 발생하게 됨은 물론 상기 삽입구(10)의 사용수명이 단축되게 되는 문제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캠(27)이 동일곡면을 갖는 라운드형상의 캠작동홈(15)에서 내측으로 강제적으로 가압하여 전면적으로 마찰하면서 구름작동하기 때문에 클램핑을 위한 작동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를 갖게 된다.
한편,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1-106688호에서는 상기 라운드형상의 캠작동홈을 작동캠 선단의 편심곡면 보다 연장된 상태로 형성하여 상기 작동캠의 회전작동시 캠작동홈과의 마찰력을 줄여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다소 작은 레버의 회전작동력으로도 클램핑가능하게 되지만 이 또한 작동캠이 캠작동홈에서 내측으로 강제적으로 가압하면서 삽입구를 전진시켜 클램핑이 이루어지므로 전술한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게 된다.
또한 상기한 관 연결구는 상기 레버의 작동캠과 이 작동캠이 클램핑되는 캠작동홈이 길이방향의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연결구내로 고압의 유체가 흐르거나 외력에 의해 작동캠이 캠작동홈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될 가능성이 있어 견고한 클램핑상태를 유지할수 없게 되는 문제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클램핑레버를 수용구의 원주방향으로 회동작동하게 설치하고, 삽입구의 선단부에는 단턱부를 갖는 캠작동홈을 형성하여서 상기 레버의 작동캠이 삽입구의 단턱부를 슬라이딩 가압작동하면서 전진이송시켜 클램핑하게 하므로 상기 작동캠과 단턱부의 마찰면적이 최소화되어 결합작업성이 우수하게 됨은 물론 작동캠이 삽입구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작동력이 배제되어 삽입구의 손상, 변형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상기 작동캠이 수용구의 캠작동홈에 원주방향으로 결합되면서 외력에 대한 결합견고성 및 그로 인한 기밀유지가 우수하게 되는 관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의 관 연결구는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삽입구(10)와 이 삽입구(10)의 선단이 삽입되는 환상홈(22)을 형성하는 수용구(20)로 구성되되 상기 수용구(20)의 양측방에 대향되게 형성된 작동공에 클램핑레버(25) 선단의 작동캠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클램핑레버의 회동작동에 의해 작동캠이 삽입구(10)의 캠작동홈에서 캠작동하므로 상호 클램핑하게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10)는 선단 외주연에 단턱부(19)를 갖는형상의 캠작동홈(17)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구(20)는 원주방향으로 작동공(24)을 형성하여 클램핑레버(25)의 작동캠(28)을 상기 작동공(24)에서 원주방향으로 회동작동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작동캠(28)의 일측상부에 라운드곡면(26)을 형성하여서 상기 레버(25)의 원주방향 회동작동으로 작동캠(28)의 라운드곡면(26)이 삽입구(10)의 단턱부(19)를 캠작동으로 전진이동시킴과 함께 작동캠(28)이 캠작동홈(17)에 삽입되어 상호 클램핑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삽입구(10)는 그 타측에도 또다른 수용구를 연결할수 있도록 캠작동홈(17)을 형성하여 그 전체 형상이형태의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관의 연결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제작사용할수 있음을 밝혀둔다.
미설명부호로서 5는 관(T)를 삽입하는 접속부, 30은 기밀유지링, 32는 힌지핀, 35는 손잡이고리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관(T)이 연결된 수용구(20)의 환상홈(22)내에 기밀유지링(30)을 삽입한 상태에서 관(T)이 연결된 삽입구(10)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구(10)의 캠작동홈(17)은 클램핑레버(25)의 작동캠(18)의 위치까지는 약간 못미치는 상태로 엇갈리게 삽입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클램핑레버(25)를 수용구(20)의 원주방향으로 회동작동시키게 되면 그 선단의 작동캠(28)이 힌지핀(32)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일측상단의 라운드곡면(26)이 삽입구(10)의 단턱부(19)를 캠작동으로 가압하여 삽입구(10)를 전진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캠(28)은 그 라운드곡면(26)이 단턱부(19)와 선접촉하여 그 마찰저항을 최소화하게 되고, 또한 상기 작동캠(28)이 삽입구(10)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것이 아니라 전진가압하게 되므로 상기 레버(25)의 회동에 따른 가압작동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삽입구(10)의 변형이나 손상이 배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캠(28)에 의한 캠작동으로 삽입구(10)를 전진이동완료하게 되면 상기 삽입구(10)의 선단은 환상홈(22)의 내측 기밀유지링(30)을 전면적으로 가압하면서 기밀을 우수하게 유지하게 되고, 상기 작동캠(28)은 삽입구(10)의형상의 캠작동홈(17)에 삽입되어 상호 클램핑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삽입구(10)의형상의 캠작동홈(17)에 작동캠(28)이 원주방향으로 삽입되어 클램핑되므로 상기 삽입구(10)는 고압의 유체가 흐르거나 외력에도 상기 캠작동홈(17)에 삽입된 작동캠(28)에 의해 지지되어 밀림이나 이탈의 우려가 전혀 없어 견고한 클램핑 상태를 유지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관 연결구는 수용구에 삽입구를 삽입하여 클램핑하는 작동이 무리한 작동없이도 수행되어 결합작업성이 우수하게 됨은 물론 그에 따른 결합견고성 및 기밀유지성이 우수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1)

  1. 삽입구(10)와 이 삽입구(10)의 선단이 삽입되는 환상홈(22)을 형성하는 수용구(20)로 구성되되 상기 수용구(20)의 양측방에 대향되게 형성된 작동공에 클램핑레버(25) 선단의 작동캠이 힌지결합되어 상기 클램핑레버의 회동작동에 의해 작동캠이 삽입구(10)의 캠작동홈에서 캠작동하므로 상호 클램핑하게 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10)는 선단 외주연에 단턱부(19)를 갖는형상의 캠작동홈(17)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구(20)는 원주방향으로 작동공(24)을 형성하여 클램핑레버(25)의 작동캠(28)을 상기 작동공(24)에서 원주방향으로 회동작동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상기 작동캠(28)의 일측상부에 라운드곡면(26)을 형성하여서 상기 레버(25)의 원주방향 회동작동으로 작동캠(28)의 라운드곡면(26)이 삽입구(10)의 단턱부(19)를 캠작동으로 전진이동시킴과 함께 작동캠(28)이 캠작동홈(17)에 삽입되어 상호 클램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KR2019960002466U 1996-02-16 1996-02-16 관 연결구 KR2001581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466U KR200158124Y1 (ko) 1996-02-16 1996-02-16 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466U KR200158124Y1 (ko) 1996-02-16 1996-02-16 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297U KR970052297U (ko) 1997-09-08
KR200158124Y1 true KR200158124Y1 (ko) 1999-10-15

Family

ID=1945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2466U KR200158124Y1 (ko) 1996-02-16 1996-02-16 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1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519U (ko) * 2015-01-08 2016-07-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용 캄록형 커플링 장치
KR20170003215U (ko) 2016-03-07 2017-09-15 김춘일 관 연결장치
KR20200002282U (ko) 2019-04-09 2020-10-19 서한호 호스커플러용 마감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4689B2 (ja) * 2000-08-29 2005-09-14 チョン イル キム 菅継手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519U (ko) * 2015-01-08 2016-07-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용 캄록형 커플링 장치
KR200482148Y1 (ko) 2015-01-08 2016-12-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용 캄록형 커플링 장치
KR20170003215U (ko) 2016-03-07 2017-09-15 김춘일 관 연결장치
KR20200002282U (ko) 2019-04-09 2020-10-19 서한호 호스커플러용 마감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297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129Y1 (ko) 관 접속기구
EP1087168B1 (fr) Dispositif de connexion d'une extrémité de conduite à un organe
US7350831B2 (en) End structure of water pipe
FR2840667A1 (fr) Moyens de connexion de deux elements de conduite
KR200158124Y1 (ko) 관 연결구
JP2522275Y2 (ja) 管継手のソケット
JP5534821B2 (ja) 離脱防止機能付きシール材および離脱防止管継手
JP3955274B2 (ja) ガスホースの連結構造物
JP5455382B2 (ja) 管継手およびシール材
US9845906B2 (en) Release clip
KR200165067Y1 (ko) 관연결구
JP4067829B2 (ja) 管継手
JP3961489B2 (ja) パイプ連結具
JP7017441B2 (ja) 管継手
JP4212341B2 (ja) 管継手用スペーサおよび管継手
FR2938625A1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ayant des zones inversees d'etancheite et d'accrochage.
FR2788581A1 (fr) Ensemble de connexion d'une extremite de conduite a un element
JP4032112B2 (ja) 差込式管継手
KR200234449Y1 (ko) 관 연결장치
JPS6126711Y2 (ko)
CN219510367U (zh) 一种快速连接器
JP2569694Y2 (ja) 管継手
CN216812950U (zh) 具有快速接头的球阀
JP3694689B2 (ja) 菅継手
TWI759486B (zh) 用於自行車制動系統的液壓密封體、液壓軟管組件、套件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